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중국이 미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면서 중국과 미국 간 재정적 디커플링(decoupling, 탈동조화)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경제전문 매체 CNBC의 17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ANZ리서치는 최근 보고서에서 "계속되는 무역 긴장으로 세계 최대 경제국인 미중 간 재정적 디커플링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 위안화와 미국 달러화 [사진=로이터 뉴스핌] |
미국 백악관은 중국 기업들의 미국 상장을 막는 등 미국의 대중(對中) 투자를 억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중국은 외환보유고를 미달러 외 통화로 다각화하는 것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려 한다고 ANZ는 관측했다. 이른바 '그림자 보유고'를 비축해 미국의 봉쇄 조치에 맞선다는 것이다.
ANZ는 "중국 외환보유고 중 여전히 미달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앞으로 유로, 파운드, 엔 등 다른 통화로의 다각화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ANZ에 따르면 지난 6월 중국 외환보유고 중 미달러 비율은 약 59%로 추정됐다.
중국은 미 국채 보유 규모 또한 점진적으로 줄이고 있다. 지난 6월까지만 해도 중국은 세계 최대 미 국채 보유국이었으나 이후 일본에게 자리를 넘겨줬다. 중국의 미 국채 보유 규모는 2018년 정점을 찍은 후 14개월 간 880억달러 줄었다. 미 재무부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6월 중국이 보유한 미 국채 규모는 1조1100억달러에 그쳤다.
이와 함께 중국은 금 사재기를 지속하고 국유은행 등을 통한 주식 투자 등 대체 투자에 나서고 있다. 지난 10월 중국의 금 보유고는 1957.5t으로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
미국과의 무역 마찰뿐 아니라 중국 기업들이 미달러 표기 부채를 대규모로 짊어지고 있는 것도 중국의 탈(脫)달러를 부추기고 있다.
파인브릿지인베스트먼트의 폴 샤오 글로벌 이코노미스트는 중국 기업들의 달러화 부채가 5000억달러를 넘는 수준인 데다 무역전쟁 와중에 달러가 위안화 대비 절상하면서 부채 부담이 한층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로 인해 중국 기업들이 자산 매각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고 덧붙였다.
샤오 이코노미스트는 "외환보유고 다각화는 무역 관계를 미국뿐 아니라 다른 지역으로 다각화한다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구상과 맞물려 있다"고 말했다.
중국은 미달러의 전 세계 1위 준비통화라는 지위 또한 넘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전 세계 외환보유고의 58%가 미달러이고 전 세계 부채의 약 40%가 달러로 표기돼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푸어스의 아시아태평양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숀 로슈는 "글로벌 금융시스템은 절대적으로 미달러 중심이다. 중국과 유로존 등은 달러 중심에서 탈피하는 것을 강하게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달러 의존도를 줄임으로써 위안화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자 하는 야심도 실현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g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