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관람객이냐 전시·연구·교육 맡을 센터냐 의견 충돌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2031년은 국립민속박물관의 세종시 이관이 계획된 해다. 경복궁 복원 사업에 따라 세종시로 옮겨가는 국립민속박물관의 이관 논쟁은 무려 20년간 계속돼 왔다. 외국인 방문객이 전체 관람객 중 55%를 차지하는 이 박물관을 세종으로 옮겨야 하는지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다. 현재진행형인 국립민속박물관 이전 문제를 바라보는 전문가 이야기를 들어봤다.
국립민속박물관은 당초 국립중앙박물관이 이전한 서울 용산 부지로 일부를 이전하고 개방형 수장고를 파주 헤이리에 두는 방식을 고안했다. 하지만 용산 부지가 현 국립민속박물관 부지보다 좁고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에 세종시 이전이 언급되면서 용산 이전은 무산됐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국립민속박물관 외관 [사진=국립민속박물관] 2019.11.13 89hklee@newspim.com |
윤성용 국립민속박물관장은 지난 10월 열린 올해 국정감사에서 "접근성만 보면 경복궁이 있는 현 위치가 좋지만 민속학과 민속박물관의 향후를 내다보면 세종시 이전이 낫다"고 말했다. 이어 "국립중앙박물관이 위치한 용산 부지를 공유하기도 부족하다. 현재도 3개 상설전을 운영하고 있지만 다양한 전시를 구현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당시 정세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립중앙박물관이 자리한 용산이나 경복궁과 고궁박물관, 역사박물관이 있는 일대 송현동에 약 3만6363㎡(약 1만1000평)의 부지가 있다며 이전지로 추천했다. 정 의원은 "민속박물관의 이전은 국가 균형발전 차원의 문제로 볼 게 아니라 내·외국인 관람객 유치에 유리한 접근성이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 외국인 관람객 유치 위해 서울이 본관 돼야…지방 분관도 필요
국립민속박물관은 1945년 11월 8일 창립한 국립민족박물관을 모태로 민족문화의 창달과 전통문화의 보존을 위해 1966년 10월 개관했다. 1993년부터 국립민속박물관이 경복궁 현 위치에 새롭게 개관하면서 연 150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오가는 명소로 성장했다.
이윤선 (사)한국민속학술단체연합회 회장은 민속학회를 대표하는 학회장들과 의견을 모아 국립민속박물관이 서울에 위치해야 하며 지방 분관 설립을 추진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13일 뉴스핌에 "서울에 있는 국립민속박물관 전체를 세종시로 이전하겠다는 것은 지방 분권에도 맞지 않다. 국가전략 차원에서도 마찬가지"라며 "경복궁과 가깝기 때문에 외국인 방문객이 많은데, 이를 무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국립민속박물관 상설전시장 내부 (여름 전시) [사진=국립민속박물관] 2019.11.13 89hklee@newspim.com |
이어 "서울에 중심을 두고 보다 많은 국민이 향유할 수 있도록 지역에 분관을 둬야한다. 호남과 경상, 강원, 경기 등에 분관하고 전시, 연구, 야외 공간 활용 등 관별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회장은 서울에서 민속박물관이 이전하기 적합한 곳으로 송현동을 언급했다. 그는 "정세균 의원도 이야기했듯 송현동에 1만1000평의 부지가 있다. 또 전문가들이 만나 이야기하다보면 여러 대안이 나올 것"이라며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도 90%가 지하에 만들어졌다. 지금은 시공을 초월하는 4차산업시대다. 기존 인식을 뛰어넘어 공간 구성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윤선 회장은 중장기적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통일 이후도 고려해봐야 한다. 민속박물관은 한반도 통일과 평화를 위해 남북한 사람들의 민속문화의 동질성·이질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해 민족의 통합을 가능하게 할 중심 기관이다. 고고학박물관, 중앙박물관도 있지만 우리 삶의 모습을 전시하는 곳은 민속박물관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진행된 '춤으로 맞는 한가위 대동놀이' [사진=국립민속박물관] 2019.11.13 89hklee@newspim.com |
그는 "정부도 고민을 했겠지만 이런 방식으로 민속박물관을 세종시로 몰아내는 것은 성급하다. 간다해도 충분한 연구와 여론 수렴을 거친 후에 결정해도 늦지 않다"고 덧붙였다.
김종규 한국박물관협회 명예회장도 외국인 관람객의 접근성을 높이는 방법과 지방 분관 모두 관심을 둬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명예회장은 "한국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건 민속이다. 외국인 관람객이 한국을 이해하기 위해 민속박물관으로 가는데, 접근성이 떨어지면 관람객도 줄고 한국 문화를 소개하기도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지방 분관 형태가 되려면 그 지역이 중심이 되는 민속자료를 중심으로 하더라도 종합적인 연구도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 이전 논의만 20년…세종에 연구·전시·교육 부지 충분
윤성용 관장은 국립민속박물관의 세종 이전은 필요하며 서울에는 박물관 기능을 제대로 할 부지 역시 없다고 지적했다.
윤 관장은 13일 뉴스핌에 "현재 국립민속박물관 건물은 1972년 건립돼 전시실도 좁고 민속학 자체를 보여주기 어렵다. 교육, 연구시설까지 다 담으려면 더 넓어야 한다"며 "현재 우리 민속박물관 건물 면적이 1만2000평인데 3~4배는 더 커야한다. 이를 모두 감당할 땅을 서울에서 찾을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국립민속박물관에서 마련한 '거북아 거북아 놀아라' [사진=국립민속박물관] 2019.11.13 89hklee@newspim.com |
정세균 의원이 제안한 송현동 부지에 대해서는 "1만1000평 정도라는데, 현 국립민속박물관 부지보다 좁다. 그 부지 공시지가가 3000억원이다. 시가는 공시지가의 2~3배니까 매입비는 1조원"이라고 말했다. 이어 "면적이 좁아 층수를 높여야 하는데 고도 제한이 12m다. 그럼 땅 밑으로 내려야 하는데 건축비가 평지에 지을 때보다 1.3배 더 든다고 한다. 야외 전시도 꾸며야 하는데 이를 다 따져보면 구색만 갖춘 거지 제대로 된 전시, 교육, 연구 시설을 마련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관람객 접근성을 고려하면 박물관이 서울에 있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서울에 분관 형태로 전시를 이어가고, 중심 센터는 세종으로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윤 관장은 "민속박물관 이전 문제 이야기가 나온지 20년이 넘었다. 부지를 두고 계속 시간만 끌었다. 그런데 향후 50년, 100년을 내다보면 세종에 가야 한다. 연구, 교육, 전시까지 모두 가능한 부지가 세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외국인들이 민박을 가는 이유가 두 가지다. 하나는 민속학이 좋아서, 다른 하나는 동선이 편리해서다. 외국인들이 경복궁을 갔다가 고궁박물관은 가지 않는데 민속박물관은 온다. 동선이 좋고 관광버스가 들어서기가 쉽기 때문"이라며 "세종은 통일 이전에 전국 어느 지역에선든 2시간30분 이내에 올 수 있는 곳이다. 그러니 내국인 관람객은 또 더 들어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윤 관장은 향후 계획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이러한 사안을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민속박물관 및 민속학의 중장기발전계획(가제)을 갖고 내년에 연구용역할 거다. 그럼 전체 종합계획이 나올 것"이라며 "이후 이전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민속학계와 만나 이야기했고, 모두가 다 세종 이전을 반대하고 있진 않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에서는 민속학을 포기한 지 오래다. 안동대 하나만 남아있다. 중앙대도 없어졌다. 인문학이 홀대받고 있고 그중에서도 민속은 심하다"며 "이런 현실인데 국가에서 민속을 포기할 수는 없다. 국립기관인 우리가 담당해야 한다. 연구 기능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연구센터도 전시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