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16일 ‘호국의 영웅 귀환행사’ 열고 고인 넋 기려
2009년 유해 발굴됐지만 유가족 DNA 찾지 못해
아들 박영식 씨, 지난해 유가족 DNA 시료 채취 참여‧친자 확인
국방부 “전사자 유해 유족 송환…DNA 시료 채취 참여 절실”
[서울=뉴스핌] 하수영 수습기자 = 6.25 전사자 유해 발굴사업으로 신원이 확인된 고(故) 박태홍 일병의 유해가 전사한지 68년 만에 유족 품으로 돌아가게 됐다.
국방부는 16일 고 박태홍 일병을 위한 ‘호국의 영웅 귀환행사’를 경기도 양주에서 열고 고인의 넋을 기리는 시간을 가졌다.
유가족이 보관중인 故 박태홍 일병의 어린시절 모습 [사진=국방부] |
‘호국의 영웅 귀환행사’는 유가족에게 전사자에 대한 신원확인 경과 및 유해 발굴 당시의 함께 발굴된 유품, 국방부장관 위로패 등을 전달하는 행사다.
국방부는 “고 박태홍 일병은 2000년 6.25 전사자 유해 발굴 사업‘을 추진한 이래 130번째로 신원이 확인된 호국 영웅”이라며 “국방부 및 책임지역 부대장, 지자체 관계자 등 30여명이 행사에 참가해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들을 위로했다”고 밝혔다.
박 일병은 6.25 전쟁 당시인 1950년 9월 10일부터 13일까지 국군 7사단 8연대 소속 병사로 활약하며 영천전투 반격전에 참전했다. 국방부는 “전북 부안군에서 태어나 슬하에 3살 된 아들을 두고 아내가 둘째 아들을 임신 중이었던 박 일병은 전쟁이 발발하자 위기에 처한 조국을 지키기 위해 1950년 7월 21살에 나이에 입대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1950년 9월 북한군 공세를 저지하기 위해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한 국군에게 영천군 전투는 낙동강 방어선 사수 여부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전투였지만 초기 전투력이 열세해 방어선이 돌파되고 영천지역을 뺏겼다”며 “하지만 박 일병이 소속된 7사단 등 추가 병력 투입으로 사흘간 치열한 반격전을 펼쳐 영천지역을 탈환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박 일병은 영천전투 당시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방부는 “영천 전투는 낙동강 전선에서 북한군의 돌파구 확대를 저지하고 최초로 북한군을 패퇴시킨 전투로 이 때 국군이 인천상륙작전 등 반격작전을 펼칠 수 있는 일대 전기를 마련했다”며 고 박태홍 일병의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
2009년 최초 발견당시 故 박태홍 일병의 유해 모습 [사진=국방부] |
이날 유족의 품으로 돌아간 박 일병의 유해는 발굴 10년 만에 어렵게 이뤄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2009년 4월 경북 포항시 죽장면 무명 504고지에서 박 일병의 전투화 등 유품이 발굴됐지만 안타깝게도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유품이나 유가족 DNA 중 일치하는 데이터가 없어 유해 발굴 후 유족 품에 유해가 돌아가기까지 10년이나 걸리게 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박 일병의 신원은 큰 아들 박영식(71세)씨가 지난해 10월 의정부시 보건소에서 유가족 DNA 시료 채취에 참여하고 지난 9월 검사 결과가 나오며 두 분이 친자 관계인 것이 확인됐다”며 “이에 박 일병은 전사한지 68년 만에 그리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고 박태홍 일병의 아들 박영식 씨는 이날 유가족 DNA 시료 채취에 좀 더 일찍 참여하지 못한 아쉬움과 함께 어린 시절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도 나타냈다. 또 아버지 박 일병의 유해를 찾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준 국방부에 감사의 뜻도 전했다.
박씨는 “시료 채취에 조금만 더 일찍 참여했다면 아버지를 10년 더 일찍 찾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크다”며 “어린 시절 아버지가 원망스러운 순간도 있었지만 지금 이 순간 아버지가 더 없이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박씨는 이어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아버지를 잊지 않고 찾아준 국가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방부에 따르면 6.25 전사자 유해 발굴작업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유해를 찾았지만 정작 신원 확인이 되지 않은 전사자들도 많다. 국방부는 전사자들의 유해가 하루 빨리 가족들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유족들이 DNA 시료 채취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이학기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은 “유해는 찾았지만 아직까지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전사자들이 1만여 명 정도 된다”며 “이 분들이 하루 빨리 유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게 유가족들이 적극적으로 DNA 시료 채취에 참여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suyoung07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