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실, 정부업무평가 개편…올해부터 적용
이달 말 '정부업무평가위원회'서 개편안 확정
규제혁신 성과에 정부업무평가 희비 갈릴 듯
[세종=뉴스핌] 김명은 기자 = 정부가 정부업무평가에서 '규제혁신' 배점을 두배로 대폭 높일 방침이다.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규제혁신을 보다 강하게 촉진하기 위한 것.
특히 올해(2022년) 업무평가부터 바로 적용할 방침이어서 각 부처의 업무에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새 정부의 업무평가는 사실상 규제혁신 성과에 따라 희비가 갈릴 것이라는 얘기가 벌써부터 나온다.
22일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정부업무평가에서 '규제혁신' 성과 배점(100점 중 10점)을 두배 이상 높이는 방안을 담은 정부업무평가 시행계획안을 마련하고 있다.
국무조정실 고위관계자는 "정부업무평가에서 '규제혁신' 배점을 현재(10점)보다 최소한 두 배 이상 높일 것"이라면서 "더 높은 비중으로 높이고 싶지만 일단 (각 부처)의 성과를 보면서 추가로 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가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2022.08.18 yooksa@newspim.com |
중앙행정기관 업무평가는 ▲특정평가 ▲자체평가 ▲개별평가 등 크게 3가지 항목으로 나뉜다. 이 가운데 국무총리가 국정을 통합 관리하고 관련 성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는 게 특정평가다. 현재는 총 100점 만점 기준으로 ▲주요정책(65점) ▲규제혁신(10점) ▲정부혁신(10점) ▲정책소통(15점) ▲적극행정(3점 가점) 등 부문별로 배점을 하고 있다(아래 표 참고).
국무조정실은 이 가운데 규제혁신 배점을 두배 이상으로 늘리고 주요정책 등 나머지 부문 배점을 줄이기로 했다. 새 정부 출범이나 국제정세 급변 등으로 정책환경이 바뀌었을 때 각 부처의 대응노력도 평가에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문별 세부평가 지표도 일부 바뀔 것으로 보인다. 규제혁신 부문의 경우 현재 ▲핵심분야 규제혁신 노력·성과(60%) ▲규제 전주기 관리(20%) ▲규제혁신 소통 및 체감도(20%) 등으로 구성돼 있다. 세부평가 지표는 국무조정실 규제담당 부서에서 개발 중이다. 새 정부에서 신설된 규제심판제도가 지표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업무평가 시행방안은 정부업무평가위원회에서 심의·의결돼야 최종 확정된다. 정부업무평가위원회 위원 11명 가운데 8명의 임기가 지난 5월 말로 끝나 현재 인선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 |
정부 관계자는 "8월 안에 평가위원회 구성이 완료되면 곧이어 시행계획이 확정될 것"이라면서 "이를 기초로 연말까지 평가 작업이 진행되고 결과는 내년 초 발표된다"고 말했다.
각 부처는 평가 결과에 따라 개선·보완 조치 계획을 수립해야 하고 국무조정실은 부처별 이행상황을 점검하게 된다.
정부는 각 부처의 규제혁신태스크포스(TF)와 민간 건의사항을 토대로 총 1004건의 규제혁신 과제를 선정했다. 이 가운데 140건은 법령 개정 등 개선 조치를 끝냈고 703건은 소관 부처가 개선을 추진 중이다. 나머지 161건은 소관 부처가 불수용 입장을 나타내 재검토에 들어갔다. '대형마트 영업제한' 규제가 대표적이다.
dream7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