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년만에 폐관 '설치극장 정미소'의 마지막 라인업
6월 공연 이후 2020년 영국 런던에서 공연 예정
[서울=뉴스핌] 황수정 기자 = "이제는 많은 것을 내려놔야 하는 나이라고 생각해요. 아직도 저를 기억해주는 관객들에게 아름다운 배우, 사람, 석양처럼 남고 싶죠. '딸에게 보내는 편지'를 사랑해준 관객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그동안 공유했던 시간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나누고 싶어요."
왼쪽부터 배우 이종혁, 김태훈 연출, 배우 윤석화, 최재광 음악감독 [사진=돌꽃컴퍼니] |
16일 오후 서울 대학로 설치극장 정미소에서 모노드라마 '딸에게 보내는 편지'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는 설치극장 정미소와 인연이 깊은 배우 이종혁이 사회를 맡았고 배우 윤석화, 김태훈 연출, 최재광 음악감독이 참석했다.
먼저 이종혁은 "2003년 신인 시절, 설치극장 정미소의 객관 작품인 '19 그리고 80'에 박정자 선배님과 함께 참여했다"며 "오랜 시간 함께 한 이 공간이 사라진다는 것이 참 아쉽다"며 "그때는 공연장이 꽉 찼었고, 엄청 감동적이었다. 정말 재밌게 지냈고, 기라성 같은 훌륭한 선배님들을 많이 만났다. 기억에 오래도록 남을 공간"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배우 윤석화가 '딸에게 보내는 편지'의 메인 테마송인 '잇 워즈 아워 타임(It was our time)'을 시연했다. 윤석화는 "항상 부를 때마다 제가 지극히 사랑할 수밖에 없는 관객들이 많이 떠오르는 노래"라고 소개했다.
배우 윤석화 [사진=돌꽃컴퍼니] |
설치극장 정미소는 배우 윤석화와 건축가 장윤규가 폐허를 예술공간으로 만들어보고자 원래 목욕탕으로 쓰던 3층 건물을 개보수해 2002년 개관했다. '정미소'는 '쌀을 찧어내듯 예술의 향기를 피워내자'는 의미다. 17년간 대학로에서 명소로 자리매김했지만, 경영난으로 인해 폐관한다. 이에 곧 사라질 공간을 추억하기 위해 '아듀! 정미소'를 테마로 '딸에게 보내는 편지'를 공연한다.
윤석화는 "건물이 매각돼 더이상 공연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공간이 없어지는 것은 너무나 안타깝지만 제 힘으로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계속 적자가 있긴 했어도 제가 나름대로 해결할 수 있었는데, 건물 자체가 매각되는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더라. 언젠가 진짜 시골에 정미소를 또 만들어서 연극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조용히 그만두고 싶었지만 마지막으로 인사를 전하고 싶었다.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으니까, 흔적만으로도 충분한 것 같다"며 소회를 전했다.
또 윤석화는 "조금만 서포트해주면 다들 진심을 담아내는 좋은 작품을 만들어낸다. 후배들이 잘하면 그것만으로도 너무 행복하고 보람 있었다"며 눈물을 보였다. 그는 "좋은 공연장은 좋은 작품이 올라가는 거라고 생각한다. 극장마다 정체성이 살아있고, 정신과 가치관에 맞는 작품을 무대에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왼쪽부터 최재광 음악감독, 배우 윤석화, 김태훈 연출 [사진=돌꽃컴퍼니] |
모노드라마 '딸에게 보내는 편지'는 영국 대표 현대극작가 아놀드 웨스커의 작품이다. 1992년 연출가 임영웅의 연출과 배우 윤석화가 출연해 극단 산울림에서 초연한 바 있다. 작품은 사춘기에 접어든 딸에게 여자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 편지를 쓰는 과정을 담는다. 가수이자 미혼모로 살아온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딸에게 전하고 싶은 10가지 교훈을 이야기한다.
윤석화는 "제가 했던 작품 중 가장 열광적인 사랑을 받지 않았나 싶다"며 "작품 속에 노래가 5곡이 나오는데, 초연 때는 가사가 없어 제가 쓰거나 주변의 도움을 받았다. 이번에는 원작자인 아놀드 웨스커가 이미 작사를 했고, 최재광 감독이 작곡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예전에는 아빠의 정체가 전혀 드러나지 않았다면 이번에는 아빠의 존재가 나온다. 한편으로는 삶이라는 부피가 조금 더 두꺼워졌고,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이번 공연은 연극 '레드' '대학살의 신', 뮤지컬 '시카고' '빌리 엘리어트' 등을 연출한 김태훈 연출과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 '토요일 밤의 열기', 조용필 콘서트 등을 맡은 작곡가이자 음악감독 최재광이 합류한다. 특히 최 감독은 작품에 들어가는 노래 5곡을 작곡했다.
김태훈 연출은 "제안을 받고 개인적으로 많이 놀랐다. 특히 임영웅 선생님이 연출했던 작품이라 굉장히 부담됐다"며 "자신의 인생이 실타래처럼 엉켜있는 것처런 느꼈다가 딸에게 편지를 쓰면서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고 반성하고 스스로 치유하면서 성장한다. 그런 부분에 관객이 공감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최재광 음악감독은 "2013년 이미 작곡했다. 저도 배우처럼 극 중 배역이 돼 생각하고 감정을 느끼면서 작곡한다. 이번처럼 가사가 먼저 있는 경우 가사에서 못다한 말을 읽어내려고 노력한다. 좋은 글은 기승전결, 강약, 속도, 리듬감, 질감 등 음악적 요소를 이미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가사에서 충분히 읽어낸 후 제 것을 더해서 만들게 됐다"고 말했다.
배우 윤석화 [사진=돌꽃컴퍼니] |
특히 이번 공연은 오는 2020년 10월 영국 런던 공연을 앞두고 오픈 리허설 형식으로 이뤄진다. 이미 2013년 아놀드 웨스커와 영국 프로듀서 리 멘지스와 공연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고, 당시 갑작스러운 공연 취소로 미뤄지다 내년에 공연을 확정하게 됐다.
윤석화는 "2016년 아놀드 웨스커가 돌아가시기 전에 최재광 작곡가의 곡을 정말 좋아하셨다. 리 멘지스 프로듀서가 처음 제안했을 때 사실 걱정이 많았는데 계속 용기를 줬다. 아놀드 웨스커의 부인도 부추겼다. 안하고 죽으면 후회가 될 것 같아 결심했고, 최선을 다해 한국 배우의 저력을 보여주고 싶다"며 "40년이 넘게 공연을 해왔지만 늘 살떨리고 천국과 지옥을 오간다. 영국 공연은 영어까지 써야 한다. 최선을 다해서 좋은 평을 받고 싶다"고 각오를 다졌다.
윤석화의 모노드라마 '딸에게 보내는 편지'는 6월 11일부터 22일까지 대학로 설치극장 정미소에서 공연된다.
hsj12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