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최근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에서 뜨거운 인기를 누린 흥행 웹툰 '정년이'가 창극, 드라마로 영역을 확장한다. 1950년대 여성국극단의 이야기를 담은 참신한 소재와 캐릭터, 서사가 TV와 무대를 통해 흥행 전통예술 콘텐츠로 거듭나는 것이다.
◆ 독특한 소재와 힘있는 여성서사…K-드라마화 뜨거운 관심
지난 2019년 4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약 4년간 연재된 네이버웹툰 '정년이'는 1950년대 서울의 여성국극단을 배경으로 국극 배우가 되고 싶은 목포 소녀 '정년이'와 국극 단원들의 성장기를 그렸다. 완결이 난 현재까지 평점 평균이 10점 가까이 유지되는가 하면, 관심등록 독자 수가 폭증하는 등 큰 인기를 끌었다.
[사진=국립극장] |
특히 '정년이'는 신선한 소재와 탄탄한 그림체, 매력적인 캐릭터는 물론 여성성과 남성성의 경계를 허물어 가는 캐릭터들을 그리며 '진정한 여성 서사 웹툰', '성 고정관념을 탈피한 웹툰'이라는 평을 받으며 여성 서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덕분에 지난 2020년 올해의 양성평등 문화콘텐츠 상을 수상하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을 받기도 했다.
'정년이'에서는 여성 서사를 다루는 동시에 1950년대라는 시대를 배경으로 한 만큼 여성들이 차별받는 상황, 그 안에서 저항하는 진취적인 여성들을 묘사한 부분이 많다. 이같은 작품 특성이 흥행에도 일조했으며 서이레 작가는 주인공 정년이의 모델로 영화 '아가씨'의 김태리 이미지를 참조했다고 말한 바도 있다.
이후 '정년이'의 창극화에 이어 드라마화 소식이 들려오면서 웹툰을 본 원작팬들과 K드라마 팬덤이 들썩였다. 원작의 모티브가 됐던 김태리가 캐스팅 물망에 오르며 더욱 화제가 된 것은 물론이다. 네이버웹툰 자회사 스튜디오N과 매니지먼트mmm, 앤피오엔터테인먼트가 공동으로 제작을 맡고 연출은 MBC '옷소매 붉은 끝동' 정지인 감독, 극본은 최효비 작가가 집필한다. 올해 캐스팅을 마무리하고 제작에 들어갈 예정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배우 김태리가 2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영화 '외계+인' 1부 제작보고회에서 머리를 넘기고 있다. '외계+인' 1부는 고려 말 소문 속의 신검을 차지하려는 도사들과 2022년 인간의 몸속에 수감된 외계인 죄수를 쫓는 이들 사이에 시간의 문이 열리며 펼쳐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다. 오는 7월 20일 개봉 예정. 2022.06.23 mironj19@newspim.com |
◆ '정년이' 속 소재 그대로 살려 창극화…K-전통예술 흥행시대 열까
'정년이'에서는 여성 인권에 대한 인식이 바닥이던 시절을 배경으로, 여성국극단인 매란국극단의 연구생으로 들어간 주인공의 여정을 그린다. 국내에서 1948년 최초로 여성국악동호회가 만들어지고 10여년의 전성기를 거친 뒤 사라진 과정도 웹툰에 담겼다. 이런 여성 국악인들의 역사를 거쳐온 우리 국악계가 창극으로 '정년이'를 3월 선보이게 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창극단은 '정년이'의 공연을 오는 3월 17일부터 추가 공연까지 총 12회 무대에 올린다. 4년간 연재된 웹툰 137화 분량의 방대한 서사 속 명장면들을 새롭게 창작된 40여 곡의 소리로 펼쳐낸다. 무대는 전환의 미학을 살린 현대적 무대로 재구성된다. 무려 70여년 전 여성국극단이 열중하던 우리 소리를 현대 국악인들이 지은 창극과 연출로 만나볼 수 있단 점이 묘미다.
소리에 재능을 타고난 목포 소녀 윤정년과 여성 소리꾼들 이야기를 위해 국내의 이름난 소리꾼, 국악인들이 힘을 보탰다. 창작 판소리극 '사천가'와 '억척가'로 호흡을 맞춘 남인우와 이자람이 각각 연출과 작창, 음악감독을 맡았으며 지난해 제 16회 차범석희곡상을 받은 김민정 작가가 남인우 연출과 함께 극본을 썼다. 주인공 '윤정년' 역에는 국립창극단 이소연과 조유아가, 라이벌 '허영서' 역의 왕윤정, 정년의 첫 번째 팬인 '권부용' 역의 김우정을 포함해 2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의 국립창극단 대표 배우들이 무대에 오른다.
창극 '패왕별희' 이자람 음악감독 [사진=국립창극단] |
특히 소리와 춤, 연기가 어우러진 창극을 자체를 소재로 하는 만큼 국립창극단이 생생하게 되살려낼 '정년이'에 대한 관심은 폭발적이다. 당초 예정됐던 '정년이'의 9회 공연이 매진 사례를 쓰면서 국립극장은 총 3회의 추가 회자를 오픈하기도 했다. 예비관객들 사이에선 총 12회, 약 510석의 달오름극장 공연이 너무 적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현재의 무대는 여러 모로 창작진이 인물 캐릭터나 극 사이즈, 무대 구성 등을 고민한 결과다.
인기 웹툰을 전통예술장르로 확장시킨 '정년이'를 향한 반응은 꽤나 이례적이다. 매번 창극단 작품이 화제가 됐긴 하지만 두달 전에 전석 매진이 된 경우는 드물다는 것이다.
국립극장 관계자는 "신작이다보니 공연 올린 뒤 반응에 따라 작품을 레파토리화한다든지 하는 시도가 있을 것"이라면서 "두 시간 분량에 원작의 방대한 서사를 압축적으로 담은 만큼 주요인물 관계 이외의 다른 인물 서사도 번외편으로 나오면 어떤가 하는 의견도 가끔 나온다. 흥행 웹툰을 무조건 창극화하는 것은 아니지만 향후에도 소재가 창극단에 잘 어울린다면 또 다른 웹툰 기반 전통예술장르 제작에도 가능성이 열려있다"라고 말했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