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폰 1위‧VR AR 점유율 26% 목표
하반기부터 실감콘텐츠 지원체계
유영민 "5G 전환 가속화 노력"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2026년 5세대이동통신(5G) 네트워크 장비 시장 점유율 20%, 5G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30%(1위),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디바이스 시장점유율 26%,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점유율 12%.
19일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 첫 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5G+ 전략산업별 중장기 정책목표와 추진계획이 발표됐다. 이를 위해 당장 올 하반기부터 정부는 실감형콘텐츠‧스마트공장‧자율주행차‧스마트시티 등 5G+ 핵심서비스 활성화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5G+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예정이다.
전략위 공동위원장으로 이 자리에 참석한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민관이 힘을 모아 5G 인프라를 조기에 확충해 최고 품질의 5G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경제·사회 전반에서 5G로의 전환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과기정통부] |
◆ 2026년까지 5G 생산액 180조원, 수출 730억 달러
위원회가 발표한 15대 5G+ 전략산업별 중장기 정책 목표와 추진 계획안에는 7년 후인 2026년을 기준으로 산업별 목표치가 제시됐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6까지 5G 전략산업 생산액 180조원, 수출액 730억 달러를 달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위원회는 5G 10대 핵심 산업 중 네트워크 장비 및 VR‧AR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외에도 △지능형 CCTV(시장점유율 10%), △드론(시장점유율 7%) △5G 통신-차량사물간 양방향 통신(V2X) 단말(시장점유율 42%) △엣지컴퓨팅(시장점유율 10%) △정보보안(생산액 4조7000억원) 등의 목표치를 제시했다.
5대 핵심서비스에 대한 목표는 △2023년까지 글로벌 5G 실감콘텐츠 10개 창출 △2022년까지 5G 스마트공장 솔루션 1000개 중소기업 도입 △2026년까지 5G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 5개 보급 및 확산 △2024년까지 5G 기반 스마트시티 공공서비스 15종 도입 △2024년까지 5G 응급의료서비스 지역소방본부 의료기관 30% 보급 등이다.
이 목표치는 과기정통부가 지난 4월24일부터 이달 5일까지 총 5회에 걸쳐 마련한 '5G+ 전략산업 민관 간담회'를 통해 민간 의견을 수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산정한 수치다.
◆ 하반기 5G+ 핵심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등
이를 위해 당장 하반기부터 정부는 5G+ 핵심서비스 활성화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대상이 된 서비스는 실감콘텐츠,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등이다.
실감콘텐츠에 있어선 5G 콘텐츠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입체 실감콘텐츠 제작 인프라와 국립박물관 체험관 4곳을 구축한다. 스마트공장은 5G 기반으로 생산성 혁신기술의 산업현장 실증을 지원한다.
또 판교와 대구에서 자율주행셔틀 기술검증과 시범운영을 추진하는 한편, 3차원 전자 정밀도로 지도를 전국 고속도로에 조기 구축할 예정이다.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내에는 5G를 접목을 위한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5G 도입방안을 포함한 국가 서비스 세부 시행 계획을 수립한다.
5G+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선 단말 및 V2X 분야 해외 수출 지원을 위한 국제공인인증서 서비스 제공에 착수하고, 5G 네트워크 장비 얼라이언스를 구성해 5G 장비 공급 중소기업과 수요 대기업‧공공기관의 상생협력을 촉진한다. 5G 드론을 위해선 '드론 규제샌드박스 사업' 우편배송 드론 개발에 착수한다.
이 밖에 5G 서비스 이용기반 강화를 위해 5G 주파수를 추가로 확보하고 5G 융합서비스 주파수 공급을 위한 '5G+ 스펙트럼 플랜'을 연내 수립, 민간 행정부담 완화 등을 위한 전파법을 개정한다.
정보보안과 관련해 5G 초연결 환경에 따른 보안 내재화를 위해 '5G+ 핵심 서비스 융합보안 강화 방안'을 수립하고 스마트시범공장 보안 컨설팅, 분야별 보안가이드 개정을 추진한다.
정부는 이번 전략위원회 논의 결과와 지속적인 현장 의견수렴을 통해 향후 5G+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실행방안을 보안 및 구체화할 계획이다.
김태유 공동위원장은 "아직은 민간의 리스크가 큰 만큼 정부가 5G 서비스 규제철폐와 마중물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민관이 더욱 높은 수준의 협력을 통해 5G+ 전략의 본격적인 실행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