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증권·금융 증권

속보

더보기

SK바이오팜이 띄운 '공모주 열기'... '빅히트', '카카오게임즈' 잇는다

기사입력 : 2020년07월07일 15:45

최종수정 : 2020년07월07일 15:45

빅히트 19년 영업이익, SM·JYP·YG 합보다 높아
카카오게임즈, 기업가치 제고 후 성장동력 확보 예정

[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SK바이오팜이 '대박 신화'를 기록하면서 하반기 기업공개(IPO)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방탄소년단(BTS) 소속사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빅히트)를 비롯해 카카오게임즈 등 상장을 앞둔 '대어급' 기업들이 SK바이오팜이 불 지핀 공모주 열기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 하반기 IPO 시장에서는 빅히트와 카카오게임즈, 카카오페이지, 교촌에프앤비, HK이노엔(CJ헬스케어) 등이 주목받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그룹 방탄소년단 [사진=빅히트엔터테인먼트] 2020.06.19 alice09@newspim.com

빅히트는 지난해 영업이익 987억 원을 기록, 창사 이래 최고 실적을 남겼다. 국내 대표 엔터테인먼트사인 SM(404억 원)·JYP(435억 원)·YG(20억 원)의 지난해 영업이익을 합한 수치(약 859억 원)보다 높다.

증권사에서는 빅히트의 기업 가치를 적게는 3조 원대, 많게는 5조 원대까지 보고 있다. 소속사 대표 가수 BTS의 글로벌 흥행 성적에 이어, 향후 중국의 한한령까지 완화될 경우 실적이 폭발적으로 높아지리란 기대감이 높다.

빅히트는 지난 5월 28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 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했다. 한국투자증권과 NH 투자증권, JP모건이 공동 대표주관사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상장 준비에 돌입했다.

카카오게임즈는 지난달 11일 다시 유가증권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지난 2018년 이후 2년 만이다. 당시 카카오게임즈는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는 통과했지만, 기업가치가 낮게 평가받자 스스로 상장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불과 2년 전 1조 원대로 평가받은 기업 가치는 현재 2조 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게임 산업이 '언택트 수혜주'로 주목받고 있고, 하반기 신작 출시를 앞두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도 뜨겁다.

카카오게임즈는 상장을 통해 기업가치를 올리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예상 공모규모는 약 1500억~2000억 원이며, 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이 공동주관사를 맡는다.

[자료=카카오게임즈]

웹툰 사업에 주력하는 카카오페이지 역시 올해 말 상장에 나선다. 예상 공모규모는 3000억 원대로 카카오게임즈보다 높다. 카카오는 언택트 산업이 주목받는 올 하반기 두 개의 콘텐츠 계열사를 우선 상장해 기업가치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교촌에프앤비는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로서는 이례적으로 IPO에 나선다. 지난 2018년 상장 추진을 공식화한지 2년 만이다. 앞서 유가증권시장 직상장에 도전했던 BHC와 놀부, 본아이에프 등은 실적부진과 불투명한 지배구조 등을 이유로 상장 문턱을 넘지 못했다.

교촌에프앤비의 지난해 매출은 3801억 원이고, 영업이익은 394억 원이다. 전년 대비 각각 15%, 99% 성장하며 국내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 선두를 차지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교촌의 기업가치는 최소 4000억 원대로 추정된다.

바이오주가 주목받으며 전문 의약품 제조업체인 HK이노엔(구 CJ헬스케어) 상장 소식에도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된다. HK이노엔은 한국콜마의 비상장 신약개발회사로 SK바이오팜 등 바이오 제약주의 선방에 덩달아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이밖에도 이지스레지던스리츠 등 리츠(부동산간접투자상품, REITs) 회사와 내셔널지오그래픽 브랜드사 더네이쳐홀딩스, 전자부품 제조업체 와이팜 등이 하반기 신규 상장을 앞두고 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상반기 다소 부진했던 IPO 시장은 하반기 호황을 맞을 전망이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어급 기업들이 쏟아지며 공모시장규모는 5~6조 원 규모를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zunii@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