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이른바 ‘블랙 다이아몬드’로 통하는 원유 시장에 열강들의 패권 다툼이 후끈 달아올랐다.
중동 석유 강국 사우디 아라비아이 주도권을 쥐고 있던 원유 시장에 러시아와 미국이 가세하면서 지축이 흔들리고 있다는 주장이다.
원유 배럴[사진=로이터 뉴스핌] |
셰일 업계의 대규모 공급 물량을 앞세워 원유 생산 1위로 부상한 미국은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인 이란과 베네수엘라에 대한 제재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구두 개입까지 다각도로 세력을 행사하고 있다.
사우디와 러시아가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 유가 변동성이 걷잡을 수 없이 치솟았고, 중장기 프로젝트를 결정해야 하는 석유업계는 골머리를 앓고 있다.
표면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을 취하는 사우디와 러시아 역시 적정 유가를 둘러싼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원유시장 힘겨루기가 더욱 복잡해지는 양상이다.
지난해 12월 널뛰기를 연출한 유가는 판도변화에 따른 충격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단면으로 해석된다.
국제 벤치마크 브렌트유는 최고 배럴당 86달러에서 최저 50달러까지 급등락, 원유 선물옵션 트레이더들의 숨통을 조였다.
상황은 더욱 악화될 전망이라는 데 시장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라피단 에너지 그룹의 로버트 맥넬리 대표는 CNBC와 인터뷰에서 “원유시장의 질서가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다”며 “유가 발작이 상당 기간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셰일 붐을 앞세운 미국의 원유 공급량은 하루 1190만배럴에 달한다. 이는 1년 전에 비해 하루 200만배럴 늘어난 수치다. 전세계 원유시장의 수급을 흔들기에 충분한 외형이라는 평가다.
OPEC 회원국인 이란과 베네수엘라를 정조준한 트럼프 행정부의 제재 역시 원유 공급과 유가에 작지 않은 변수에 해당하며, 이에 맞서려는 사우디와 러시아의 대응이 변동성을 더욱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했다.
사태를 더욱 복잡하게 하는 것은 사우디와 러시아의 이해관계다. 러시아는 중동 지역의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계산으로 사우디와 공급 물량 조정에 협력하고 있지만 속내는 다르다.
사우디의 메이저들은 재고 물량 통제에 홍역을 치르는 반면 러시아 국영 석유업체들이 감산에 반기를 들고 있다.
아울러 시장 전문가들은 사우디의 재정건전성과 석유업계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한 적정 유가 수준을 배럴당 70~80달러로 판단하고 있지만 러시아의 경우 배럴당 40달러에 기반해 예산을 세운 한편 유가보다 루블화 안정에 무게를 두는 모습이다.
열강들의 세력 다툼 속에 유가는 수급 상황이나 경제 펀더멘털보다 금융시장과 투자 심리에 휘둘리고 있다는 것이 투자자들의 지적이다.
걷잡을 수 없는 유가 급등락은 트레이더는 물론이고 글로벌 석유 업계에 골칫거리다. 중장기 프로젝트 및 투자 결정이 한층 복잡해졌기 때문.
한편 월가 투자은행(IB) 업계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서베이에서 올해 국제 유가 전망치를 낮춰 잡았다.
OPEC과 러시아가 감산에 나섰지만 경기 한파를 근거로 투자자들은 올해 브렌트유 평균 가격 전망치를 배럴당 69달러에서 67달러로 떨어뜨렸다.
신문은 경제 펀더멘털과 중동 산유국 공급 이외에 트럼프 행정부의 이란 제재 예외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유가 향방을 가늠하기 어렵게 한다고 지적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