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저널리즘 본질, 변하지 않는다"
[서울=뉴스핌] 김용석 전문 기자 = 지난해 11월에 나온 챗GPT는 벌써부터 화두다. 이용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관심도 그만큼 크다.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과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사용해 챗GPT를 만든 오픈AI는 언어모델인 GPT-3.5를 사용하고 있다.
AI '챗GPT' 열풍에 대해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저널리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라고 단언했다.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사진= 오세욱] |
오세욱 연구위원은 "챗GPT가 인간이 만들어낸 모든 걸 학습한다 하더라도 한계에 다다를 것이다"라며 "'스마트한 기계'일뿐이다"라고 했다.
그는 "확률이 낮더라도 가능성을 생각을 하는데 챗GPT는 확률이 높은 걸 우선 계산할 수밖에 없다. 알고리즘은 통계를 기반으로 무언가을 배제한다. 왜 배제 또는 소외되는 상황이 됐을까?라는 판단을 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챗GPT가 인간을 대체할 수는 어렵다"라고 했다.
이어 "사람이 보면 쉽게 알수 있는 것들이 있다. 하지만 기계는 우리가 잘 알 수가 없는 환경 기반을 계산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이런 점에서 인간이 계속 개입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자신이 펴낸 '알고리즘의 블랙박스'라는 저서에서 오세욱 위원은 '이미 사람들은 알고리즘에 길들여져있다'라며 '알고리즘의 '맞춤 추천' 결과'에 대한 냉철한 판단을 요구했다. 그에 따르면 우린, 이미 현대에선 알고리즘화된 미디어 환경 속에서 그 논리와 공생하고 있다. 사람들이 체감하는 것은 오직 결과 뿐이다.
이에대해 그는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것들이 문서화 되어 있느냐 또는 기록으로 남아 있느냐 생각해 보면 그건 아니다. 사실 확인은 반드시 필요하다. 인간을 일정부분에서 대체할 수는 있지만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다"라고 했다.
[사진= 로이터 뉴스핌] |
특히, 미디어계에 대해선 '저널리즘 본연의 길로 가야한다'라고 강조했다.
오세욱 위원은 "이젠 단순 보도 자료라든지 심플한 작업을 기자가 하면 안된다"라며 챗GPT의 인기에 "최소한 관심 있는 누구나 다 챗GPT를 쓰고 있다고 봐야한다. 그 쓰는 사람들이 예상하는 범위 내에 있는 기사는 당연히 경쟁력이 없다"라고 설명했다.
최근엔 유튜브 등 의도적이든 그렇지 않든 간에 '가짜 뉴스'로 홍역을 앓고 있다. 이에대해 오위원은 "거짓말할 수 있는 통로가 많아져서 생긴 문제다. 오류를 체크하는 건 챗GPT가 하는게 아니라 사람이 해야한다. 빠른 팩트 체크를 통해 '아니다'라는 정보를 줄수 있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자동화 알고리즘의 결과물을 감시하기 위해선 인간의 관점에서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다'라는 주장을 해온 오 위원은 맞춤추천에 대해 "마이크로소프트등 각 기업등이 개인들에게 추천을 받고 싶은 지 않은 지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먼저 주어야 한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finevie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