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SK하이닉스 시장가치 주목…'안정적 현금흐름'
내년 영업익 8조원 손실에서 내년 7조원 흑자전환 전망
[서울=뉴스핌] 이지용 기자 = 인공지능(AI)용 반도체 시장 확대 수혜에 따라 SK하이닉스의 기업 신용등급이 상향됐다.
SK하이닉스는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SK하이닉스의 기업 신용등급을 'BBB-'로 유지하고 전망(Outlook)을 종전의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한 단계 높였다고 밝혔다.
S&P는 "빠르게 성장하는 AI(인공지능)용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가진 SK하이닉스의 시장 가치에 대해 주목하며, 수익성 개선과 안정적인 현금흐름 전망을 근거로 회사의 전망치를 상향했다"고 밝혔다.
![]() |
인공지능(AI)용 반도체 시장 확대 수혜에 따라 SK하이닉스의 기업 신용등급이 상향됐다. [사진=SK하이닉스] |
S&P는 SK하이닉스의 선도적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지위를 고려할 때 HBM3를 비롯한 생성형 AI 메모리 반도체의 급속한 수요 확대에 힘입어 앞으로 6~18개월간 의미있는 수준의 영업실적 개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SK하이닉스의 시장 선두 지위와 생산능력 확대를 기반으로 앞으로 생성형 AI 반도체 시장입지를 강화하고 매출 및 영업이익을 S&P의 기존 추정치보다 더 빠르게 개선시킨다는 것이다.
SK하이닉스의 D램 매출 내 HBM 비중은 올해 10~15%에서 내년 30%가량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DDR5 메모리의 매출 증가도 D램 마진 개선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의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는 올해 약 6조원에서 내년 약 21조원으로 크게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기간 EBITDA 마진도 18%에서 42%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SK하이닉스의 내년 잉여영업현금흐름은 흑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올해 4조원에서 내년 16조원가량으로 증가하고 영업이익도 올해 약 8조원의 손실에서 내년 7조원으로 흑자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SK하이닉스의 캐펙스(설비투자) 규모는 올해 8조원에서 내년 14조원가량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내년 물량까지 선주문을 확보해 추가적인 HBM 캐파(생산능력) 증설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leeiy52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