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일본에서 본격적인 주주총회 시즌에 접어드는 가운데 대주주인 일본 국내 기관투자가들이 달라지기 시작했다고 26일 아사히신문이 보도했다.
이전의 일본 기관투자가들은 경영측의 의안을 묵인하는 경우가 잦았다. 하지만 최근엔 내부 기준에 맞지 않는 안에 대해선 반대표를 던지고 의안별로 찬반여부도 공개하고 있다. 신문은 "경영진이 보다 주주와의 대화에 나설 필요가 있어보인다"고 전했다.
미쓰이스미토모신탁은행 주주총회 모습 [사진=지지통신 뉴스핌] |
미쓰이스미토모(三井住友)신탁은행은 올해 봄 미쓰이해양개발의 이사진 10명 전원 선임에 반대했다. 경영 감독을 위한 사외이사진 수가 은행 내에서 정한 기준보다 적었기 때문이다. 올해 1~3월 총회에서 미쓰이스미토모신탁은행의 전체 의안 반대비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포인트 오른 17.0%다.
미쓰비시(三菱)UFJ신탁은행도 지난해 같은 미쓰비시그룹인 미쓰비시자동차의 사외이사 선임에 반대했다.
이처럼 기관투자가들의 반대목소리가 두드러지는 배경에는 '스튜어드십 코드'가 있다. 스튜어드십 코드는 기관투자가의 의결권 행사지침으로, 일본 금융당국은 일본시장이 국제표준에 가까워지도록 하기 위해 2014년 제시했다. 지난해 5월부터는 '의안에 대한 찬반 여부'도 공개해야 한다는 항목이 추가됐다.
이에 소극적이던 일본 생명보험업계도 닛폰(日本)생명보험을 제외한 주요회사들이 정보를 공개하기 시작했다.
신문은 "기관투자가들의 반대표는 특히 경영진 선임과 관련해 많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스포츠용품기업 미즈노의 미즈노 아키토(水野明人)사장은 지난 21일 총회에서 재임됐다. 하지만 찬성률은 64.46%에 그쳤다. 기관투자가들이 "적대적 기업 매수에 대한 방어책이 경영자 보신에 사용되고 있다"며 반대한 탓이다.
하지만 반대의 목소리가 기업과 투자가의 소통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다이와스미킨(大和住銀)신탁투자고문은 지난해 총회에서 반대표를 던졌던 약 450개사에 면담을 요청하는 편지를 송부했다. 20% 정도가 면담에 응할 의향을 나타냈다.
구라모토 히로시(蔵本祐嗣) 다이와스미킨 책임투자오피서는 "경영자가 스스로 변하겠다고 열심히 설명하는 회사도 있다"며 "설명에 납득하면 내부 기준에 미달해도 찬성표를 던지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노무라(野村)자본시장연구회 니시야마 겐고(西山賢吾) 주임연구원은 반대를 당한 기업의 반응이 나오지 않았을 경우 "개별개시 결과를 근거로 적극적으로 대화하길 바란다"며 "투자가도 늘 옳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기업과 투자가가 서로 이해를 쌓아나가면서 긴장감 있는 관계를 구축해 기업가치를 높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keb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