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오늘 A주] 6일째 외인 순매수에 4일만에 지수 반등

기사입력 : 2024년03월15일 16:19

최종수정 : 2024년03월15일 16:24

상하이종합지수 3054.67(+16.44, +0.54%)
선전성분지수 9612.75(+57.33, +0.60%)
촹예반지수 1884.09(+1.07, +0.06%)
커촹반50지수 808.67(+3.81, +0.47%)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15일 중국 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 상승폭은 크지 않았지만 3거래일 연속 하락한 후 4일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이날 중국 증시는 오전장 하락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이날 오전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2.5%로 동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에서 이미 예상된 바였지만, 조정장에서 호재가 나오지 않았다는 점에서 실망 매물이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오후 들어 외인의 매수가 가세하면서 지수는 반등했다. 특히 외인 순매수는 6거래일 연속되는 것이어서 장내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 매수세가 지속 유입되면서 3대 지수는 모두 상승으로 장을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0.54% 상승한 3054.67로, 선전성분지수는 0.60% 상승한 9612.75로, 촹예반지수는 0.06% 상승한 1884.09로 각각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은 6거래일째 순매수를 이어갔다. 후구퉁(滬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상하이 증시 투자)이 67억 9200만 위안 순매수했고, 선구퉁(深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선전 증시 투자)이 35억 3400만 위안의 순매수를 기록하며 북향자금(北向資金, 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은 103억 2600만위안의 순매수를 나타냈다. 원화로 환산하면 약 1조9082억원이다.

중국 보하이(渤海)증권은 이날 "시장은 현재 다음 주 발표될 2월 경제지표를 기다리고 있다"며 "경제지표가 강세를 보인다면 지수 상승 여력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만약 반대의 경우라면 시장은 조정을 이어가면서 4월 발표될 1분기 경제데이터를 기다리게 될 것"이라고 덧붙다.

업종별로는 폐기물 재활용 관련주들이 대폭 상승했다. 차오웨커지(超越科技), 이추쯔위안(怡球資源), 둥장환바오(東江環保), 거린메이(格林美)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지난 13일 국무원이 '대규모 장비 업그레이드 및 소비재 교체 촉진을 위한 실행 방안'을 발표했으며, 실행 방안에 폐품 수거와 재활용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 포함돼 있는 점이 뒤늦게 시장에 주목을 받았다.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관련주도 상승했다. 룽지지셰(隆基機械), 산쯔구펀(山子股份)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고, 베이징기차 산하 전기차업체인 베이치란구(北汽藍谷)가 8.76% 상승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국무원이 소비재 교체 촉진 실행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이날 시장에서는 정부가 노후 자동차 교체 지원 방안에 대한 세칙을 만들고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노후차 교체 지원에 대한 세칙은 이르면 2분기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산하 외환거래센터는 이날 달러당 위안화 기준 환율을 7.0975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전 거래일 대비 0.0001위안 오른 것으로, 위안화 가치로는 0.001% 하락한 것이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상하이종합지수 15일 추이

ys174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