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M 점유율 1, 2위 다퉈, 1형 당뇨병 환자서 활용도 높아
비만치료제 심장질환뿐 아니라 '1형도 효과' 연구결과 역풍
덱스콤 파트너 인슈렛도 급락, 두 달여 동안 낙폭 47%
이 기사는 10월 5일 오후 4시3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혈당 측정기 회사 덱스콤(종목코드: DXCM)의 주식이 최근 우리나라 투자자 사이에서 인기를 끈다. 덱스콤은 올해 미국 주식시장에서 열풍을 일으킨 비만치료제가 되레 역풍이 돼 주가가 두 달여 동안 35% 넘게 떨어진 종목으로 최근 전문가 사이에서 관련 우려가 과도했다는 판단이 나오는 것과 함께 60% 반등이 점쳐지고 있다. 덱스콤이 구체적으로 어떤 회사이고 월가에서는 어떻게 평가되는지 알아봤다.
[사진=덱스콤 홈페이지 갈무리] |
덱스콤은 혈당 측정기인 CGM(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피하에 침투되는 센서를 피부에 부착해 간질액 내 포도당 농도를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장치) 시장에서 미국 애보트와 세계 시장 점유율 1, 2위를 다투는 회사다. 메드테크다이브에 따르면 덱스콤은 미국에서 *1형 당뇨병 환자 사이에서 70%가량의 점유율을 차지해 30%의 애보트를 앞지르는 한편 2형 당뇨병 환자에서는 애보트가 76%로 덱스콤의 24%를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1형 당뇨병은 주로 자가면역학적 기전(Mechanism)에 의해 췌장에 있는 인슐린을 분비하는 β(베타) 세포가 파괴돼 인슐린이 나오지 않아 고혈당 상태가 되는 것을 일컫는다. 본래 외부의 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작용해야 할 면역이 잘못해 베타 세포를 표적으로 삼아 파괴한다는 얘기다. 1형 당뇨병 쪽은 스스로 인슐린을 만들어 낼 수 없기 때문에 인슐린 주사가 필요하다. 어린이나 청소년에서 주로 발생한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은 분비되지만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혈당치가 내려가지 않는(인슐린 저항성) 경우나 분비 그 자체가 줄어드는(인슐린 분비 저하) 경우가 있다. 당뇨병 환자의 약 90~95% 2형(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미국인 환자 대상 추산)이고, 중장년층서 많이 발생한다. 고혈당이 교정되지 않는 경우 약물이나 인슐린 주사로 치료하기도 하지만 우선은 운동이나 식이요법을 통해 치료한다.
당뇨병 환자 90% 이상이 2형인 까닭에 덱스콤보다 애보트가 우위에 있을 것 같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CGM 활용의 필요성은 인슐린 주사에 의존해야 하는 1형 환자에게 더 높을 수 있어서다. 혈당 변화에 따라 인슐린의 주입 시기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하는 만큼 지속해서 혈당을 실시간 측정해야 한다. 올해 3월 UBS에 따르면 2030년까지 당뇨병 환자의 CGM 사용 비율은 1형의 경우 83%, 2형은 30%로 추산됐다.
덱스콤의 CGM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나아가 웨어러블 인슐린 투여 기기(연계 제품 Omnipod; 인슈렛사<社>에서 제조)나 자동 인슐린 펌프(연계 제품 t:slim X2; 탠덤다이어비티스케어사 제조)에 연동된다. 에어팟 케이스를 연상시키는 Omnipod의 경우 CGM 위에 부착되는데 무선으로 인슐린이 필요한 것으로 측정되면 장치에 저장된 인슐린이 미세 캐뉼를 통해 인체에 전달된다.
덱스콤의 주가는 올해 들어 7월 중순까지 상승하다가 그 뒤부터 하락 반전해 현재까지 계속 떨어졌다. 연중 고점인 7월18일의 137.93달러에서 이달 4일 87.7달러까지의 낙폭은 36%다. 종전만 해도 장기적인 성장 기대주로 분류되며 주가지수 S&P500의 상승률을 '아웃퍼폼(덱스콤은 2020년 5월 S&P500 구성 종목으로 편입)'하고 있었다. 2022년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를 웃도는 잇단 결산 발표, 신제품 G7 규제승인(2022년 3월과 12월 각각 미국과 유럽서 승인)이 호재가 됐다.
'잘 나가던' 덱스콤의 주가가 올해 7월부터 급히 떨어진 것은 시장금리 상승 등 거시적인 악재도 있지만 낙폭을 키운 배경에는 '비만치료제 역풍'이 있다. 비만치료제인 노보노르디스크의 '위고비(2021넌 미국 FDA<식품의약국> 승인)'나 일라이릴리의 '문자로(비만치료용 연내 FDA 승인 계획, 당뇨병 치료용으로는 2022년 기승인)'가 출시되고 그 인기를 더해가면서 차후 체중 감량 인구가 늘어나면 당뇨병 발병률이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확산했다. 원래 위고비나 문자로는 2형 당뇨병 치료용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위고비와 문자로의 출시 시점은 각각 2021년과 2022년으로 올해와 거리가 있지만 관련 약물이 체중 감량 효과뿐 아니라 심장 질환에 의한 사망 위험 저감에도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올해 8월8일 노보노르디스크 발표)가 나오고 1형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사용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 9월6일) 나오면서 약물 효능이 더 주목받았다. 이 때문에 그렇지 않아도 시장금리 악재로 하락 압박을 받던 덱스콤 같은 당뇨병 관련 기기 기업의 주가가 곤두박질쳤다. 덱스콤의 파트너사 인슈렛의 경우 7월18일부터 현재까지 낙폭이 47%다.
▶②편에서 계속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