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중국 핫!이슈] '윤식당' 이어 '효리네 민박' 표절 기승, 엑소 세훈 중국잡지 창간호 커버 장식

기사입력 : 2017년08월18일 17:26

최종수정 : 2017년08월18일 17:26

[뉴스핌=황세원 기자]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8월 14일~8월 18일)동안 14억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 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 도넘은 표절, 중국 누리꾼도 고개 '절레'

중국의 표절 행위가 도를 넘으면서 중국 네티즌 사이에서도 논란이 뜨겁다.

최근 중국 후난위성TV가 10월 방영을 예고한 예능 프로그램 ‘친아이더커잔(親愛的客棧)’이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 친아이더커잔은 두 커플이 민박집을 운영하면서 겪는 에피소드를 그린 관찰형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으로 현재 방영중인 JTBC ‘효리네 민박’과 포맷이 거의 흡사해 중국 누리꾼 사이에서도 표절이 아니냐는 비난이 제기된다.

표절 논란은 예능 프로그램에 그치지 않았다. 최근 중화권 유명 가수 판웨이보(潘瑋柏)가 발표한 신곡 ‘스몐(失眠)’은 국내 아이돌그룹 하이라이트의 멤버인 용준형의 자작곡을 표절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논란은 스몐의 작곡가가 표절을 인정하면서 일단락 됐지만 중화권 지역의 한국 대중문화 표절이 도를 넘어섰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화권 지역의 한국 콘텐츠 표절은 과거에도 존재했지만 한한령(限韓令) 이후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지난해 6월 한반도 사드 배치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중국 내 한류를 제한하는 한한령이 시행됐고 이후 국내 배우의 중국 방송 출연 금지는 물론이고 프로그램 수출 등 판로가 막혔다.

이 시점을 기점으로 중국 방송사의 한국 프로그램 포맷 베끼기 사례도 급증했다. 최근 1년간 표절 의혹을 받은 중국 예능 프로그램으로는 ‘샹왕더성훠(向往的生活)’, ‘중찬팅(中餐廳)’ 등이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각각 tvN 예능 프로그램인 ‘삼시세끼’와 ‘윤식당’을 베꼈다는 의혹을 받았다.

한편 중화권에서 한국 예능프로그램 및 케이팝 표절 논란이 붉어지면서 자성을 촉구하는 중국 네티즌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중국 누리꾼은 웨이보(微博)를 통해 “한국 예능프로그램 표절 의혹 한두번도 아니고 창피하다”, “표절은 명백한 아이디어 도용”, “자국 대중문화 산업 발전을 위해서라도 표절은 근절되야 한다” 등 다양한 의견을 밝혔다.

표절 논란이 있었던 후난위성tv 예능프로그램 '샹왕더성훠'

◆ 완다그룹 잇따른 부동산 사업 매각, 중국 부동산 신화 '끝'?

중국 대표 부동산업체 완다(萬達)그룹의 잇따른 부동산 자산 매각 소식에 완다그룹이 사실상 부동산 시장에서 발을 뺀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현지 업계 일각에서는 완다그룹의 부동산 사업 정리는 중국 부동산 불패 신화가 막을 내렸음을 의미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중국 유력 매체 메이르징지(每日經濟)에 따르면 지난 7월 완다그룹 자회사 완다상예(萬達商業)는 룽촹중궈(融創中國) 등에 그룹 산하 호텔 76개 및 13개 문화관광 사업 프로젝트 지분 91%를 637억5000만위안(약 11조원)에 매각했다.

지난 9일에는 완다그룹 산하 완다주뎬파잔(萬達酒店發展, 00169.HK)이 중대 자산 재편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완다주뎬관리(萬達酒店管理)와 완다원뤼지퇀(萬達文旅集團)가 완다그룹 산하 홍콩 상장사에 편입된다.

완다주뎬관리와 완다원뤼지퇀 주력 사업은 각각 호텔 설계·운영관리와 테마공원 설계·운영으로, 완다그룹이 기존 주력 사업인 부동산 사업에서 완전히 발을 빼고 고정자산 투자가 적은 ‘자산 경량화’ 전략 추진을 본격화한게 아니냐는 주장이 나온다.

현지 일각에서는 완다그룹의 최근 행보가 단순히 기업 경영 전략 수정의 의미를 넘어서 중국 부동산 시장의 불패 신화가 끝났음을 보여준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최근 중국 유력 증권사 궈타이쥔안(國泰君安)증권의 린차이이(林采宜) 연구원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중국 부동산 업계 상징적 존재인 완다그룹의 완젠린(王健林) 회장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은 중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확신이 사라졌기 때문”이라며 “중국 부동산 시장은 이미 히말라야 최정상에 올라섰다. 더 이상 올라설 곳이 없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 엑소 세훈, 한국 대표로 중국 매거진 창간호 커버 장식

중국 매거진 창간호 커버 모델로 발탁된 엑소 세훈

최근 글로벌 매거진 엘르가 중국 젊은 층을 대상으로 패션 매거진 ‘슈퍼 엘르(SUPER ELLE)’를 창간한 가운데 국내 최정상 아이돌 그룹 엑소 멤버 세훈이 창간호 표지를 장식해 화제다.

이번 창간호 커버 모델 발탁은 의미가 남다르다. 세계적인 모델 벨라 하디드(Bella Hadid)를 비롯해 중국 톱배우 류하오란(劉昊然), 디리러바(迪麗熱巴) 등이 미국, 중국을 대표하는 아티스트로 선정된 가운데, 엑소 세훈은 한국 대표 커버 모델로 촬영해 임해 시크하고 매력적인 면모를 과시했다는 후문이다.

한편 7일 슈퍼 엘르가 공식 웨이보를 통해 공개한 16초 가량의 예고편은 공개 즉시 중국 현지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중국 네티즌들은 “타고난 분위기 남신이다”, “한정판으로 판매한다고 하는데 기대된다” 등 다양한 의견을 보였다.

 

[뉴스핌 Newspim] 황세원 기자 (mshwangsw@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수원 체코 원전 본계약은 언제쯤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체코원전 수주 최종 계약과 관련 "4월 말이나 5월 초에는 마무리하고자 한다"고 제시했다. 안 장관은 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현안 질의에서 이 같이 언급했다. ◆ 안덕근 "체코원전 계약, 체코 내부적 최종 검토중" 당초 정부는 올해 3월 말 최종 계약을 목표로 추진해 왔으나, 아직 계약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여야 의원들의 지적이 제기됐다. 박성민 국민의힘 의원은 "체코 원전 수주 최종 계약을 3월 말에 체결하려다 4월로 미뤄졌다. 언제쯤 가능하겠냐"고 지적했다. 김정호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체코원전 계약 시한이 3월 말이었는데 지연 사유가 무엇이냐"고 따져물었다. 이에 대해 안 장관은 "지금 문서작업은 완료된 것으로 안다"면서 "체코 내부적으로 계약 내용을 최종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현지 사정이 마무리되는 대로 4월이나 5월 초에는 마무리하고자 한다"고 제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미 상호관세 조치 등 통상 현안질문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4.09 pangbin@newspim.com ◆ 미국이 원전수출 통제? "문제없이 진행중" 미국과의 원전기술 협력 문제가 원활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김정호 의원은 "체코원전 관련 미국이 수출을 승인했느냐"면서 "앞으로 유럽국가에 추가로 수출할 때 독자로 수출할 수 있는 것이냐, 매번 미국이 승인해 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안 장관은 "(체코원전 수출 승인) 관련 절차 진행 중이고 아무 문제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김 의원은 "그런데 왜 스웨덴이나 슬로베니아, 네덜란드 등 국가의 원전 사업에서 한수원이 완전히 철수했느냐"고 따져물었다. 이에 대해 안 장관은 "그것은 경제성을 보고 판단한다"면서 "자동차처럼 미리 만들어 놓고 막 수출하는 게 아니지 않느냐"고 반박했다. 체코 두코바니 원전 모습 [사진=한국수력원자력] 박성민 의원은 "앞으로 무탄소 시대에 어마어마한 원전시장 열린다. 국부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웨스팅하우스와 기술 이전료 등 문제가 추가로 생길 수도 있다"면서 "아예 대한민국 기술로 매입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안 장관은 "백번 맞는 말이다. 여러 가지로 검토하고 있다"면서 "미국 신임 에너지부 장관 만났을 때 원전 협력과 관련 강한 공감대와 의지 표명했다"고 전했다. ◆ 한미 원전협력 '삐걱'…'독자 핵무장론' 빌미 지적 한미 양국간 원전협력이 '삐걱'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는 윤석열 정부가 무리하게 '독자적인 핵무장론'을 제기하면서 빌미를 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정호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독자적인 핵무장을 공공연하게 발언했고, 국민의힘에서도 그렇게 주장한 의원님들 계셨고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기술 유출 우려가 제기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체코 원전 독자 수출을 고집해서 이것이 미국의 핵기술 원천기술이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자신들의 통제 밖에서 독자 개발 우려가 나왔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안 장관은 "웨스팅하우스와의 계약문제는 일방적인 내용을 설명하고 계시는데, 한수원에서 이번에 양쪽 다 소송을 중단하기로 하고 호혜적으로 크게 도움을 받는 면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감국가 지정은) 미국 에너지부의 공식적인 설명이 기술보안 문제로 설명하고 있고, 지금 실무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답했다. dream@newspim.com 2025-04-09 17:54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