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사원 '간주근로시간제', 시차출퇴근제 도입
탄력근로제에다 직접 일한 시간 입력 시스템도
[서울=뉴스핌] 김근희 기자 =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 이후 유한양행의 영업사원 A씨는 사무실이 아닌 병원으로 출근한다. 52시간 근로제 시행 전까지는 매일 사무실에 출근해 주문서 등을 정리하고, 보고서를 만든 후 거래처에 갔지만, 이제는 다르다. 병원에서 바로 출퇴근을 한다.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 첫 주의 마지막 날인 6일 제약·바이오 업체들의 근무 풍경에도 조금씩 변화가 일어났다.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대상인 업체들은 근로시간 단축을 위해 유연근로제를 도입했다. 아직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대상이 아닌 기업들도 퇴근 방송을 하는 등 야근 없는 사내 문화를 조성하고 있다.
GC녹십자 '브랜드 데이'에 영업사원이 약국에 방문하여 선택된 브랜드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GC녹십자] |
유한양행은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간주근로시간제를 적용했다. 간주근로시간제는 출장 또는 외근 등 통상 업무 수행에 필요한 시간을 근무시간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간주근로시간제가 적용되면서 유한양행 영업사원들은 병원으로 바로 출근하고 퇴근할 수 있게 됐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그동안 영업사원들의 경우 우선 사무실에 출근해 일을 한 후에 현장으로 나갔다"며 "앞으로는 하루나 이틀 정도만 사무실로 출근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GC녹십자는 주 52시간을 준수하면서 스스로 출퇴근 시간을 정할 수 있는 시차출퇴근제를 시행했다. 셀트리온과 한미약품도 각 직무에 맞춰 탄력근로제를 도입했다.
종근당도 영업직에 한해 간주근로시간제를 적용하고, 연구소 인력을 대상으로는 재량 근무제를 시행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경우 직원들이 직접 자신이 실제로 일한 시간을 입력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출근 후 퇴근까지의 시간 중 오랫동안 자리를 비우거나, 개인 일정 등을 처리한 경우 이를 근무 시간에서 스스로 제외하는 것이다.
올해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대상이 아닌 제약사들도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사내 문화를 만들기 위해 나서고 있다. 근로자 50~299인 기업은 2020년 1월1일, 5~49인 기업은 2021년 7월1일부터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된다.
동아에스티는 최근 퇴근 시간에 맞춰 퇴근을 독려하는 사내 방송을 하고 있다. 또 오전 10시부터 11시30분까지 집중해서 일하는 집중근무제를 도입했다. 오전 10시가 되기 전 방송을 통해 집중근무 시간에는 개인적인 전화통화, 흡연 등을 줄이라는 방송을 한다.
또 회사는 간주근로시간제와 탄력근무제 등을 도입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실제로 주 52시간이 지켜지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영업사원들의 경우 실적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스스로 추가 근무를 하는 경우 회사에서 이를 근무 시간으로 인정할지 미지수다.
또 아직도 저녁 접대와 주말 학회 등의 시간을 근무시간으로 인정해야 하는 가에 대한 확실한 결론도 나오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주 52시간 위반에 따른 처벌이 유예된 만큼 각 업체가 그 동안 현실적인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여러 다양한 근무제를 시범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ke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