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기업 파트너사 찾지 못해 인가신청 시간 부족, 다음 기회로 미뤄
신한금융-토스 vs 하나금융-키움증권-SKT 구도, 3·4인터넷은행도 가능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NH농협금융그룹이 오는 3월 예정된 제3,4인터넷전문은행 인가신청에 사실상 불참을 결정했다. 사업 주체가 돼야 할 정보통신기술기업(ICT) 파트너를 찾지 못해 다음 기회를 노려야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신한금융그룹-토스 컨소시엄과 하나금융그룹-키움증권-SKT의 양강구도로 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전이 굳어졌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금융그룹은 제3 인터넷전문은행 준비작업을 사실상 중단하고, 디지털금융의 두 기둥인 ‘올원뱅크’와 ‘NH스마트뱅킹 원업’을 강화한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인터넷은행의 중심이 되는 ICT기업이 농협을 먼저 찾아야 하는데, 매력적인 파트너가 나타나지 않았다"면서 "다음 인터넷전문은행 가능성은 열어놓고 ICT 파트너사를 찾을 것"이라고 답했다.
![]() |
제3, 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서 마감은 오는 3월26, 27일로 남은 시간이 약 한 달여다. ICT파트너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자본금 및 자금조달방안 △주주구성계획 및 대주주 △사업계획 △발기인 및 임원 △인적·물적·전산설비 등 내용을 정리하기에 불가능한 시간이다. 신한금융의 금융결제서비스업체 토스나 하나금융의 키움증권과 SK텔레콤과 협의만도 수개월이 걸렸다.
또한 농협금융은 인터넷전문은행 지배구조문제도 풀지 못했다. 자회사인 NH투자증권은 케이뱅크 지분 10%를 보유하고 있어 농협금융이 제3인터넷은행에 나서면 인터넷은행 두 곳의 주요주주가 된다. 이 같은 구조에 대해 금융위는 “동일 금융지주사에서 두 곳 이상의 인터넷은행에 참여하면 이해상충 문제가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실제로 옛 현대증권(현 KB증권)은 KB금융그룹에 인수되자, 보유하고 있던 케이뱅크 지분 10%를 NH투자증권에 매각했다. KB금융이 카카오뱅크에 지분 10%를 투자하자, 금융당국이 두 인터넷은행의 정보를 활용하는 이해상충 문제가 발생한다고 보고 한쪽 지분 정리를 요구해서다. 농협금융도 신규 인터넷은행에 뛰어들려면 이 같은 상황정리가 필요하다.
제3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구도는 신한-토스와 하나-키움-SKT로 굳어졌다. 두 컨소시엄 모두 자본력, 주주구성, 인적·물적 설비 면에서는 합격점을 받는 곳이다. 사업계획이 변수지만 토스와 키움증권, SKT가 참여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이번에 제3은 물론 제4 인터넷전문은행도 예비인가가 가능하다는 게 금융권 시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네이버의 불참선언으로 시장에 남아있는 유망한 ICT기업은 이번에 파트너와 손을 잡았고, 혁신성∙창의성 등 금융당국이 원하는 메기효과가 충분히 기대된다”고 말했다.
hkj7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