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낙화유수'부터 방탄소년단 'IDOL'까지…대중가요 노랫말로 보는 한글의 힘

기사입력 : 2020년05월14일 14:44

최종수정 : 2020년05월14일 16:38

국립한글박물관, '노랫말-선율에 삶을 싣다' 15일 개최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국립한글박물관(관장 심동섭)은 2020년 기획특별전 '노랫말-선율에 삶을 싣다'를 15일부터 10월 18일까지 개최한다. 전시는 선율을 타고 우리 삶을 실어 나른 대중가요 노랫말의 발자취와 노랫말에 담긴 우리말과 글의 묘미를 소개한다.

지금까지 대중가요 전시는 많았지만 노랫말을 주제로 한 전시는 없었다. 이번 전시는 한국의 첫 창작 대중가요 '낙화유수'(1929년)부터 방탄소년단의 '아이돌(IDOL)'까지 190여곡의 대중가요 노랫말과 각종 대중가요 음반·가사지·노랫말·책·축음기 등 총 206건 22점의 전시 자료를 소개한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국립한국박물관이 2020 기획특별전 <노랫말-선율에 삶을 싣다>를 오는 15일부터 10월 18일까지 개최한다. 전시에서는 선율을 타고 우리 삶을 실어 나른 대중가요 노랫말의 발자취와 노랫말에 담긴 우리말과 글의 묘미를 소개한다. 전시 오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열린 언론간담회가 끝나고 취재진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2020.05.14 yooksa@newspim.com

전시는 1부 '노랫말의 힘'과 2부 '노랫말의 맛'으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1920년대 말부터 오늘날까지 대중의 관심사에 따라 그 형식과 소재를 달리하며 대중이 살아온 역사를 담고 있는 노랫말의 의미와 가치를 확인한다. 2부에서는 대중가요 노랫말에 담긴 말과 글에 오롯이 집중할내용과 체험이 준비돼 있다.

뭣보다 이번 전시는 노랫말의 100년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리라 의미가 있다. 노랫말을 통해 아픔의 역사와 이를 반영한 대중가요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1920년부터 1945년 이전까지 식민 지배 아래에서 대중이 겪은 울분을 비유적인 단어로 표현하는 시 같은 노랫말이 유행했는데 한국 최초의 창작 가요 '낙화유수'와 '목포의 눈물'(1935년)이 일제의 검열을 통과하기 위해 노랫말을 수정한 대표곡이다. 노랫말에 등장하는 '임'역시 화자가 사랑하는 연인이기보다 '조국의 광복'을 비유적으로 드러내는 상징어로 이해되면서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국립한국박물관이 2020 기획특별전 <노랫말-선율에 삶을 싣다>를 오는 15일부터 10월 18일까지 개최한다. 전시에서는 선율을 타고 우리 삶을 실어 나른 대중가요 노랫말의 발자취와 노랫말에 담긴 우리말과 글의 묘미를 소개한다. 사진은 전시 오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 내에 마련된 전시장 모습. 2020.05.14 yooksa@newspim.com

'목포의 눈물' 2절 가사 '삼백연(三栢淵) 원안풍(願安風)'은 본래 '삼백년 원한 품은'이었다. 이는 노래가 만들어진 1935년으로부터 300년 전 무렵에 일어났던 임진왜란(1592~1598)을 암시한 것이다. 이번 전시에 도움을 준 작곡가 이호섭은 "1935년 당시 조선총독부 학무국에서 모든 문화를 검열했고 법력으로 조선레코드 단속 법령을 제정해 사전 심의, 음반 제작 후 다시 심의해 이중 통제 장치를 갖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목포의 눈물' 속 2절 가사는 한글이었기 때문에 단속을 피해 메시지를 전할 수 있었던 것"이라며 "300년 전 임진왜란으로 조선이 일본에 다 넘어갔던 당시의 상황을 '삼백연 원안풍'으로 쓴 것인데 이를 한국의 발음 체계로 하면 '삼백년 원한풍'이 된다. 이는 국한문 혼용 표현이다. 뜻을 풀면 '큰 잣나무 세 그루가 서 있는 곳에 천지가 편안하길 바란다'는 의미가 되니 (일본 조선총독부의)단속을 피하고 노래가 널리 알려질 수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국립한국박물관이 2020 기획특별전 <노랫말-선율에 삶을 싣다>를 오는 15일부터 10월 18일까지 개최한다. 전시에서는 선율을 타고 우리 삶을 실어 나른 대중가요 노랫말의 발자취와 노랫말에 담긴 우리말과 글의 묘미를 소개한다. 전시 오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열린 언론간담회가 끝나고 취재진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2020.05.14 yooksa@newspim.com

이번 전시장은 일제 강점기 경성다방과 커피향이 풍기는 7080 음악다방 공간을 세워 그 노래를 듣고 불렀던 시절을 추억할 수 있다. 음악 다방에서 유행했던 재즈풍의 노래 '청춘계급'(1938년)이 흘러나오는데 서양의 이국적인 문화와 음악을 즐기는 모던 보이와 모던 걸들의 모습이 노랫말에 그려져 있다. 또 음악다방에서는 탁자가 놓여 있는 소파에 앉아 은은한 커피향을 맡으며 당시에 유행한 노래와 노랫말을 감상할 수도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은 이번 전시의 기획을 위해 2019년 전시 토대 연구도 진행했다. 그 결과 1920년부터 2010년대까지 약 2만6000여곡의 노랫말에 사용된 단어의 빈도를 분석해보면 '사랑'이라는 단어가 가장 많았다. 이에 전시장에서는 사랑의 감정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다양한 장르의 노래 19곡을 믹싱해 소개하고 있다. 화려한 빛으로 물들여진 전시 공간은 한글 노랫말과 신나는 음악이 어우러져 보는 이들의 흥을 돋울 예정이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국립한국박물관이 2020 기획특별전 <노랫말-선율에 삶을 싣다>를 오는 15일부터 10월 18일까지 개최한다. 전시에서는 선율을 타고 우리 삶을 실어 나른 대중가요 노랫말의 발자취와 노랫말에 담긴 우리말과 글의 묘미를 소개한다. 전시 오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열린 언론간담회가 끝나고 취재진이 전시장을 둘러보고 있다. 2020.05.14 yooksa@newspim.com

박물관 2층 카페에는 DJ박스를 설치해 전시 기간 동안 매일(11시~오후 4시) 추억의 음악다방을 운영한다. 평일에는 1970~1990년대 애창곡 30곡을 선정해 틀어주고 주말·휴일(오후 12시~3시)에는 신청곡을 받아 노래를 틀어준다. 음료와 함께 신청곡을 즐기면서 코로나19로 지친 일상에서 벗어나 모처럼의 여유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전시와 관련된 노랫말 문제 풀이 행사도 함께 진행한다. 전시를 관람해 문제 카드에 정답을 작성하고 응모 상자에 넣으면 한 달에 한 번씩 정답자 추첨을 통해 상품을 증정할 계획이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심동섭 관장 2020.05.14 89hklee@newspim.com

심동섭 관장은 "대중가요 전시는 많았지만 제가 알기로 노랫말을 주제로 한 전시는 처음이다. 한글박물관이기 때문에 노래 가사를 중심으로 기획했다"며 "첫 대중가요부터 BTS까지 노랫말을 담고 있고, 그리고 부모님세대와 7080세대가 좋아하는 음악감상실도 준비했다. 노랫말에 담긴 국민의 삶의 애환, 발자취, 역사적 의미를 총망라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코로나 때문에 걱정이다. 시간당 60명으로 입장을 제한하고 있다. 기획전이라 늘이려고 한다. 코로나로 많이 침체돼 있는데 많은 분들이 오셔서 삶의 치유와 기쁨을 느끼셨으면 한다"고 바랐다.

89hkle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