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식 수요 증가와 해외 수출 확대...식품가 1분기 양호한 성적표
해외사업 비중 높을수록 호실적....가격 내린 라면 3사도 선방
고물가 속 슬쩍 인상 '그리드플레이션' 우려도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주요 식품업체들이 올해 1분기 고물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악재에도 호실적을 기록했다. 국내 시장의 내식 수요 증가와 K푸드 열풍에 따른 해외 수출 확대 특수를 누린 영향이다. 그간 원재료 가격 상승을 호소하며 가격 인상을 검토했던 업체들은 실적 발표를 앞두고 표정관리에 돌입했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롯데웰푸드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37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 배 수준인 100.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액은 9511억원으로 0.9% 줄었지만 이익률이 상당수준 개선된 것이다.
롯데제과와 롯데푸드의 합병 시너지와 해외수출 호조가 실적 상승의 주 요인으로 파악된다. 롯데웰푸드는 "국내 사업은 통합 이후 합리화에 따른 매출 감소와 고원가 재고 소진 등으로 이익이 증가했다"며 "글로벌 사업은 인도 및 카자흐스탄 사업 성과로 이익 증가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동원F&B도 고물가 속 내수 증가 효과를 보면서 1분기 호실적을 냈다. 동원F&B의 연결기준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4.8% 증가했다. 이 기간 매출액은 1조 1190억원으로 3.5% 성장했다. 내식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명절 기간 가성비 높은 선물세트 매출이 크게 증가한 덕분이다. 또 즉석밥, 국탕찌개 등 가정간편식(HMR) 판매도 호조를 나타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 과자코너의 모습.[사진=뉴스핌DB] |
바이오 업황 부진으로 한동안 고전하던 CJ제일제당과 대상의 올 1분기 컨센서스(증권사의 실적 전망치 평균)도 긍정적이다. 이들 업체의 국내외 식품사업이 순항하고 있는 가운데 라이신 등 바이오 사업이 회복세를 보인 덕분이다.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CJ제일제당의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3521억원으로 전년 대비 39.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7만2792억원으로 2.9%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대상의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전년 대비 81.9% 증가한 453억원으로 예상됐다. 매출액은 3% 늘어난한 1조195억원으로 전망됐다.
정부의 물가안정 요청에 부응해 지난해 하반기 일부 라면 제품 가격을 인하해 실적 타격 우려가 있던 라면 3사도 예상대비 양호한 성적을 낼 전망이다.
농심의 올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전년 동기 대비 2.5% 오른 654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액은 4.9% 증가한 9030억원으로 예상됐다. 오뚜기의 올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668억원으로 예상됐다. 이 기간 매출액 전망치는 8604억원으로 4.9% 증가할 것으로 집계됐다.
해외 수출 비중이 70%에 달하는 삼양식품의 경우 준수한 실적 성적표를 받았다. 삼양식품의 1분기 매출액 전망치는 전년 대비 74.4% 늘어난 417억원으로 예상됐다. 매출액 전망치는 31.4% 늘어난 3228억원으로 집계됐다.
마찬가지로 해외 매출 비중이 70%에 육박하는 오리온 또한 1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전년 동기 대비 25.5% 오른 1245억원으로 전망됐다. 그 외 SPC삼립, 빙그레 등 업체들도 영업이익기 전년 동기 대비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그런데 이처럼 양호한 실적 성적표를 받아든 주요 식품업체들의 표정이 마냥 밝지만은 않다. 그간 자칫 1분기 호실적으로 인해 물가상승을 틈타 상품값을 올리는 그리드플레이션(Greed+Inflation·탐욕 인플레이션) 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일례로 롯데웰푸드는 지난달 "코코아 가격 급등으로 원가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며 초콜릿 관련 제품 가격 인상을 예고한 바 있다. 당초 이달부터 가격을 평균 12% 올릴 예정이었지만 정부 요청으로 인상 시기를 내달로 늦췄다. 가격인상을 앞두고 1분기 영업이익이 두 배 가량 뛴 것이 다소 민망해졌다.
실제 뉴욕 상품거래소(NRBOT-ICE)에서 지난 8일 거래된 코코아 선물 가격은 t당 8634달러로 이는 종전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달 19일(1만2218달러) 대비 29.3% 감소했다. 다만 이는 수년간 t당 2000달러 중반을 유지했던 2022년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가격이다.
이 외에도 주요 식품업체들은 원재료 가격, 인건비 등 제조비 상승을 들며 가격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피력해온 바 있다. 실제 4·10 총선 직후 치킨, 햄버거, 김밥, 김 등 제품가격들이 연쇄적으로 오르고 있는 추세다. 관련해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단기간의 비용 부담을 소비자들에 모두 전가할 경우 소비침체로 이어져 모두에게 해가 되는 악순환의 길로 들어설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식품업계는 고물가 속 슬쩍 가격을 올리는 일각의 '그리드플레이션' 우려에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정부의 물가안정 요청으로 인상을 최대한 미뤄왔고 사업 효율화를 강화해 이익을 냈다"며 "이윤을 추구해야 하는 기업의 특성상 원가가 크게 오른 품목은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