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를 넘어 'AI에이전트'로 공공시장 AI 혁신 이끄는 방안 제시
실제 공공 AI 에이전트 사업 사례 시연으로 현장 도입 문의 잇따라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AI 에이전트 전문기업 와이즈넛은 지난 14일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26회 공공솔루션마켓에 참가해 공공 분야 특화 AI 에이전트 도입 전략을 소개했다고 18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는 와이즈넛을 비롯해 더존비즈온, 한컴이노스트림, SAP코리아 등 인공지능·클라우드 분야 주요 기업들이 대거 참가했다. 와이즈넛은 지난 3월에 이어 연속 참가하며 전시 부스와 세션 발표를 통해 공공 AI 전환의 현실적 방향성과 적용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전시부스에서는 '공공 행정 AX 전환, AI 에이전트 대표기업 와이즈넛과 함께!'를 주제로 공공 업무에 특화된 AI 에이전트의 실제 구현 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존을 마련했다.
![]() |
| 와이즈넛 제26회 공공솔루션마켓 참가. [사진=와이즈넛] |
또한 도메인 특화 LLM(대규모언어모델) 'WISE LLOA(와이즈 로아)', AI 에이전트 전주기 통합 개발·운영 도구 'WISE Agent Labs(와이즈 에이전트 랩스)', SaaS형 대화 에이전트 서비스 'WISE Answerny(현명한 앤써니)' 등 AI 에이전트 구현에 필요한 제품 라인업을 종합적으로 선보였다.
인공지능 세션에서는 와이즈넛 AI Agent사업부문 김분도 전무가 'AI 에이전트의 이해와 공공기관 사례'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김 전무는 국내외 AI 에이전트 시장 전망과 기술 발전 흐름을 짚고, 공공기관 환경에 최적화된 AI 에이전트 도입 및 운영 전략과 실무적 접근을 통한 구체적 구현 방법론을 제시했다.
아울러 와이즈넛은 한국도로교통공단, 인사혁신처, 경기도청,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총 8개 기관 및 기업에서 수행한 공공 AI 에이전트 구축 사례를 상세히 소개하며 행정 업무 효율성을 이끄는 구체적 성과를 공유해 공공기관 관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강용성 대표는 "AI 에이전트는 공공 AI 전환을 실현하는 핵심 동력으로, 공공 시장에서 AI 에이전트 도입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며 "와이즈넛은 앞으로도 공공 분야 AI 에이전트 확산에 더욱 박차를 가해 신뢰할 수 있는 공공 AI 혁신 파트너로서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와이즈넛은 지난 10월 자체 RAG(검색증강생성) 솔루션 'WISE iRAG V2'의 GS인증 1등급 획득과 함께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최초 등록하며 공공 시장에서의 기술력과 품질 신뢰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nylee5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