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한번에 다 볼 수 없는 일상의 이면…동양화가 이진주 개인전 '사각' 개막

기사입력 : 2020년09월10일 17:40

최종수정 : 2020년09월10일 17:40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아이들이 발뒤꿈치를 들고 벽 뒤에 눈을 가리고 숨어있다. 식물은 뿌리째 뽑힌 채 바닥에 널브러져 있고 벽에 걸려있어야 할 십자가는 바닥에 굴러다니고 몸체와 분리된 부처 머리는 의자 위에 올려져 있다. 한 캔버스 위해 다양한 서사가 일상의 풍경처럼 그려져 있다. 쓸쓸함이 사뭇히지만 동양화 기법과 물감을 써 정감있게 느껴진다.

삶과 현실에 대한 집요한 관찰을 토대로 일상의 상징적 오브제를 세밀하게 그리는 작가 이진주가 아라리오뮤지엄 인 스페이스에서 개인전 '사각(死角, The Unperceived)'을 선보인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사각 死角 (a) The Unperceived (a) ⓒ 2020 Jinju Lee [사진=아라리오뮤지엄 인 스페이스] 2020.09.10 89hklee@newspim.com

전시의 제목인 '사각'의 의미는 보이는 범주 안에 들어오지 않아 보이지 않는다고 믿는 것이다.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게되는 '모순'인셈인데 작가는 우리가 옳다고 믿는 풍경의 이면에는 진실이 있고, 소개되지 않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해석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작가는 근본적으로 완벽하지 않고 어딘가 왜곡되거나 결핍된 '불완전한 보기'를 시도한다.

이에 이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한번에 그림을 파악할 수 없도록 공간 전체를 아우르는 거대한 A자형 구조로 작품을 제시한다. 펼쳐진 두루마리를 감상하듯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춰 설치된 작품을 감상하는 재미가 있다.

A자형 작품은 총 네 면으로 이뤄진다. 작가는 일상을 다소 직관적으로 표현했다. 일상의 냉혹함과 외로움, 인위적인 행태를 날것으로 그려냈다. 그러면서도 길게 펼쳐지는 화면에서 삶의 순환을 이야기한다.

이 작가는"세상을 보는 관점이 다소 '비극적'이었다"며 "생각보다 어두운 분위기가 떠올랐고 우리 삶에서 겪는 시행착오와 모순들, 비논리적인 부분도 삶의 일부분이라 생각한다. 이를 애써 붙잡고 있는 싱그러운 모습을 사이사이에 배치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이진주 개인전 '사각' 전시장 내부. A자형 설치작품 2020.09.10 89hklee@newspim.com

작가의 작품에서 식물이 주로 보이는데 이는 '인위적'이라는 의미를 시사한다. 남미에서 온 식물을 인위적으로 증식시키는 인위적인 행위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이 담겨있다. 아울러 부처와 십자가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 종교는 무엇인가'라는 의문도 던진다.

또 다른 작품에서는 최근 코로나 사태와 일상 속에서 힘듦을 겪는 과정에서 서로 얽히고 설키고 유기적으로 연결돼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볼 수 있다.

뒷면으로 돌아서면 여성과 목마를 타고 있는 어린 여자아이의 모습이 그려진다. 이는 작가의 딸이 사고를 당한 경험에서 느낀 감정과 생각을 담은 그림이다. 이진주 작가는 "아이가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다가 다쳤다. 상처를 보면서 생명의 속도를 느꼈고 삶의 속도는 곧 죽음의 속도와 같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이진주 개인전 '사각' 전시장 전경 [사진=아라리오뮤지엄 인 스페이스] 2020.09.10 89hklee@newspim.com

작가는 이 생각을 날리고 싶었다. 그림 속 인물 뒷 배경에는 눈처럼 재가루가 뿌려져 있는데 실제로 날린 재가루를 그림에 담았다. 작가는 "날린 재와 물감을 섞어 쓰면 잠시 멈춘 삶의 순간을 포착한 것과 의미가 통하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A자형 설치 가장 안쪽에도 그림이 있지만 작가는 관람객이 이를 꼭 볼 필요는 없다고 했다. 그는 "어차피 우리는 삶의 이면을 잘 못 보고 지나치기도 한다. 그런 의미에서다"라고 첨언했다.

전시는 9일부터 내년 2월 14일까지 이어진다.

한편 이진주 작가는 홍익대학교 동양화과와 동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두산갤러리 뉴욕, 아라리오갤러리 서울, 모스크바 트라이엄프갤러리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서울시립미술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립현대미술관 등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지난해에는 광주화루 우수상, 2014년 송은미술대상전 우수상을 수상했다.

89hkle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