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당 평균 12벌…최대 30벌까지 의상 체인지
의상 세탁 및 수선만 매일 8시간 소요
[서울=뉴스핌] 황수정 기자 = 2시간의 공연 동안 적게는 12벌, 많게는 30벌까지 의상을 갈아입는다. 세탁과 수선을 위해 공연이 끝나면 8시간이 넘는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뮤지컬 '번더플로어' 웜업 현장 [사진=로네뜨] |
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뮤지컬 '번더플로어'의 백스테이지가 공개됐다. 댄서들의 비밀 공간인 퀵체인지룸에는 완벽한 공연을 위한 숨은 노력이 고스란히 묻어났다.
뮤지컬 '번더플로어'는 1999년 초연 후 미국, 유럽, 호주 등 50개 국가 180여개 도시에 공연된 작품으로, 7년 만에 한국을 찾았다. 세계 최정상급 댄스 챔피언들의 아름다운 몸짓과 화려한 의상, 리드미컬한 음악으로 한시도 눈을 뗄 수 없다.
피타 로비 예술감독은 "이번 '번더플로어'는 한국에 4번째이자 7년 만에 방문해 선보이는 공연이다. 한국을 위해 완전히 새롭게 쇼를 만들었다"며 "1막은 일상적인 사람들의 모습과 꿈들을 보여준다면, 2막은 댄서들을 통해 행복, 슬픔, 열정, 분노 등 다양한 감정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공연은 14명의 댄서가 살사, 탱고, 왈츠, 퀵스텝, 삼바, 차차, 자이브 등 17가지 장르의 다양한 댄스를 선보인다. 볼룸댄스와 라틴댄스를 기본으로 여러 장르가 결합된 컨템포러리 댄스까지 매우 풍성하다. 기존 12명에서 한국 공연을 위해 한 쌍이 추가됐다.
뮤지컬 '번더플로어' 피타 로비 예술감독[사진=로네뜨] |
백스테이지가 공개되기 전 조지아 프리먼의 리드로 무대 위에서 모든 배우들이 웜업하는 현장도 공개됐다. 피타 로비는 "극장에 오면 전날 공연 피드백으로 시작해 30~40분 웜업을 시작한다. 파트너와 함께 하는 공연이기 때문에 맞춰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양한 장르의 다양한 무대가 펼쳐지는 '번더플로어'의 총 의상은 600여벌. 댄서들 평균 12번의 의상 체인지가 이뤄지며, 공연 중 30초 내에 의상과 분장 모두 체인지해야 한다. 각 댄서별로 이를 도와주는 스태프가 한 명씩 전담으로 붙는다.
브렛 후퍼 의상디자이너는 "댄스의 장르별로, 음악별로 털이나 스팽글이 달리는 등 의상의 형태도 달라진다. 보통 12번의 퀵체인지가 이뤄지며, 그 중 로렌 오크레이는 30번으로 가장 많이 갈아입는다. 신발도 달라서 매번 5켤레는 갈아신는다"고 설명했다.
뮤지컬 '번더플로어' 백스테이지 [사진=로네뜨] |
움직임이 많은 공연이기에 매일 수선과 세탁은 필수다. 모든 의상은 영국에서 공수해왔다. 공연 중 수선이 필요할 때는 노련한 한국 스태프의 도움을 받는다. 남자 의상은 2세트로 준비해 번갈아가며 입고, 여자 의상은 한 벌을 매일 세탁해 사용한다. 대신 10개 박스 분량의 여벌 의상은 항시 준비돼 있다.
후퍼 디자이너는 "공연이 끝나면 매일 10~12번 세탁해야 한다. 빨래를 위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의상이 제작됐다. 사실 세탁이 공연에서 더 큰 비중이 있는 것 같다"고 너스레를 떨면서도 "소품들은 댄서들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고, 모든 소품들은 댄서들이 가장 잘 알고 무척 아끼고 있다"며 댄서들의 열정과 노력을 강조했다.
뮤지컬 '번더플로어'는 오는 14일까지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공연된다.
hsj12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