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생활경제

속보

더보기

추석 차례상도 PB 제품으로…"더 저렴할까"

기사입력 : 2017년10월03일 11:16

최종수정 : 2017년10월03일 11:16

이마트 PB '피코크' 추석 간편식 코너 마련
"가격, 타 제조사 제품과 비슷하거나 비싸" 구매 증가 추세

[뉴스핌=장봄이 기자] "PB(자체브랜드)상품? 그게 뭐야?"

추석 차례상 준비를 위해 이마트 여의도점을 찾은 박모씨(52)는 이마트 PB상품인 '피코크 해물동그랑땡'을 장바구니에 넣었다. 그에게 PB상품을 자주 이용하냐고 묻자, "뭔지 모르는데 전에 먹어보니 맛이 괜찮았다"고 답했다.

이마트에서 판매하고 있는 추석음식 PB제품 <사진=뉴스핌>

대형마트 PB제품이 나날이 늘어가고 있다. 특히 추석 명절을 앞두고 대형마트는 제수음식을 위한 PB제품을 내놓았다. 하지만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PB제품이라는 인식보다는 가격이나 맛에 따라 상품을 구매했다.

대형마트업계 1위인 이마트는 추석 명절을 맞아 PB제품으로 채운 코너를 별도로 마련해 놓았다. 차례상에 필요한 전 종류와 식혜, 떡갈비부터 송편까지 한 눈에 들어오게 진열돼 있었다.

실제로 PB제품으로 차례상을 차리면 더 저렴할지 가격을 비교해보았다. 우선 피코크 '고기 동그랑땡'과 '해물 동그랑땡'(385g*2)은 6980원, '두부 동그랑땡'(490g)은 5980원이었다. 피코크 제품 '오색 꼬치전'(380g)과 '동태전'(300g)은 6980원, '모듬전'(470g)은 8880원에 판매하고 있었다.

다른 제조사 냉동식품을 살펴보았다. CJ비비고 도톰동그랑땡(795g)은 7380원, 동원 해물표고버섯완자(425g*2)는 7480원이었다. 제품마다 용량은 달랐지만 100g 가격을 기준으로 봤을 때 피코크 제품은 900원대, 다른 상품들은 800~900원대로 비슷하거나 오히려 조금 더 비싼 편이었다.

떡갈비 냉동식품의 경우 이마트 PB제품인 노브랜드 '궁중떡갈비'(640g)가 5980원, '한입떡갈비'(700g)는 6180원에 판매됐다. 롯데 ‘전통떡갈비’(324g*2)는 8450원이었고, 가장 비싼 ‘새아침 임꺽정 떡갈비’(1.2kg)는 1만4580원이었다.

피코크 수정과와 단호박 식혜, 찹쌀식혜(460ml)는 2180원이었다. 유기농 코너에 진열된 유기농 백미식혜(1.5L)는 5480원, 유기농 하늘청식혜(1.5L)는 5550원으로, 100ml기준으로 유기농 식혜·수정과는 300원대였지만, 피코크 제품은 400원대로 더 비쌌다.

이마트 PB제품 판매코너 <사진=뉴스핌>

이마트 PB제수용품 코너에는 흰송편, 검은콩·쑥녹두·호박송편(600g)이 5980원, 모싯잎 송편(600g)은 6680원에 냉동식품으로 판매하고 있었다.

PB제품 가격은 다른 제조사 제품에 비해 저렴한 편은 아니었다. 다만 추석상 코너를 마련해 소비자들이 쉽게 제수음식을 살 수 있도록 했다. 또 간편식으로 내놓아 젊은 층도 많이 찾는 모습이었다.

마트 주변에 거주하는 한 주부(33)는 “요즘 차례음식을 많이 준비하지 않고, 맛도 좋은 편이기 때문에 간편식으로 대부분 준비하는 추세”라면서 “가격이 ‘착하다’고 느낀 적은 없지만 맛이나 재료가 괜찮은 거 같아 구매했다”고 했다.

한편 롯데마트 역시 자체 가정간편식 브랜드(PB)인 '요리하다'를 선보였다. 요리하다 '고기 깻잎전'(300g) 6980원, 요리하다 '동그랑땡'(400g*2)은 6980원, '한입 쏙 떡갈비'(400g) 4980원 등 9가지 상품이 있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최근 1~2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즉석밥과 즉석요리가 보편화되고 있다"면서 "최장기 추석 연휴로 명절기간 간편하게 차례 음식을 준비하는 수요가 늘어나 이를 겨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추석 상품을 구매하고 있다. <사진=뉴스핌>

[뉴스핌 Newspim] 장봄이 기자 (bom22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