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보 성격에 맞춰 관리 시스템도 맞춤형으로
[서울=뉴스핌] 최유리 기자 = 동산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한 '동산담보대출 표준안'이 본격 시행되면서 은행권이 담보관리 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사물인터넷(IoT)부터 QR코드까지 다양한 담보 성격에 맞춰 관리 시스템도 맞춤형으로 진화하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IoT와 QR코드를 이용한 동산담보 사후 관리 플랫폼 구축을 진행 중이다.
동산담보대출은 기업이 보유한 기계설비, 재고자산, 농축수산물, 지식재산권(IP) 등을 담보로 은행에서 자금을 빌리는 상품이다. 부동산이나 신용도가 떨어지는 기업에게 유용한 상품이지만 담보로 맡긴 자산을 무단 반출하거나, 도난 당했을 때 문제가 발생한다는 게 단점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은행은 IoT와 QR코드를 활용키로 했다. 동산담보의 성격에 따라 사후 관리 시스템을 이원화해 담보 관리 안정성과 비용 효율성 높이기 위해서다.
동산담보관리 사물인터넷(IoT) 센서가 부착된 기계 [사진=최유리 기자] |
우선 고가이거나 차량·건설기계처럼 이동성이 높은 동산, 도난 우려가 높은 것에 대해선 IoT 단말기를 활용한다. 담보물에 부착해 이동 경로나 가동률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방식이다.
저가나 이동성이 낮은 자산, 원재료·반제품·완제품 등 재고자산에는 QR코드를 이용할 계획이다. IoT 단말기처럼 은행에서 담보물의 상태가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장점검시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스캔하면 확인이 가능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oT 단말기나 QR 코드 부착과 사후 관리, 긴급상황시 초동조치 등은 외부 업체에 맡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비용 대비 효율성을 고려해 두 가지 방식을 준비하고 있다"며 "동산담보대출 관련 내규를 정비하고 연말까지 사후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0일 동산담보대출 전용상품을 내놓은 신한은행도 디지털 담보관리 시스템을 갖출 계획이다. 올 11월을 목표로 IoT를 활용해 담보물의 위치정보 및 가동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와 함께 담보관리 전담팀을 새로 만들어 전문성을 높일 방침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올해까지는 동산담보 평가를 외부기관에 맡기고 추후 대출 진행 상황에 따라 내년에는 자체 평가 조직이나 인력을 구축할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KEB하나은행은 일부 동산 담보에 IoT 기술을 시범 적용해 테스트 중이다.
지난 5월 은행권에서 가장 먼저 IoT 기반 동산담보대출을 출시한 IBK기업은행은 출시 2달 만에 취급액 100억원을 넘겼다. 지난 10일 기준 113억원을 기록한 기업은행은 올해 목표금액을 2000억원으로 잡고 있다. 내년부터는 이를 2배로 올려 2020년까지 1조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담보가 없거나 대규모 기계를 갖고 있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니즈는 확실히 있다"며 "2012년에 동산담보 상품울 출시했을 때와 비교해 관리 기술도 많이 발전했고 분위기가 다르다"고 평가했다.
동산담보대출을 중장기적으로 활성화하려면 시간이 필요한 만큼 비용효율성을 감안해 다양한 IT 기술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박훤일 경희대 법학전문대 교수는 "핵심 부품을 빼돌리면 고철더미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 IoT 기반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며 "근거리무선통신(NFC)나 QR코드로 출석체크하듯 그날그날 동산담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은행연합회는 정부의 동산금융 활성화 추진정책에 맞춰 동산담보대출 표준안을 제정한 바 있다. 동산담보대출 취급을 확대할 수 있도록 대상기업, 담보자산범위 및 적용대출상품을 확대하고 담보인정비율을 자율화 하는 게 골자다. 지난 27일부터 시행에 들어갔으며, 은행별로 이를 내규에 반영하고 있다.
yrcho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