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9월 중순 지준율 및 LPR 인하
올해 말까지 지준율 100bp 인하
[서울=뉴스핌] 정산호 기자 = 미중 무역전쟁의 장기화와 경기하방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이 현재보다 금리수준을 낮추는 경기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중국 경제 전문가들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최근 중국의 수석 경제학자 6인은 ‘빠르면 9월 중순에는 지급준비율(RRR·지준율) 및 대출우대금리(LPR) 금리가 인하될 것’이라는 기대섞인 예측을 내놔 시장의 주목을 모으고 있다.
[사진=바이두] |
지난달 17일 중국 인민은행은 기존 대출금리를 대신하는 신(新) 대출우대금리(LPR) 제도 도입을 발표하며 기존 금리제도의 대수술을 예고했다. 9월 4일 리커창 총리가 주재한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에서는 ‘실질 금리 수준 인하를 촉진하고 보편적∙맞춤형 지준율 인하 등의 정책 수단을 시의 적절하게 운용해 실물경제 금융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5일 국무원 금융안정발전 위원회가 ‘역주기 조절 강도를 높이고 금융과 재정정책을 효율적으로 조정해 발전 잠재력이 큰 영역의 발전을 지원’할 것이라 밝히며 금융완화 정책 시행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상태다.
이에 대해 6인의 중국 수석 경제학자들은 중국 당국이 미중 무역전쟁의 장기화 영향과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반영한 조치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이르면 9월 중순에 지준율 인하를 비롯한 LPR 금리 인하가 발표될 것이라고 답했다.
일반적으로 지준율 인하는 중앙은행이‘돈을 푼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짙다. 하지만 루정웨이(鲁政委) 싱예(興業)은행 수석 경제학자는 ‘중앙은행이 지준율 인하를 통해 은행의 자본비용 낮춰줘야 실물 경제의 대출이자도 낮아질 것’이라며 지준율 인하 필요성을 강조했다.
롄핑(连平) 교통은행(交通银行) 수석 이코노미스트 또한 ‘지준율을 낮추게 되면 시중은행의 자본비용이 낮아지고 대출에 투입 가능한 자금도 늘어나게 된다’면서 ‘이는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형 은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롄 연구원은 9월 MLF 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LPR 금리도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1년 만기 LPR 금리는 MLF 금리를 바탕으로 결정된다. MLF 금리가 낮아질수록 LPR 금리 인하 여지도 커지는 셈이다. LPR 인하의 관건은 시중은행의 유동성 보유 현황이다. 유동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LPR 금리를 낮추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유동성 공급 효과가 있는 지준율 인하 카드가 조기에 등장할 것이라는 의견이 고개를 들고 있다.
슝위안(熊園) 궈성(國盛) 증권 수석연구원은 ‘당국의 통화 완화 정책의 속도를 올리고 있다’면서 ‘빠르면 9월 중순에 지준율 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돌아오는 19일 미 연준이 기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커 중국 인민은행도 이에 발 맞춰 5~10bp 규모의 LPR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원빈(温彬) 민생(民生)은행 수석연구원 또한 이번 달 20일 발표되는 LPR 금리가 인하될 것이라고 말했다. LPR 금리 인하로 위안화 가치하락 압력을 어느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롄핑 연구원 또한 지준율 인하 및 통화정책 완화기조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있다는 점은 인정했다. 하지만 현재 중국 경제는 ‘수요부족’에 시달리고 있고 생산자 물가지수(PPI) 및 핵심 소비자 물가지수(CPI)는 하방 압력을 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때문에 일정 수준의 통화완화 정책은 물가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이라고 전했다.
왕타오(王濤) UBS 수석 이코노미스트 또한 당국이 물가지수를 고민할 필요가 없다고 지적했다. 왕수석은 ‘식품과 돼지고기 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은 단기적인 사안’이라며 ‘올해 중국의 평균 CPI가 2.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때문에 그는 올해 4분기에 중국 중앙은행이 지준율을 100bp, 내년에도 100bp를 인하할 것이라 말했다.
9월 지준율, LPR 금리 인하가 대세를 형성한 가운데 밍밍(明明) 중신(中信) 증권 수석 연구원은 신중론을 펼쳤다. 국무원 회의에서 시점을 분명히 밝히지 않고 ‘시의 적절하게’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밍 연구원은 ‘지준율 인하 시점이 그리 빠르지 않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글로벌 무역마찰 증가에 따른 불확실성이 올해 4분기와 내년 1분기 중국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럼에도 올해 중국 경제는 6.0% 혹은 그 이상의 경제성장률(GDP)을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chu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