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에 코로나까지..먹구름 잔뜩 낀 산업계
각 기업들 비상경영 돌입..감원 한파 거세져
셧다운 사태 막기 위해 사옥 아예 비우기도
[서울=뉴스핌] 이강혁 기자 = '춘래불사춘'. 봄은 왔는데 봄 같지 않다. 코로나19 사태가 조기종식 후 봄맞이 새출발을 다짐하던 산업계의 기대감을 무참히 짓밟아 놓고 있다. 사태는 갈수록 악화돼 판매시장 위축은 장기화 우려를 높이고 생산현장의 셧다운 공포는 날이 갈수록 깊어진다.
먹구름이 잔뜩 낀 산업계. 살아남자는 아우성이 인력과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 칼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 경영난에 코로나19 태풍 몰아쳐...고강도 구조조정 시작
28일 산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 여파로 각 기업들의 비상경영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확진자가 폭증하기 시작한 지난주말부터는 상황이 더 심각해지고 있다. 기업들의 생산현장은 '번아웃(의욕적이다가 급격히 무기력해지는 현상)' 상태다.
저비용항공사들 [사진=뉴스핌DB] |
항공업의 고난은 최악의 상황을 목전에 뒀다. 공장가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자동차업은 이달 생산과 판매 목표 달성을 일찌감치 접었다. 정유화학, 조선중공업 등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유통업도 판매가 크게 위축됐고 여행업은 고사직전이다. 각 기업들이 업종과 규모를 불문하고 비상계획을 속속 발표하는 이유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항공업계는 비상탈출마저 힘겹다. 승객은 줄었고 운행할 노선은 마땅치 않다. 최근들어서는 한국인 입국 거부 사태가 벌어지면서 더 상황이 심각해졌다. 운항을 포기한 항공기의 하루 주차비만 수억원이 공중에 날아간다. 홍콩사태, 노노재팬으로 지난해부터 경영상황이 좋지 못했는데 코로나19가 경영악화에 기름을 부은 격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물론 저비용 항공사까지 항공업계는 어떤 기업도 빼놓지않고 인력과 사업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살아남자'며 아우성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은 당장 중국 노선 운항을 절반이상 줄였고 한국인 입국 거부 국가의 노선도 잠정중단하고 있다. 노선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이날 현재 입국절차를 강화한 43개국 노선에 대해 잠정중단이나 축소운항 등이 결정되거나 검토되고 있다.
운항 차질에 따른 여파는 승무원 등 항공사 직원들의 무급휴직 사태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기본급이 적고 수당이 많은 승무원들에겐 사실상 임금 삭감이다. 대한항공의 경우 승무원 무급휴직을 당초 3월 한 달간 시행 예정이었으나 4월까지도 연장공지했다.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등도 무급휴직 확대에 나서고 있다. 에어부산은 임원 일괄사표에 모든 직원 무급휴직의 고강도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두산중공업, 에쓰오일, OCI, 대우조선해양, 코닝정밀소재, 현대로템 등 산업계 굴지의 기업들도 인력 구조조정을 서두르고 있다. 근속, 나이 등에 따라 많게는 수천명, 적게는 수백명이 희망퇴직 대상이다. 더욱이 이는 시작에 불과하다는 게 각 기업들의 속사정이다. 누적된 경영실적 악화와 사양길에 접어든 각종 사업들의 개편작업이 이어질 수밖에 없어서다. 구조조정 한파는 이제 막 시작된 셈이다.
자동차업계도 중국발 부품 수급 차질 등으로 공장가동이 멈춰서길 반복하며 어려움에 봉착해 있다. 생산과 판매 모두 타격이 심각하다. 각사별 자구책이 이어진다. 쌍용차는 임원 20%를 내보내고 급여 10%를 삭감했고 르노삼성차도 상시 희망퇴직에 나선 상태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구조조정 계획을 내놓고 있지않으나 계열사인 현대제철이 만53세 이상 희망퇴직에 더해 강도높은 사업부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유통업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특히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유통채널 변화과정에서 밀어닥친 코로나19는 연착륙없는 구조조정 태풍을 몰고 왔다. 확진자 발생에 따른 잦은 매장 임시휴업 사태까지 겹치며 매장의 감축과 인력 감축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업계에서는 대형 매장의 축소는 협력사의 구조조정으로도 이어져 수천명 이상의 인력이 보따리를 싸는 사태를 맞을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 '업무 마비사태 막아라'...사옥 비우고 유연근무제 속출
구조조정의 한편에선 기업들의 셧다운 공포감이 더 커지고 있다. 사업장 폐쇄 사태를 막기 위해 아예 사옥을 비우는 사태도 속출 중이다. 근무유연화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정상적으로 업무 효율성까지 높이기는 어려워 보인다.
삼성전자는 물론 LG전자, 현대차 등 경상권 사업장을 운영중인 기업들은 임직원 대응책을 마련해 일찌감치 시행에 들어갔다. 출장금지, 회의 최소화, 마스크착용 의무화, 집합교육 취소, 셔틀버스 중단 등이다.
삼성, LG, SK, CJ, 아모레퍼시픽 본사 전경[사진=LG, SK, CJ 각사] |
여기에 더해 경상권은 물론 서울과 경기도 등에 밀집한 기업들 본사도 전 직원 재택근무나 자율출퇴근제, 원격회의 도입 등으로 근무환경을 유연하게 운영하기 시작했다. 확진자 한명만 나와도 사옥이 폐쇄되는 상황이어서 직원들이 모이는 것 자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현대차그룹은 27일부터 다음달 6일까지 서울 양재동 본사와 경기지역 근무자의 자율적 재택근무를 시행한다. 현대모비스는 직원을 절반씩 나눠 재택근무를 하고 현대엔지니어링도 본사 근무자 전원이 자율 재택근무를 한다.
SK그룹은 SK텔레콤 을지로본사에서 확진자가 나오자 각 계열사에 필수 인력을 제외하고는 재택근무를 하도록 조치했다. 24시간 반도체를 생산하는 SK하이닉스는 임신부 직원에게 다음 달 8일까지 2주간 특별휴가를 줬다.
삼성과 LG도 임신부 위주로 재택근무를 시행한다. 삼성은 다음달 1일, LG는 기한을 두지 않았다. LG상사는 다음달 6일까지 본사 임직원 90%가 재택근무를 한다. 대한항공 본사도 다음달 4일까지 재택근무에 들어갔다.
롯데, CJ, 두산, 효성 등 각 그룹들도 자율 재택근무나 출퇴근자율시간제 등 유연근무제를 적극 활용해 만일의 사옥폐쇄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홍성일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정책팀장은 "국내 내수 부진은 피크로 치닫고 있다"라면서 "위기감과 공포감이 아직 크기 때문에 여파가 3월까지는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ikh665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