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IMF "중국 새 중심환율 제도 환영…3년 내 변동환율제 갖춰야"

기사입력 : 2015년08월12일 14:21

최종수정 : 2015년08월12일 14:39

"위안화가 시장에 따라 결정되면 SDR 편입시 운영이 쉬울 것"

[뉴스핌=김성수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중국의 위안화 환율 고시 방식 변화를 환영하면서 2~3년 내 변동환율제 시스템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12일 인민은행은 달러/위안 환율을 6.3306위안으로 고시했다. 전일 위안화 가치를 1.86% 하향한 데 이어 추가로 1.62% 낮춘 것이다. 이로써 위안화는 이틀째 사상 최대폭으로 절하됐다.

최근 5일간 달러/위안 환율 추이 <출처=마켓워치>
이날 IMF는 대변인 성명서를 발표하고 "이번 조치가 외환시장을 재정비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며 "중국이 2~3년 내 효율적인 변동환율 시스템을 갖출 수 있으며 그래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어 "환율 시스템 변화는 위안화의 IMF 특별인출권(SDR) 편입 여부를 결정하는데 직접적 요구사항은 아니다"라면서도 "위안화가 좀 더 시장 원칙에 따라 결정된다면 SDR 편입됐을 때 운영이 더 쉬워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IMF는 "새로운 체계가 어떻게 작동할 것인지에 따라 실제 영향도 달라질 것"이라며 "중국이 자율 변동환율제를 도입하기까지 갈 길이 멀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번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는 IMF가 중국에 환율 시스템 자유화 노력을 기울일 것을 권고한 가운데 나타난 조치다.

IMF는 지난 4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인민은행 고시환율이 실제 외환시장의 위안화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면서 중국이 시장 자유화를 더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이 시장 접근성을 가로막는 제한들을 없애지 않으면 위안화의 SDR 편입 결정도 연기될 수 있다고 밝혔다.

다음은 IMF가 발표한 대변인 성명서 전문.


IMF Statement on PBC's Announcement on the change to the RMB fixing mechanism
August 11, 2015

In response to media queries about the People’s Bank of China’s announcement on the
Change to the Renminbi exchange rate fixing mechanism, the following can be attributed to
an IMF spokesperson:

“The new mechanism for determining the central parity of the Renminbi announced by the
PBC appears a welcome step as it should allow market forces to have a greater role in
determining the exchange rate. The exact impact will depend on how the new mechanism is
implemented in practice. Greater exchange rate flexibility is important for China as it strives
to give market-forces a decisive role in the economy and is rapidly integrating into global
financial markets. We believe that China can, and should, aim to achieve an effectively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within two to three years. Regarding the ongoing review of the
IMF’s SDR basket, the announced change has no direct implications for the criteria used in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basket. Nevertheless, a more market-determined
exchange rate would facilitate SDR operations in case the Renminbi were included in the
currency basket going forward.”
<끝>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국무위원들과 마지막 소명 다할 것"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 상호관세 관련 "미국측이 제기하는 각종 비관세 장벽 및 협력 프로젝트 등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구체화시켜 달라"고 14일 각 부처에 주문했다. 한 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미국이 한국을 포함해 주요 무역상대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품목별 관세부과, 미·중 긴장 격화 등 위기 상황은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언급했다. 한 대행은 "저 또한 그간의 통상 경험을 바탕으로, 관련 네트워크 등을 십분 활용해 국무위원들과 함께 저에게 부여된 마지막 소명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0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총리실] 2025.04.10 photo@newspim.com 한 대행은 "오늘부터 3일간 국회 대정부 질문이 시작된다"며 "그간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제기된 각종 불신과 오해를 불식시킬 수 있도록, 관련 대응 상황을 있는 그대로 투명하게 답하고 설명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각 부처 장관들을 향해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에 "'티메프 사태'에서 드러난 대금정산 지연 등 입점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 대한민국 미래먹거리를 위한 '반도체특별법' '원전산업지원특별법' 제정안 등이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국회의 대승적 협조를 거듭 요청드린다"고 했다. 한 대행은 또 "재난·재해 대응과 통상·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을 위한 필수 추경안도 조만간 국회에 제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 대행은 최근 발생한 경기 광명 전철 공사장 붕괴 사고와 서울 동대문역 지하상가 화재를 언급하면서 "정부는 국민 안전에 무한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부터 두 달간 전국적으로 공사장, 건축물 등 안전 취약시설 2만2000여 곳에 대한 '집중안전점검'을 실시한다"며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이번 점검에 임하는 중앙부처와 지자체의 모든 공직자들은 비상한 각오와 책임감을 가지고 안전 점검을 철저히 수행해 주시기를 강조드린다"고 덧붙였다. p@newspim.com 2025-04-14 11:20
사진
이재명, 출마 첫 일정 AI기업 챙기기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인공지능(AI) 반도체 팹리스 기업인 퓨리오사 AI를 방문해 "공공분야에서 어떤 게 필요한지 말씀을 많이 해달라"고 말했다. 제21대 대선 출마를 선언한 후 첫 행보로 AI 산업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 전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에 위치한 퓨리오사 AI를 방문해 백준호 대표와 구본철·이주윤 연구원 등을 만났다.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14일 서울 강남구 퓨리오사AI에서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의 설명을 듣고 있다. 2025.04.14 photo@newspim.com 이 전 대표는 "저로선 최대 관심은 어떻게 하면 많은 사람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더 나은 삶을 살게 할까"라며 "그중에 제일 중요한 건 역시 먹고사는 문제, 일자리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자리 문제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이 있는데, 세상이 거의 문자 발명에 준하는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는 것"이라며 "그것이 소위 인공지능 문제다. 그 분야에서 (퓨리오사 AI가) 첨단 분야를 개발하고 계신 것 같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백 대표 등을 향해 "국민들한테도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주시는 거 같다"며 "국가 공동체가 어떤 역할 통해서 인공지능 사회에 대비해 나갈지 살펴봐야 할 거 같고, 그 현장을 같이 살펴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이후 백 대표와 함께 퓨리오사 AI의 기술 시연을 보고 반도체 양산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업계의 애로사항도 청취했다.  이 전 대표 캠프의 강유정 대변인은 이후 취재진과 만나 "이 전 대표가 어떤 방식의 정부 구성이나 도움, 지원이 필요한가 질문했고, 거기에 대해서 백 대표 등이 답했다"며 "추가하자면 인적 자원이 해외 유출되지 않도록 다양한 혜택과 어떤 여러가지 지원들도 고려해봐야하는 거 아니냐는 이야기도 있었다"고 소개했다. 이 전 대표의 이날 퓨리오사 AI를 방문하기 이전 자신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AI 관련 정책과 공약도 내놨다. AI 산업에 100조원을 투자하고, 유명무실했던 대통령 직속 기구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내실있게 강화하겠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pcjay@newspim.com 2025-04-14 12: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