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 "드루킹-김경수 메시지 주고받은 것은 아냐"
→ 경찰 "김경수가 드루킹에 기사 링크 보냈다"
압수물 분석·계좌추적 등에 늦장 대응 논란
여당 유력 정치인 연관돼 소극적?
[서울=뉴스핌] 이성웅 기자 = 검찰이 '드루킹' 김모(48)씨의 1차 범죄에 대해 구속기소하면서 경찰 수사 '2라운드'가 시작됐지만 부실 수사 논란이 식을 줄 모른다. 경찰은 드루킹의 여죄는 물론 드루킹 뒤에 있을지도 모를 배후도 파악해야 하지만 사건에 정치권을 개입시키길 꺼려하는 눈치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20일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김씨에게 2016년 1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총 10건의 기사 주소(URL)를 보냈다"라고 밝혔다.
![]() |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16일 국회에서 열린 댓글 조작 논란 관련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kilroy023@ |
이는 지난 16일 이주민 서울경찰청장이 기자간담회에서 한 말과 정반대되는 발표다.
이 청장은 당시 "김 의원이 김씨가 보낸 메시지 대부분을 읽지 않아 '주고 받았다'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씨의 일방적인 소통이었다는 것.
경찰의 이번 발표를 통해 당초 경찰의 수사가 부실 혹은 의도적으로 축소됐다는 논란이 더 거세졌다. 김씨와 김경수 의원 간 쌍방향 소통이 있었다는 것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경찰은 김씨가 김 의원에게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을 통해 각종 메시지를 보낸 자료도 뒤늦게 검찰에 제출했다. 이에 대해서 경찰은 "압수물 분석이 미처 끝나지 않은 상태었을 뿐 의도적으로 수사를 축소한 사실이 없다"라고 해명했다.
이를 두고 경찰이 여당의 유력 정치인과 엮이길 꺼려 소극적으로 수사한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러다 특별검사(특검) 도입까지 거론되자 뒤늦은 움직임을 보인다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 |
17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의 한 출판사의 문이 굳게 잠겨 있다. 파주출판단지 안에 위치한 이곳은 더불어민주당 당원이자 파워블로거 드루킹 김모씨가 추천수ㆍ댓글 조작 등의 사건 현장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학선 기자 yooksa@ |
이번 수사에서 경찰을 둘러싼 논란은 이뿐만이 아니다. 경찰은 김씨의 배후세력을 밝히는 데 결정적인 단서가 될 계좌추적에도 뒤늦게 착수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씨 등 이번 사건의 피의자들은 경기도 파주에 '느릅나무'라는 유령 출판사를 세우고 이를 여론조작 활동의 전초기지로 삼았다. 이 회사를 운영하는 데만 임대료 등 수천만원이 들어갔지만 자금 출처가 규명되지 않고 있다.
김씨 등의 계좌추적이 지연된 것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긴급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경찰은 현재 피의자들로부터 금융거래 정보제공 동의서를 제출받아 이들 명의의 계좌를 분석 중이다. 또 김씨 등이 활동 근거지로 삼은 유령 출판사 '느릅나무'의 개인사업자 명의 계좌 2개 등을 포함해 총 35개의 계좌를 분석 중이다.
경찰은 논란이 확산된 이번 주 들어서야 범죄수익추적수사팀 등 전문인력을 추가하는 등 대응에 나선 상태다.
lee.seongwo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