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야간진화 투입가능 헬기 '단 1대'
예산·규제혁파 등 해결과제 '첩첩산중'
[세종=뉴스핌] 오승주 기자 =동해안 강릉과 삼척, 경북 울진 등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한 산불 피해가 막심하다. 야간에 헬기를 투입해 진화에 나서면 그나마 빠른 진압이 가능하겠지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에 가깝다.
◆실제 야간진화 투입가능 헬기는 '단 1대'
10일 산림청에 따르면 국내 산불과 산림방제 등에 투입할 수 있는 헬리콥터는 184대다. 이 가운데 '진화헬기'로 불리는 산불진압용 헬기는 117대. 산림청(47대)과 지자체(70대)로 나눠져 있다.
산림청 보유헬기 47대 가운데 산불에 실전투입해 효과를 낼수 있는 헬기는 러시아산 카모프(KA-32)와 미국 에릭슨(S-64)이 주력이다.
S-64는 한 번에 물을 퍼올릴 수 있는 최대 담수량이 8,000L로 모두 6대 보유하고 있다. 카모프(KA-32)는 최대 담수량이 3,000L로 29대가 있다.
[자료=산림청] 2022.03.10 fair77@newspim.com |
최신형으로 한국산 수리온헬기를 산림청에 맞게 최적화해 도입한 헬기(KUH-1FS)는 1대만 갖고 있다. 나머지는 미국 벨사(BELL206)와 프랑스 유로콥터(AS-350)의 헬기가 각각 7대와 4대다.
문제는 야간 산불진화에 최적화된 장치 등을 제대로 갖춘 헬기는 한국산 수리온헬기(KUH-1FS) 정도다.
야간 산불 진화에 투입될 수 있는 헬기는 국산 수리온 헬기를 산림청 실정에 맞게 개조한 단 1대다. 이동시 전방과 아래를 비출 수 있는 서치라이트와 자체 펌핑이 가능한 물탱크를 장착하고 있는데다, 최첨단 야간투시용 고글 등 조종사의 야간 시야 확보를 위한 장비도 갖췄다.
나머지 헬기들은 야간 전천후 운항을 본격 수행하기에는 부담스럽다. 아직 '아날로그' 수준의 장치로 운항해야 한다.
국토부 규정도 발목을 잡는 요소로 지목된다. 국토부의 '회전익항공기를 위한 운항기술기준'에 따르면 야간 산불진화 운항을 위해서는 풍속이 초속 5m 이하여야 한다. 운항 전 사전 지형탐색을 마쳐야 한다. '산불이 야간에 발생한 경우에는 야간 산불 진화를 위한 비행을 해서는 안 된다'는 규정도 있다.
안전을 위한 조치로 이해는 되지만, 이같은 규정은 야간작업이 가능한 헬기의 도입과 조종사의 야간 산불진화를 위한 비행교육 등을 필요없게 만드는 역할을 한 셈이다.
◆이상한 규제가 도입·조종사 교육 막아
장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으니, 당연히 야간 산불 헬기 진화는 위험천만한 일이다.
헬기가 산불진화를 하는 과정은 이렇다. 인근 저수지 등에서 물을 길어 산불 지점으로 날아가 헬기가 아래에서 위로 치솟듯 물을 뿌려야 한다. 이 과정을 수십번씩 반복해야 한다.
'가장 위험한 포인트'는 물을 길을 때와 물을 뿌릴 때다. 물을 긷기 위해서는 저수지 등 담수지점에 최대한 낮게 헬기를 수평으로 띄우면서 균형을 잡아 담수작업을 해야 한다. 물을 뿌릴 때는 불길 방향을 파악해 헬기를 저고도에서 고고도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올라가면서 효과적으로 운항해야 한다.
말은 쉽지만 헬기 조종사들에게는 피를 말리는 과정이다. 물을 길을 때 균형이 무너져 헬기를 띄우는 양력이 소실되면 곧바로 대형사고가 일어난다. 물을 뿌릴 경우에도 나무나 화재의 불똥이 헬기에 닿기라도 하면 참사를 피할 수 없다.
낮에도 헬기 조종사 입장에서는 신경이 곤두서는 일인데, 현재 헬기 장비로는 야간에 담수 포인트의 수면과 거리조정, 산악 지형지물 파악 등이 어렵다.
'최첨단 헬기'는 많아야 한다. 야간 진화장비를 갖춘 국산 수리온헬기(KUH-1FS)는 발주를 넣은다 해도 수령까지 3년 정도가 걸린다.
강원 강릉 삼척 산불 현장 [자료=산림청] 2022.03.10 fair77@newspim.com |
산림청은 자체 보유 헬기 대수를 현재 47대에서 2025년까지 60대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수리온은 2015년 즈음 '제대로 된 야간운항장비를 갖춘 헬기가 없다'는 비난에 따라 기획재정부가 2016년 예산에 반영해 2018년 산림청이 수령했다.
이후 '잠잠'하다 6년만인 올해 2022년 예산에 2대 가격이 반영됐다. 헬기의 도입가격은 대략 1대당 250억원이다.
문제는 또 있다. 산림청이 헬기 예산을 확보했다 해도 야간진화장비를 갖춘 헬기를 '사고 싶어도 사지 못하는 시스템'이 도사리고 있다.
공공발주는 조달청을 통해 공개입찰 과정을 거쳐야 한다. 예컨대 산림청이 '수리온헬기'를 도입하고 싶다고 해도 수의계약은 되지 않는다. 입찰에는 국내 뿐 아니라 여러 해외업체들도 경쟁할 수 있다.
여기에 '돈에 맞춰' 물건을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성능과 장비'를 모두 장착한 헬기를 마련하기 쉽지 않다.
산림청 관계자는 "원하는 헬기를 도입한다 해도 운항사들이 장비에 적응하고 헬기의 성능을 제대로 습득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fair7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