도심 지하 40m에 직경 10m, 길이 3.6㎞ 규모
신월 빗물터널로 시간당 100㎜ 집중호우 처리
강남역·광화문도 설치…사업비용 크다는 단점
경기 부천·부산 추가 논의…"수출 가능성 있어"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지난 10일, 서울 목동 한가운데서 휴대폰 상단에 '서비스 불가'가 떴다. 인터넷은 물론이고 전화와 문자 모두 되지 않았다. 시간당 100㎜의 비를 처리할 수 있는 '서울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을 보기 위해 지하 40m 아래로 내려가서다.
지하의 기온은 서늘했고 퀘퀘한 냄새가 났다. 안전모를 쓴 머리 위로 터널 이음새 사이에서 빠져나온 지하수가 방울방울 떨어졌다. 장화로 갈아신고 이동하다 보면 간혹 물웅덩이가 밟혔다.
[서울=뉴스핌] 양가희 기자 = 지난 10일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의 핵심 구역인 저류배수터널에 차량 여러 대가 줄지어 있다. 2024.05.12 sheep@newspim.com |
◆ 빗물 처리 능력 뛰어나…경기 부천시·부산 동래구 등 다른 지자체와 중동까지 관심
흔히 '대심도 빗물터널'로 불리는 빗물저류배수시설은 도시의 깊은 지하에 빗물이 다니는 관(저류배수터널)을 설치하고, 비가 오지 않을 때 유수지에 모인 빗물을 인근 하천에 흘려보내는 시설이다.
운영 원리나 시설 구성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압도적으로 큰 규모가 특징이다. 신월 빗물터널의 경우 터널 길이가 3.6㎞, 저류배수터널 직경은 10m에 달하는 만큼 이날 현장에서는 차를 타고 터널 내부를 오갔다. 다른 차량과 소통은 무전기로 진행했다.
신월 터널은 양천구 신월동, 강서구 화곡동 일대에 내린 빗물을 최대 32만㎡까지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잠실 올림픽 수영장 85개에 들어가는 물과 비슷한 양이다.
도시 곳곳에 내린 비가 하수관에 모이면, 지하 유도수문을 통해 빗물은 유입 수직구를 거쳐 저류배수터널로 모인다. 터널에 가득 찬 빗물은 유출수직구를 통해 목동 빗물펌프장 밑 유수지에 모인다. 비가 멈추면 유수지에 저장된 빗물은 펌프를 통해 바로 옆 안양천으로 빠져나간다.
방재 전문가들은 최근 홍수 피해의 가장 큰 문제가 도시침수라고 입을 모은다. 도시화에 따라 흙바닥은 물이 흡수되지 않는 포장도로로 바뀌었다. 기후변화로 인해 단시간에 많은 비가 쏟아지는 집중강우가 내리면 기존 설치된 하수관로는 새롭게 늘어난 빗물량을 감당하지 못하고 도시는 물에 잠기게 된다.
서울에만 빗물터널이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경기 부천시와 부산 동래구에서도 추진 논의가 있다.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빗물터널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워낙 비용이 많이 드는 사업인 만큼 부산의 경우 아직까지 구체적인 공사 시기나 사업비용은 나오지 않았다. 사업 타당성 등을 검토해 예산당국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현장에는 아랍권 대표 방송으로 카타르에 본사를 둔 알자지라 방송의 취재진도 동행했다. 건조한 사막 기후로 유명한 중동 아랍권 국가에는 1년 동안 내릴 비가 12시간만에 내리는 등 최근 기상이변이 발생하고 있다. 이들 지역은 비가 적게 오는 만큼 기존 배수시설이 미흡하기에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문제가 더 커진다.
빗물터널 수출 현황에 대해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아직까지 빗물터널과 관련된 수출 제안은 받지 못했다"면서도 "중동 등 전 세계적으로 여러 이상기후가 발생하고 있다. 빗물터널도 충분히 수출 아이템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양가희 기자 = 빗물은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의 마지막 장소인 목동 빗물펌프장의 유수장에 모인 뒤, 비가 오지 않을 때 인근 안양천으로 빠져나간다. 사진은 지난 10일 유수장 입구를 향해 올라가는 사람들을 바닥에서 촬영한 모습. 2024.05.12 sheep@newspim.com |
◆ 도시침수의 '마지막 카드' 빗물터널…시설 규모처럼 사업비용도↑
빗물터널은 다른 하수도 정비 방법인 하수관로 확대나 지하저류조 설치가 어려운 곳에 주로 설치된다. 시설이 크고 도시 밑에서 진행하는 대공사인 만큼 빗물터널은 비싼 사업이기도 하다. 신월 터널은 국비 350억원, 시비 1030억원 총 1380억원이 들었다. 빗물터널은 설치 상황 및 비용 측면에서 모두 '마지막 처방'인 셈이다.
실제로 현재 추진되고 있는 서울 강남역, 광화문 빗물터널 사업에는 각각 5386억원, 3298억원의 사업비가 책정됐다. 같이 진행된 도림천 지하방수로 사업비는 5005억원이다.
이들 사업은 올 연말 공사를 시작해 2028년까지 준공할 계획으로, 지난 2022년 홍수기 대규모 침수피해 이후 본격적인 추진이 결정됐다. 지난 2월 입찰 공고가 무응찰 유찰로 끝나자 환경부는 기획재정부와 협의 끝에 사업비를 1조2052억원에서 1조3689억원으로 올렸다. 3개 사업 모두 지난 3~4월에 걸쳐 3개 사업 모두 단독입찰로 최종 결정됐다.
거액이 드는 사업비용에 일각에서는 빗물터널의 다른 활용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기도 한다. 시설 운영을 담당하는 양천구 관계자는 "요즘은 홍수기가 아니어도 큰 비가 내리는 등 시설 개방에 위험성이 따르고, 평상시 청소·관리를 진행해도 퇴적물이 일부 쌓이는 만큼 살짝 냄새가 난다"며 "조명시설을 설치해 운동할 만한 장소를 마련하는 등 여러 아이디어가 제시되는데, 서울시와 함께 중장기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주민들에게 40m 지하로 내려가는 것에 대한 부담도 있다"며 "설계 업체와 추가적으로 아이디어를 나눌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양가희 기자 = 목동 빗물펌프장 전경 2024.05.12 sheep@newspim.com |
shee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