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침공 후 달러당 120루블 →78루블로 회복
당국 외화 통제·막대한 에너지 수출 덕분
제재효과 내려면 "전면적 에너지 금수 필요"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급락했던 루블화의 가치가 반등하며 침공 이전 수준으로 안정되고 있다. '루블'이 '러블(쓰레기)'기 될 거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호언장담이 무색할 지경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 미 달러화 대비 80루블에 거래되던 루블 환율은 침공 이후 120루블까지 급락했으나, 8일(현지시간) 78루블대로 회복됐다. 서방의 제재에도 막대한 에너지와 원자재 수출에 힘입어 경상수지가 흑자를 유지하며 루블화 가치 반등을 도왔다.
[달러/루블 환율, 자료=야후 파이낸스] 고인원 기자 2022.04.08 koinwon@newspim.com |
러시아 경제를 무력화시켜 우크라이나전에서 손을 떼게 하려는 서방의 대러제재가 기대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 루블화 회복 이유? 당국 통제·막대한 에너지 수입
루블이 회복세를 보이는 이유는 부분적으로는 '인위적' 요인에 따른 것이다. 러시아 당국은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인출을 차단하고, 러시아 기업들이 보유한 외환의 80%를 루블화로 환전하도록 했다. 또 러시아 시민들이 향후 6개월 사이에 1만 달러 이상을 찾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루블화 예탁금에는 20%의 이자를 제공하기로 했다. 당국의 외화 유출 통제가 힘을 발휘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보다 결정적인 이유는 서방의 제재에도 여전한 러시아의 석유와 가스 수출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서방의 대러제재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가 올해 에너지 수출로만 3210억달러를 벌어들일 것으로 추산했다. 지난해에 비해 33%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러시아의 전체 에너지 수출 수익, 자료=블룸버그] 2022.04.08 koinwon@newspim.com |
경화 수입이 늘어나는 반면에 외화 유출은 거의 없다. 서방의 제재로 러시아 제품의 수출길이 대부분 막혔기 때문이다. 웰스파고 증권의 브렌던 매케나 전략가는 "경상수지 흑자가 루블화 안정의 원천이 된다"면서 "고에너지가가 유지되고 러시아산 에너지와 원자재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면, 경상수지 흑자가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제금융협회(IIF)는 올해 에너지 가격 급등에 힘입어 (전면적인 러시아산 에너지 금수 조치가 도입되지 않는다면) 러시아의 경상수지 흑자 규모가 2천억∼2천400억달러로 늘며, 역대 최대 흑자였던 작년을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 러시아 정부는 비우호국이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살 때 루블화로 결제하고, 이 금액 전체를 가즈프롬은행(가즈프롬 전용 은행)에서 루블화로 환전하도록 했다. 이로 인한 환전 수요 역시 루블의 가치를 뒷받침하고 있다.
우크이나 침공에 전세계가 분노하며 대러제재가 강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루블화가 원상 복구하며 통화 측면에서는 푸틴 대통령이 승리를 거두고 있는 것.
제너럴리 인슈어런스 자산운용의 선임 신흥 시장 전략가인 기욤 트레스카는 "제재가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는 것이야말로 정치적으로 가장 훌륭한 홍보수단"이라고 평가했다.
◆ 제재 효과 내려면 "금융권 규제 강화·전면적인 에너지 금수 필요"
막대한 에너지 수입이 루블의 회복을 돕고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 필요한 러시아의 자금줄 역할을 계속하자 러시아산 에너지 수출을 전면적으로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 IIF는 서방이 러시아에 대한 압력을 최소한 유지하기라도 원한다면,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에서 더 많은 러시아 은행을 차단해야 하며, 그 다음 단계로 러시아산 석유와 가스에 대한 전면적인 금수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미 미국은 러시아산 원유와 가스 구매를 중단했으며, 영국과 폴란드는 올해 말까지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또 7일 유럽연합(EU)은 러시아산 석탄 수입 금지에도 합의했다.
하지만 여전히 EU 내에서 러시아산 원유와 천연가스 금수 조치에 대한 합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독일과 오스트리아 등 러시아산 에너지에 의존도가 높은 일부 회원국이 전면적인 러시아산 에너지 금수 조치에 사실상 반대 의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핀란드 국제문제연구소의 제재 전문가인 마리아 샤기나는 "우크라이나에서의 폭격과 잔학 행위가 계속되면 EU, 특히 독일에 대한 압력이 커질 것"이라며 압박에 몰린 EU가 결국에는 러시아산 에너지 금수 조치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대러 제재 정책을 담당했던 전 국무부 관리 에드워드 피시먼 역시 "현재 러시아에 대한 제재 규모는 1~10 중에서 7에서 8 정도"라고 말해 미국이 상황에 따라 제재의 수위를 높일 가능성을 언급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