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성급한 합의 나오면 일본 헌법·외교·국가안보 정책 등 전면 재검토해야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이번 주 미국 워싱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양국 공조를 확인하는 한편 미국에 일본인 납북자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할 예정이라고 6일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 |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왼쪽)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통신은 아베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취임 후 8번의 대면을 포함해 벌써 30차례 대화를 나눴으며, 관계자들도 미국이 북한에 대한 일본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면서 7일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아베 총리의 초조한 심리를 시사했다.
익명의 한 외교 관계자는 “일본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CVID)를 거듭 강조하고 있고 일본의 포지션은 변한 게 없다”면서 “당연히 미국도 일본의 이런 입장을 이해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본 국내에서는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성급한 합의를 맺어 일본에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들끓고 있다. 일본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을 축소하지는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아베 총리의 외교문제 특별 자문관은 이렇게 될 경우 “일본의 헌법이나 외교, 국가 안보 정책이 완전히 새롭게 재검토돼야 하는 상황”이라면서 “이는 일본은 물론 미국에도 악몽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국제문제 연구소 선임 연구원 고타니 테츠오는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소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났을 때 (납북 일본인) 문제를 제기해주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북미 정상 회담의 결과에 따라 일본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단독 정상회담을 추진할 가능성도 있다고 매체는 덧붙였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