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서울시 전체 반려견의 46.9%만 등록돼
견주 83.2% "등록절차 까다롭고 필요성 못 느껴"
[서울=뉴스핌] 김세혁 기자 = 서울시 반려견의 등록건수가 전체의 절반을 밑도는 등 인식확산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견주들이 복잡한 등록절차에 따른 ‘귀찮음’을 미등록의 주된 이유로 든 만큼 제도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동물등록제 현황’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정식 등록된 반려견은 총 23만6285마리로 집계됐다.
이는 서울 시내 전체 반려견의 46.9%로,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2016년 서울의 반려견 수는 50만 마리로 추산된다.
물론 전국적으로 보면 서울의 반려견 등록률은 높은 편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14년 1월 동물등록제 시행 이래 전국의 반려견 등록 비율은 2012년 8.2%에서 2015년 25.3%, 2017년 33.5%로 각각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서울의 반려견 등록 비율은 2013년 32%(16만2366마리), 2014년 40.2%(20만2459마리), 2015년 44.4%(22만3087마리), 2016년 46.9%(23만6285마리)로 전국 등록률을 웃돌았다.
반려견주 절반 이상이 동물등록제에 불참한 것은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이다. 설문 결과 미등록 이유에 대한 답변으로 ‘등록방법이나 절차가 복잡해서’가 51.4%나 됐다.
이어 ‘필요성을 못 느껴서’가 31.8%, ‘등록 제도를 알지 못해서’가 12.1%로 각각 집계됐다. ‘등록대행업체를 찾기 어려워서’도 4.7%였다.
등록절차가 복잡하다는 불만은 반려견주 사이에서 계속 제기돼 왔다. 동물등록을 하려면 반려견을 직접 데리고 동물병원 등 대행기관을 찾아야 한다. 이어 등록서류를 작성한 뒤 수수료(1만~1만5000원)를 지불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시군구청에서 동물등록제가 완료됐다는 연락이 오면 직접 찾아가 등록증을 받아와야 한다.
등록증에 적힌 번호와 소유자 인적사항 등이 맞는 지 확인해야만 동물등록 절차가 끝난다.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보호관리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예약도 가능하지만 회원등록이라는 귀찮은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필요성을 못 느끼는 반려견주들은 식별장치의 실효성이 회의적이라는 입장이다. 반려견 식별장치는 ▲체내 삽입형 무선식별장치 ▲외장형 무선식별장치(목걸이형) ▲등록인식표(목걸이형) 등 세 가지다.
목에 거는 외장형 장치나 등록인식표는 반려견이 꺼릴 수 있고 도난당할 경우 끊어버리면 그만이어서 논란이 많다. 삽입형은 최근 선호도가 높아졌지만 안전성을 놓고 여전히 말이 많다.
홍보가 덜 돼 등록제도를 모르는 견주도 적잖다. 동물등록제 홍보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대한수의사회가 주도가 돼 포스터 등을 제작해 왔다. 하지만 사실상 서울시내 동물병원에서만 포스터를 볼 수 있는 등 한계가 있다.
반려견을 키우는 양천구 목동의 30대 직장인은 “반려견주조차 동물병원이 아니면 등록제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없는 실정”이라며 “동물병원 밖 어디서도 등록제 포스터를 본 적이 없다. 지자체나 서울시 자치구청 홈페이지에 안내가 있지만 누가 일일이 찾아들어가 보겠나”라고 지적했다.
starzoob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