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韩外长:"韩版印太战略"是尹锡悦政府的外交基本政策

기사입력 : 2022년12월29일 08:16

최종수정 : 2022년12월29일 08:16

纽斯频通讯社首尔12月29日电 韩国政府28日发布"韩版印太战略"。外交部长官朴振当天下午表示,韩国的目标是成为为世界和平、自由与繁荣做贡献的全球中枢国家。"韩版印太战略"是实现全球中枢国家的根基。

图为28日,韩国外交部长官朴振在外交部大楼举行的"韩版印太战略推介会"上向驻外使团做演讲。【图片=纽斯频通讯社】

题为"自由、和平与繁荣的印太战略推介会"28日在首尔市钟路区的外交部大楼举行,外交部长官朴振出席并发表包含上述内容的演讲。他强调,在应对地区和全球挑战的背景下,韩国应在持续扩大国际影响力的情况下,巩固地区伙伴国家友好关系,并在印太地区实现成为全球中枢国家的构想。

朴振表示,印太地区人口占全球人口的65%,国内生产总值(GDP)超过全球的60%,贸易比重达46%,是经济和技术极具潜力的地区。韩国作为开放的贸易国家在印太地区的稳定和繁荣方面拥有巨大利益。尤其是印太地区占韩国总出口的78%,进口的67%,韩国排名前20的贸易国中,过半来自印太地区。

朴振指出,最近一段时间,复合型挑战增加,给印太地区的自由、和平与繁荣带来威胁。安全环境的不确定性导致地区秩序稳定性逐渐恶化,民主主义退步,自由、法制与人权这一普世价值受到挑战。

席间,朴振具体谈到韩版印太战略的目标,夯实自由、民主主义、法制和人权等普世价值基础、防止在朝核问题等方面以规则为基础的纷争和武力冲突,通过对话和平解决的原则、构建印太地区共同繁荣和开放、公正的经济秩序。

为实现上述目标,韩版印太战略提出三大合作原则,即包容、信赖与互惠。朴振表示,韩版印太战略是包容性战略,不针对、排挤特定国家。韩方将同"志同道合"的所有伙伴国家开展合作。

就信赖原则,朴振指出,韩方追求在稳固的互信下进行合作。信赖是以共同可持续的方式应对多种地区和全球挑战课题的必要因素。韩方尊重原则与规范,将成为全球其他国家值得信赖的合作伙伴。

朴振谈到互惠原则时强调,只有符合所有当事国的利益才是有效的,才会追求互利合作。我们将贡献韩国经济开发与民主化经验,利用技术和文化竞争力等国际优势,向实际利益伙伴国提供援助。我们将通过印太战略发掘新的合作机遇,共商实现印太地区自由、和平与繁荣之大计。

就韩国政府28日发布的韩版印太战略,朴振评价称,这是韩国外交政策历史的分水岭,是尹锡悦政府的外交基本政策。

朴振表示,韩朝分裂以来,韩国面临的最重要的外交问题就是朝鲜问题。因此能直接影响韩半岛的外交问题一直重于其他国际和地区事务。韩国已跻身发达国家行列,因此不能仅关注自身问题。在国际地位日益提升的背景下,韩国应重新调整在国际中扮演的角色与责任。韩国政府将同各国一道加强并守护基于规则的国际秩序。

朴振指出,政府首次将捍卫和增进普世价值明确写入对外战略,多次重申反对依靠力量解决争端。从贫困国家成为经合组织(OECD)贡献国的韩国已做好帮助地区内其他国家实现发展与经济增长的准备。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美, 인텔 이어 삼성도 지분 내놔라?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법(CHIPS Act)상 보조금을 활용해 인텔 지분 확보를 추진 중인 가운데, 삼성전자와 대만 TSMC 등 다른 반도체 기업에도 같은 방식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로이터 통신이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삼성전자, 마이크론, TSMC 등 미국 내 공장 건설과 투자를 진행 중인 반도체 기업들을 상대로,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 시절 약속된 정부 보조금 제공과 맞바꿔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현실화하면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 파장이 불가피하다. 미국 정부에 지분을 넘기고 싶지 않다면 보조금을 포기해야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기업들의 순익 전망과 투자 계획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미국의 산업정책이 정권에 따라 오락가락한다는 업계의 불만과 비난 또한 커질 수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성격상 귀담아 들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 러트닉 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거래에서 실질적 이익을 얻어야 한다고 본다"며 "왜 1천억 달러 규모의 기업에 돈을 줘야 하는가. 우리는 약속한 보조금을 지급하되, 그 대가로 지분을 받아 미국 납세자들에게 혜택을 돌릴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 지분 10%를 확보할 경우 최대 주주가 될 수 있지만, 러트닉 장관은 "경영권에 개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조치는 전례가 없는 것이며, "이는 대기업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 확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게 될 것"이란 진단이다.  로이터는 "마이크론은 인텔에 이어 반도체법 보조금을 가장 많이 받는 미국 기업이며, 삼성전자와 TSMC 역시 주요 수혜 대상"이라며 "이번 검토는 미국 정부가 반도체 산업에 대한 직접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6월에도 비슷한 조치가 있었는데, 트럼프 정부는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승인 조건으로 '황금주(golden share)'를 확보해 주요 경영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삼성전자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 건설 현장. [사진=삼성전자] wonjc6@newspim.com   2025-08-20 08:31
사진
"10개 석화기업 NCC 370만톤 감축"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위기에 처한 석유화학 업계에 대해 강도 높은 '자구노력'을 요구했다. 업계가 제출한 계획에 대한 진정성 여부를 판단한 후 금융, 세제 등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도 공개했다. 구 부총리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산경장)를 주재하고, 10개 석유화학 기업과 사업재편 협약을 체결했다. 이재명 정부의 첫 산경장이다. 이번 협약은 최대 370만톤 규모의 설비(NCC) 감축을 목표로 연말까지 각 사별로 구체적 사업 재편 계획을 제출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협약식에는 LG화학, 롯데케미칼, SK지오센트릭, 한화토탈, 대한유화, 한화솔루션, DL케미칼, GS칼텍스, HD현대케미칼, S-OIL 등 10개사가 참석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당정협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8.20 pangbin@newspim.com 구 총리는 "중국·중동 등 글로벌 공급과잉이 예고됐는데도 국내 석화 업계는 과거 호황에 취해 오히려 설비를 증설했다"며 "고부가 전환까지 실기하며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질타했다. 이어 "이제 첫걸음을 뗀 것일 뿐 갈 길이 멀다"며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예고했다. 구 부총리는 "기업과 대주주가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바탕으로 구속력 있는 사업 재편·경쟁력 강화 계획을 빠르게 제시해야 한다"며 "당장 '다음 달'이라도 계획을 제출하겠다는 각오로 속도감 있게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유화학 업계가 정부에 제출한 계획이 진정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규제완화, 금융, 세제 등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구 부총리는 "사업 재편을 미루거나, 무임승차하려는 기업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 대상에서 배제하는 등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과거 뼈를 깎는 구조조정 과정을 거쳤지만, 현재 활황을 보이는 조선업은 '좋은 선례'라고 소개했다. 그는 "조선업은 과거 고강도 자구 노력이 열매를 맺어 세계 1위로 재도약하고, 최근 한-미 관세협상에도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며 "조선업의 발자취를 따라간다면 석유화학산업도 화려하게 재도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wideopen@newspim.com 2025-08-20 13:1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