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글로벌정치

속보

더보기

[팬데믹 현황] 확진자 630만명 육박…뉴욕, 흑인 사망 시위로 재확산 우려(2일 오후 3시 32분 기준)

기사입력 : 2020년06월02일 17:10

최종수정 : 2020년06월02일 17:10

美뉴욕, 흑인사망 시위로 코로나19 2차감염 사태 촉발 우려↑
그리스, 한국 관광객 격리조치 없다…간단한 검사 후 입국 허용
일본 도쿄서 유흥주점 위주로 재확산 우려 높아져

[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전 세계 코로나19(COVID-19) 누적 확진자 수가 630만명에 육박하고 있다. 누적 사망자 수는 37만명을 넘겼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시스템사이언스·엔지니어링센터(CSSE) 코로나19 상황판에 따르면 한국시간으로 2일 오후 3시 32분 기준 전 세계 누적 확진자와 사망자수는 각각 627만4807명, 37만5698명이다.

국가·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미국 181만1277명 ▲브라질 52만6447명 ▲러시아 41만4328명 ▲영국 27만7736명 ▲스페인 23만9638명 ▲이탈리아 23만3197명 ▲프랑스 18만9348명 ▲독일 18만3594명 ▲페루 17만 39명 ▲터키 16만4769명 등이다.

국가·지역별 누적 사망자는 ▲미국 10만5147명 ▲영국 3만9127명 ▲이탈리아 3만3475명 ▲브라질 2만9937명 ▲프랑스 2만8836명 ▲스페인 2만7127명 ▲멕시코 1만167명 ▲벨기에 9486명 ▲독일 8557명 ▲이란 7878명 ▲캐나다 7404명 등이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동부시간 2일 오전 2시 40분 기준 미국 내 누적 확진자는 182만명, 사망자는 10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존스홉킨스대학의 CSSE 상황판 집계치와는 차이가 있다.

주별 확진자와 사망자수는 ▲뉴욕 37만6520명(이하 사망 2만9766명) ▲뉴저지 16만918명(1만1721명) ▲일리노이 12만1666명(5458명) ▲캘리포니아 11만5643명(4287명) ▲메사추세츠 10만805명(7035명) ▲펜실베이니아 7만6734명(5574명) ▲텍사스 6만6081명(1695명) ▲미시간 5만8435명(5525명) ▲플로리다 5명6822명(2495명) ▲메릴랜드 5만4035명(2552명) 등이다.

◆ 美 뉴욕 "흑인 사망 시위로 코로나19 재확산 될라"..전전긍긍 

경찰의 가혹 행위로 사망한 조지 플로이드 사건에 항의하며 미국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시위가 코로나19(COVID-19) 2차 감염 사태를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1일(현지시간) 코로나19 언론 브리핑에서 수많은 군중이 운집한 뉴욕 맨헤튼 지역 등에서의 집회를 거론하면서 "그들 사이에 얼마나 많은 슈퍼 전파자가 포함돼 있는가"라며 그동안의 방역 노력이 이번 사태로 수포로 돌아가는 것을 우려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쿠오모 지사는 이어 "얼마나 많은 젊은이들이 (집회 현장에서) 집으로 가서 어머니와 입맞춤 인사를 하고, 아버지와 악수하고, 할머니·할아버지·형제 자매와 포옹을 하며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퍼뜨렸을 것인가"라고 덧붙였다. 

한편 쿠오모 지사는 지난 하루 코로나19 사망자가 54명에, 감염자가 1천명 이하로 줄었으며 이는 지난 3월 16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날 미국의 코로나19 누적 환자가 1백80만명에 육박하고 있는 가운데 최대 감염 지역인 뉴욕주의 누적 환자와 사망자는 각각 36만명과 2만3천여명을 기록하고 있다. 4월 중순 뉴욕주의 하루 사망자는 700~800명까지 치솟았다가 최근들어서야 뚜렷한 하향세를 유지하고 있다.  

빌 드 블라지오 뉴욕 시장도 이번 시위 사태가 "보건 문제를 야기시킬지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워싱턴포스트(WP)는 흑인 계층이 미국 내에서 높은 코로나19 감염률을 보이고 있다면서 보건 전문가들은 항의 집회로 인한 감염 재확산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조지 메이슨 대학 전염병의학자인 사스키아 포페스쿠 교수는 "운집해 있는 시위 군중들이 코로나19 확산을 조장할 수 있다"면서 "시위 참가자들은 마스크를 쓰고, 눈 보호대와 손 소독제 등을 지참해야 한다"는 견해를 이메일을 통해 보내왔다고 소개했다. 

WHO도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미국은 물론 유럽 등으로 확산되는 인종차별 항의 시위를 코로나19와 직접 연계해 언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밀접한 접촉은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 그리스, 한국관광객 간단한 검사 후 입국 허용

코로나19(COVID-19)로 외국인 관광객 입국이 잠정 중단됐던 그리스가 오는 15일부터 다시 관광객 입국을 허용한다. 한국을 포함한 29개국의 관광객은 격리조치 없이 간단한 테스트 후 입국을 허용키로 했다. 29개국 이외의 국가 출신 관광객은 격리조치 후 입국이 허용된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 금요일 그리스 관광부는 오는 15일부터 한국과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29개 국가 출신 관광객에 한해 격리 조치 없이 공항에서 간단한 검사만 받으면 입국을 허용한다고 밝혔다.

그리스는 이들 국가 외에 미국, 영국, 이탈리아 등 국가 관광객의 입국도 허용하되 1∼2주간의 격리조치를 반드시 거치도록 했다.

그리스는 국가별로 코로나19의 상황을 고려한 차이를 둔 입국 절차를 6월말 까지 시행하고 이후 연장 여부를 결정키로 했다.

격리 없이 입국이 허용되는 국가는 알바니아, 호주, 오스트리아, 불가리아, 체코, 중국, 크로아티아, 사이프러스, 덴마크, 에스토니아, 독일, 헝가리, 이스라엘, 일본, 라트비아, 레바논, 리투아니아, 몰타, 몬테니그로, 뉴질랜드, 북마케도니아, 노르웨이, 루마니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한국, 스위스, 핀란드 등 29개국이다.

[가와사키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일본 가와사키시의 한 대학병원 집중치료실(ICU)에서 의료진들이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2020.04.26 goldendog@newspim.com

◆ 일본 확진자 37명 증가한 1만7661명…도쿄, 유흥업소 감염 늘어

지난 1일 일본의 코로나19(COVID-19) 확진자 수는 37명 증가했다.

재확산이 심각해지고 있는 후쿠오카(福岡)현과 누적 확진자가 가장 많은 도쿄(東京)는 두 자릿 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특히 도쿄의 최근 일주일 간 신규 확진자 중엔 유흥주점의 직원이거나 손님이 약 30% 가까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우려를 사고 있다. 

다만 전국 47개 도도부현(都道府県·광역지자체) 중 42곳에서 추가 확진자가 나오지 않아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안정된 흐름이 이어졌다. 

2일 0시 현재 일본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만7661명으로 집계됐다. ▲일본 국내 확진자 1만6935명 ▲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712명 ▲전세기 확진자 14명을 더한 것으로, NHK가 공개한 각 지자체 확진자 수를 취합한 수치다.

누적 사망자 수는 911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도쿄도와 가나가와(神奈川)현, 후쿠오카현에서 각각 1명씩 사망자가 발생했다. 구체적인 사망자 내역은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탑승자 13명 ▲일본 내 확진자 898명이다.

도쿄에선 전날 13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도쿄에서 10명대 확진자가 나온 건 이틀만이다. 방송에 따르면 신규 확진자 중 6명은 앞선 확진자의 밀접 접촉자였으나, 나머지 7명은 감염 경로가 불분명했다. 또한 확진자 중 8명은 유흥주점 직원이거나 손님이었다. 

최근 도쿄의 일주일 간 신규 확진자 90명 중 유흥주점 관계자는 26명으로 약 30%에 가까웠다. 그 전 일주일의 경우 확진자 48명 중 유흥주점 관계자는 5명으로 10%에 불과했다.

후쿠오카현도 기타큐슈(北九州)시 재확산의 영향으로 전날 16명이 신규 확진판정을 받았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감염집단이 발생하는 등 재확산 우려가 있어, 일각에선 긴급사태선언을 재발령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따.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康稔) 경제재생상 겸 코로나19담당상은 이에 대해 "위기감을 갖고 보고 있지만 의료제공체제가 어렵지 않고 검사체제도 확실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긴급사태선언을 재발령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했다. 

일본 내 확진자의 지역별 현황을 보면 도쿄가 524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오사카(大阪)부 1783명 ▲가나가와(神奈川)현 1368명 ▲홋카이도 1096명 ▲사이타마(埼玉)현 1000명 ▲지바현 902명 ▲후쿠오카(福岡)현 774명 ▲효고(兵庫)현 699명 ▲아이치(愛知)현 511명 ▲교토(京都)부 358명 순이었다.

그 외 ▲이시카와(石川)현 298명 ▲도야마(富山)현 227명 ▲이바라키현 168명 ▲히로시마(広島)현 167명 ▲기후현 151명 ▲군마(群馬)현 149명 ▲오키나와(沖縄)현 142명 ▲후쿠이(福井)현 122명 ▲시가(滋賀)현 100명 ▲나라(奈良)현 92명 ▲미야기(宮城)현 88명 순이었다.

후생노동성 직원 및 검역관을 포함한 공무원 확진자와 공항 검역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사람은 총 202명이었다. 나가사키(長崎)항에 정박됐던 크루즈선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48명이다.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1일 시점에서 일본 내 확진자 중 인공호흡기를 부착했거나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중환자는 116명이다. 내역을 살펴보면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탑승자 1명 ▲일본 국내 확진자 115명이다.

1일까지 증상이 개선돼 퇴원한 사람은 1만5156명이다.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탑승자가 654명 ▲일본 국내 확진자가 1만4502명이다.

한편, 코로나19 감염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PCR검사(유전자증폭검사)는 지난 27일(속보치) 기준 하루 6186건이 진행됐다.

kebj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돌연 취소된 '2+2 통상협상' 왜?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5일(현지 시각) 미국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미 2+2 재무·통상 협의'가 돌연 취소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 측이 한국 대표단에 '양해'의 뜻을 여러 차례 표명했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설명이지만, 외교상 결례에도 불구하고 협의를 미뤄야 했던 배경에는 한국 협상단을 길들이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오전 9시경 이메일로 미국 측으로부터 협의 취소를 통보 받았다. 이날 오전 구 부총리는 협의를 위해 미국으로 출발할 예정이었다. 당시 인천공항 대기실에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기재부는 이 같은 사실을 오전 9시 30분께 언론에 공개했고, 구 부총리는 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오전 9시 50분께 공항을 빠져나갔다. 이날 회의가 취소가 된 배경에 대해 기재부 측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긴급한 일정'에 대한 설명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측이 이메일을 통해 여러 차례에 걸쳐 사과 의사를 밝혔지만, 협상 관련 구체적 일정은 확정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미국과의 협상은 예정대로 진행된다. 김 장관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 등을, 여 본부장은 제이미스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각각 만난다. 하지만 양국 경제·통상 수장이 구체적 이유 없이 협의를 돌연 취소한 배경으로 한미간 협상이 난항을 겪은 것 아니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 20일 미국으로 출국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귀국할 예정이지만, 고위급 협상에 진전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 정부는 1000억달러(약137조원) 규모의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을 미국 정부에 제안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보다 먼저 관세협상을 타결한 일본 사례를 참고해 짠 전략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5500억달러(약 757조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약속하고 미국과의 상호관세 15%부과에 합의했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다만 한국 정부가 제시할 투자 규모에 미국 정부가 만족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댄 스커비노 백악관 부비서실장이 최근 소셜미디어(SNS) 엑스(옛 트위터)에 공개한 일본 대표단과의 협상 사진을 살펴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대미 투자액을 상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투자액이 나온다. 애초 일본이 제시한 투자액 4000억달러는 펜으로 그어져 있고, 그 위에 5000억달러라는 숫자가 써 있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일본의 대미국 투자액은 5500억달러라고 공개했다. 협상액보다 500억 달러가 높아진 셈이다. 촉박한 협상 일정을 무기 삼아 미국이 비관세 영역도 손보려는 의도가 아니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2025년 미국 무역대표부의 비관세 장벽 보고서(NTE)에서도 한국의 방산·통신·원전 분야를 지적했다. 박기훈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방산과 통신은 미국 기업의 진입 장벽이라는 측면에서 구조 개선에 대한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07-24 18:42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