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세방식 해외직구 전자상거래 업체 직격탄
[뉴스핌=이승환 기자] 중국 당국이 지난 4월초 실시한 수입 관세 조정의 여파로 중국 해외직구 시장이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일부 인기 직구 상품의 수입 비용이 상승하면서 업종을 바꾸거나 아예 전자상거래를 포기하는 업체들이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매일경제신문(每日經濟新聞)에 따르면, 지난달 항저우(杭州) 국제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시범지구 내 수입 물품 물량이 약 138만건으로 전달 대비 60% 가까이 급감하며 비상이 걸렸다. 이 곳 입주 업체 대부분이 해외직구를 전문으로 하는 전자상거래상으로, 수입 물량이 줄었다는 것은 그만큼 영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얘기다.
항저우 국제 전자상거래 비즈니스 시범지구는 지난해 3월 중국 국무원의 소비 시장 육성 정책의 일환으로 출범한 중국 최초 해외직구 전문 상업단지다. 지난 3월 기준 입주 기업은 2381곳이다. 최근 1년 이곳의 월평균 거래액이 3억5000만위안에 육박했으나, 이달 들어 거래량이 57% 급감했다.
중국 제일재경(第一財經)에 따르면 이외에도 해외 전자상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닝보(寧波), 선전(深圳), 정저우(鄭州) 등 지역 내 B2C 해외 직구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총 주문량이 지난 한달 62%, 61%,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바이두(百度)> |
중국의 해외 직구 시장이 급속도로 위축되고 있는 것은 이달 초 처음 적용된 해외직구 관세 조정 여파로 업체들의 직수입 비용이 크게 상승한 탓이다.
중국 재정부는 지난달 초부터 보세(保稅)구역을 거쳐 해외직구 형태로 수입된 상품에 적용돼 온 우편세(行郵稅 ,행우세)를 전면 폐지하고, 소비세, 증치세(부가가치세)로 구성된 종합세를 징수하기로 했다. 이로써 그동안 세금 50위안 이하 상품에 적용하던 행우세 면제 혜택도 사라졌다. 소비 촉진을 위해 관세 면제 및 소비세 감면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으나, 이마저도 1회 구매액 2000위안, 연간 구매액 2만 위안 한도로 제한됐다.
이로 인해 일부 상품들의 해외 직구 비용이 증가하면서 그 부담이 그대로 전자상거래들이 떠안게 된 것이다.
일례로 2000위안 이상의 중고가 가전제품을 수입해온 업체들의 경우, 더 이상 감세 혜택을 받지 못하면서 수입단가가 상대적으로 작은 식품, 의류, 잡화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신문은 해외 직구 전자상거래 업체 어우저우샹핀(歐洲上品)의 관계자를 인용 “해외직구 관세가 조정된 후로 매월 50~60만위안 수준이었던 매출이 10만위안 대까지 줄었다”며 “해외 직구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간신히 손익분기점을 넘기고 있었지만 이제는 손실액만 불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항저우에서 육아용품, 유기농 식품 등을 해외 직구 형태로 판매하고 있는 양동스(樣東西)의 관계자도 “해외 직구 비용 증가로 판매가격을 높여야 하는 상황”이라며 “그러나 해외직구 개념이 이제 막 소비자들에게 익숙해져 가고 있고, 회사의 매출도 탄력을 받고 있는 시점에서 가격을 올리는 게 쉽지 않은 일”이라고 설명했다.
해외직구에 수반되는 관세부담이 커지면서 자구책을 찾기 위한 업체들의 움직임도 분주해지고 있다.
이 중 가장 확실한 방법이 보세지역을 통한 직구 비중을 줄이고, 해외에 창고를 만들어 우편으로 상품을 가져오는 방식이다. 중국 당국이 EMS 등 우편을 통한 해외 직구에 대해서는 여전히 행우세를 적용하며 최대 50위안의 세액을 면제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외직구상의 대부분이 중소형 업체인 점을 감안할 때 판매시스템 전환에 따른 비용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신문에 따르면 다수의 중국 해외직구 업체들은 재고관리의 편의를 위해 중국 세관이 관리하는 보세구역으로 물품을 들여와 보관, 판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중국 매일경제신문은 업계 관계자를 인용 “이번 관세조정을 통해 활로를 찾지 못한 중소 직구업체들이 도태될 전망”이라며 “반면 사업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대형업체들은 이번 기회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여나갈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이승환 기자 (lsh8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