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이강규 특파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고조된 가운데 중국을 비롯한 인접국들과 미국은 이 지역의 안정을 촉구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김 위원장이 서거에 애도의 뜻을 전하고 북한의 새로운 지도자들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으며 서방국들은 지도부 변화가 수십년간에 걸친 북한의 극단적인 고립상태를 완화하고 고통받는 북한주민들의 삶을 개선하기를 희망했다.
이에 앞서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매체들은 19일(한국시간) 정오에 김 위원장이 17일 오전 8시30분 급병으로 열차 안에서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중앙통신은 "17일 달리는 야전열차 안에서 중증 급성 심근경색이 발생되고 심한 심장성 쇼크가 합병됐다"고 사망원인을 밝혔다.
이로써 북한은 1953년 한국전 휴전 협정이후 두번째 지도부 변화를 맞게 됐다.
북한 관영매체는 김정일의 막내아들 김정은을 "위대한 계승자"로 언급했으나 CNN 방송은 김정은이 실질적인 의사결정권을 갖고 있는 지는 불확실하다고 전했다.
많은 북한문제 전문가들은 김정일 사후 권력이동이 한반도의 불안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19일 동해에서 두 발의 단거리 미사일을 시험발사했다. 그러나 한국 국방부는 단거리 미사일 발사시험은 김정일 사망 이전에 계획된 것이며 북한내 상황변화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북한의 최대 동맹국인 중국은 김정일의 갑작스런 타계에 공식적인 애도의 뜻을 표시하고 그의 후계자인 김정은에 대한 지지를 표시, 힘을 실어주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의 정상들과의 긴급 전화접촉을 통해 김정일 사망에 따른 한반도 상황을 협의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19일 짤막한 성명서를 통해 오바마 대통령이 워싱턴 시각으로 18일 자정, 이명박 한국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한반도 안정과 한국의 안보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카니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한반도 안정 공약을 유지할 것이며 동맹국들의 자유와 안보를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김정일 사망 소식을 접한 뒤 즉각 국가안전보장회의 (NSC)를 주재했으며, 국방부는 북한군의 이상동향은 없다고 보고했다.
유럽국가들은 북한의 변화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다.
윌리엄 헤이그 영국 외무장관은 "(김정일 사망이) 북한에게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전제하고 "우리는 국제사회와의 교류가 북한 주민들의 삶을 개선시킬 최상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는 사실을 북한의 새로운 지도부가 인정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귀도 베스트벨레 독일 외무장관도 북한이 지도 체제 변화를 개혁의 기회롤 활용할 것을 촉구했다.
일본은 비상 안보회의를 여는 등 부산한 움직임을 보였으나 자위대에 특별 경계령을 발령하지는 않았다.
일본 정부 대변인은 "요시히코 노다 총리가 재정문제와 북한 국내 현안들 및 국경지대의 움직임 등 예상치 못한 돌발 상황에 대비한 사전준비를 내각에 지시했다"고 전했다.
노다 총리는 이어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정일의 사망이 한반도 평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피납 일본인 송환 요구에는 변화가 없다"고 덧붙였다.
많은 전문가들은 중국의 지원이 없다면 북한의 세습 왕조는 붕괴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정부는 김정일에 대한 애도를 표시하기 전에 4시간 동안 공식적인 반응을 자제하며 침묵을 지켰다.
중국은 관영매체를 통해 발표한 성명을 통해 "북한 주민들이 당을 중심으로 뭉쳐 김정일 동지의 유지를 이어갈 것으로 확신하며 "김정은 동지의 영도하에 슬픔을 힘으로 전환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디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북한에 조전을 보냈으며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은 "김 위원장이 사망이 양국의 우호적인관계 발전에 영향을 주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유럽연합(EU) 외교정책 최고책임자인 캐더린 애쉬턴은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고 북한과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호주의 케빈 러드 외무장관은 "이런 시점에서 잘못된 신호가 나와서는 안된다"며 남북한의 차분한 대응을 주문했다.
이외에 타이완은 외무부에 비상위원회를 구성하고 한반도 상황발전을 주시하고 있다.
한편 일부 해외 언론들은 올해 중동과 북아프리카를 휩쓴 `아랍의 봄' 바람이 김 위원장의 사망을 계기로 북한에도 상륙할 것인지에 주목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대체로 현재로선 `평양의 봄'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필립 크롤리 전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북한이 정상 국가라면 김정일의 사망이 `평양의 봄'으로 가는 문을 열 수 있겠지만 북한은 정상국가가 아니다"는 견해를 밝혔다.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NewsPim] 이강규 기자 (kang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