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덕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 직격인터뷰
“美, 비핵화 진정 바란다면 개성공단 이젠 열어줘야”
“개성공단 허용하고 ICBM 제거하면 안전 확보할 것”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개성공단·금강산관광은 비핵화의 첫 단추다. 미국이 정말 한반도의 평화를 원하고, 비핵화를 원한다면 평화의 첫 단추인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를 들어주지 못할 이유가 없다. 개성공단 기업인들은 2차 북미정상회담에 상당히 큰 기대와 희망을 갖고 있다.”
2016년 2월 문을 닫고 이달로 ‘폐쇄 3주년’을 맞는 개성공단 기업 ‘영이너폼’의 이종덕 대표는 개성공단에 대한 생각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강한 어조로 힘줘 말했다.
![]() |
이종덕 영이너폼 대표 겸 개성공단기업협회 부회장 [사진=이종덕 대표 제공] |
그만큼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에 대한 간절함, 그리고 "이번만큼은 꼭 돼야 한다"는 의지가 강하다는 방증이다.
개성공단기업인들의 모임인 ‘개성공단기업협회’의 부회장직을 맡고 있는 이 대표는 “이번에야말로 한반도 평화의 상징인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이 반드시 재개될 것으로 믿는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 대표는 “이번 북미정상회담은 1차 회담 때와는 분명히 다르다”며 “그 땐 북미 양국이 서로의 간극을 확인했지만 그걸 하나로 묶을 만한 방법이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그 간극을 서로 알면서 만나는 것 아니냐. 그런 상황이라면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재개는 기본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 “개성공단·금강산관광은 평화의 상징으로, 미국이 정말 비핵화를 원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원한다면 그 첫 단추가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재개임을 알아야 한다”며 “그 것도 (미국이) 들어주지 못한다면, 기본적으로 (북한을) 비핵화시키겠다는 의사가 없는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또 “하지만 이번에는 미국이 (생각의) 폭을 넓게 하고 (북한을) 만나고 있다”며 “이번 2차 북미정상회담은 1차 회담 등 여느 때와는 다르다. 기업인들도 여기에 거는 기대와 희망이 상당히 크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민경하 기자= 지난 1월 9일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에서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 기업인들이 '개성공단 점검을 위한 방북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204mkh@newspim.com |
◆ “美,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가 자국 안전에도 큰 도움 된다는 것 알아야”
이 대표가 운영 중인 영이너폼은 속옷 제조·생산업체로, 북한 개성공단과 베트남 등에 공장을 두고 있었다.
이 대표는 지난 2008년 중국 칭다오에 있던 공장을 개성공단으로 옮겨 사업 확장을 추진했지만, 2016년 개성공단이 전면 폐쇄되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대표는 "이제는 미국이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를 결정해 줄 때가 됐다"고 말했다. "한반도 평화뿐만 아니라 미국 자국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개성공단은 반드시 열려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 대표는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들의 임금 지급 문제 때문에 미국이 (재개를) 받아들이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도 있지만, 미국이 작은 것 때문에 큰 것을 놓치지 않기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그는 이어 “많은 전문가들이 제안했듯 근로자들 임금이야 현물로 대체해서 지급하면 되고, 실사 임금이 북한으로 흘러 들어갔다고 해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이 같은 주장의 근거로 "일부에서 생각하는 것처럼 개성공단과 북한의 핵 개발 사이 연관성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논리를 폈다.
이 대표는 “북한은 개성공단이 열리기 전에 2년 마다 핵실험을 했는데, 개성공단이 닫히고 나서 그 주기가 1년 6개월, 3개월 이런 식으로 더 짧아졌다”며 “개성공단이 정말 핵개발 자금 제공에 도움이 됐다면 개성공단이 닫히고 나서는 핵실험을 못했어야 하는데 그렇지가 않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이어 “개성공단에 근로자 임금으로 들어간 돈이 1억달러(한화 약 1100억원) 정도인데, 이 정도는 북한이 정말 핵개발을 위해 필요하다면 개성공단이 아니어도 얼마든지 만들어서 쓸 수 있는 돈”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우리나라 실업보험으로 나간 돈이 지난달만 해도 2600억원이다. 물론 우리의 경제 규모가 북한의 30배에 달하기는 하지만, 북한도 하나의 국가다. 한 국가에게 1100억원은 결코 큰 돈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또 “북미 양국은 이번에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제거,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를 놓고 협상할텐데, 미국이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를 들어주지 않으면 미국에게 가장 두려운 존재인 ICBM을 못 없앨 수도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국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서든, 미국 본토의 안전을 위해서든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를 들어줘야만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
2013년 9월 북한 개성시 봉동리 개성공단 SK어패럴에B한 개성시 봉동리 개성공단 SK어패럴에서 노동자들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자료=개성공단공동취재단] |
◆ “개성공단, 대한민국 미래 먹거리…꽉 막힌 韓 경제 활로 될 것”
“美‧中 모두 눈독 들여…정부, 더 이상 수수방관 말아야” 호소
이 대표는 “개성공단·금강산관광이 이번에 반드시 재개되기 위해선 우리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미래 먹거리를 찾고, 선점하는 의미에서 개성공단 재개는 더 이상 늦춰져선 안되기 때문에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대표는 또 “개성공단 재개를 해달라는 것은 북한을 도와주고, 그들에게 퍼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대한민국 미래 경제성장 동력을 찾기 위해서”라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남북이 하나의 공동체 시장을 만든다면 7000~8000만 인구의 내수 시장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데, 그게 꽉 막힌 대한민국 경제의 활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 “미국, 중국은 비핵화를 논하는 과정 속에서도 자기 기업인들을 보내서 조사하고 미래 먹거리를 찾아가는데 정작 한민족인 우리는 아무것도 못 하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는 “더 이상 우리 정부가 수수방관을 해선 안 된다.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미국에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라는) 우리의 주장을 명백히 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
지난 2017년 4월 촬영된 개성공단의 모습.[사진=로이터 뉴스핌] |
최근 정부가 미국 측에 ‘비핵화 협상이 잘 되면 비핵화 로드맵에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도 포함시키자’고 제안했다고 알려진 것과 관련해서도 "정부가 응당 해야 할 역할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대표는 “개성공단 폐쇄는 지난 박근혜 정부의 초법적 절차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촛불정부로서 탄생한 문재인 정부는 당연히 개성공단·금강산관광을 (미국과의) 협상 테이블에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폐쇄 이후) 정부로부터 어떤 사과, 보상도 받지 못했다”면서 “지원금은 받았지만, 이는 공단이 재개되면 다 반납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부에서 (개성공단을) 원상 복구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또 “문재인 대통령이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해 미국 측에 수없이, 기회가 있을 때마다 건의를 했을 것”이라면서 “최근 문 대통령이 남북경협 부담을 대한민국이 떠맡겠다고 한 것을 보면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어도 부단히 노력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suyoung07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