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국회, 국민명령 받들지 못하면 대의기구 존재가치 없어"
[뉴스핌=이윤애 기자]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야당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부결 시 국회의원직 총사퇴 방안 공론화에 나섰다. 지난 주말 역대 최대 인원인 232만명(주최측 추산‧경찰 추산 43만명)이 모인 '촛불민심'의 힘을 느낀 정치권이 만약 탄핵안이 부결될 경우 그 분노가 국회로 향할 것이라는 엄중한 상황을 인식한 뜻으로 해석된다.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5일 오전 당대표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탄핵안 부결시 어떤 식으로 책임을 질 것이냐'는 질의에 "부결될 경우 당내에서는 '국회 스스로 해산하자'는 각오로 임하자는 의원들의 의견도 이미 있다"며 "그런 것들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 |
박근혜 대통령의 즉각 퇴진을 요구하는 6차 촛불집회가 열린 지난 3일 광화문광장에서 출발한 시위대가 촛불을 들고 청와대 방면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김학선 사진기자> |
문재인 전 대표도 이날 페이스북에 "국민은 이미 오래 전부터 박근혜 대통령을 탄핵했다"며 "국회가 그 명령을 받들지 못한다면 국민의 대의기구로서 존재가치가 없다"고 국회 해산 필요성을 시사했다. 문 전 대표는 지난 3일에도 "의원직 사퇴 각오로 탄핵안을 가결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또한 조응천 민주당 의원은 페이스북에 "부결되면 의원직을 사퇴할 각오"라고 올렸다.
국민의당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국민의당은 탄핵 표결 때까지 집중적으로 국회 내에서 탄핵촉구 집회를 열기로 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우리는 루비콘 강을 건넜고 탄핵의 외길만 남았다"며 "탄핵이 안 되면 분노한 촛불민심이 국회를 덮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결되면 새누리당도 야당도 촛불에 데는 것을 넘어 타버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이윤애 기자(yun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