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4620곳 화재 위험 교육시설
예산 차이 4900억, 목표와 현실
경기도교육청·서울시교육청 가장 많아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전국 2만여 교육시설 중 4620곳의 학교와 유치원 등이 수많은 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충북 제천시 스포츠센터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드라이비트(Drivit)'로 지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인 수치가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내년까지 교육시설의 드라이비트 전면 제거를 추진해왔지만, 전면 제거가 불가능할 전망이다. 교육부가 내년 전면 제거를 목표로 정책을 세웠지만 실질 이행률이 저조하기 때문이다. 드라이비트는 건물 외벽에 스티로폼을 붙이고 시멘트를 덧바르는 외벽 마감재다.
|  | 
|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2025.10.31 aaa22@newspim.com | 
드라이비트는 의정부 아파트 화재 참사(2015년)와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2017년) 발생 주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 6층 이상 건물에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법적으로 금지했다. 드라이비트는 화재가 발생 시 불이 빠르게 옮겨 붙어 대형 화재로 이어질 확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유독가스도 배출해 인체에도 치명적이다.
31일 뉴스핌이 입수한 교육부의 '학교시설 환경 개선 5개년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전국 교육 시설 1668곳에 드라이비트를 2026년까지 전면 제거할 목표로 예산 3003억원을 배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실제 드라이비트 제거가 필요한 교육 시설 수와 예산은 이와 달랐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백승아 의원실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6년까지 교육 시설 4620곳에 드라이비트 제거가 필요하고 예산은 7903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제로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이 제거한 드라이비트 제거 교육 시설 수는 당초 계획과 목표에 한참 미치지 못했다. 교육부는 2024년 전국 교육시설 2174곳 드라이비트 제거를 목표로 했지만 실제로는 925곳에만 시행했다.
|  | 
| 서울대학교 학생회관에서 열린 재난 대응 안전한국훈련. [사진=뉴스DB] | 
교육부 관계자는 "물리적으로 내년에 (전면 제거) 목표 완수가 어렵다"며 "다른 공사와 연계해 다음에 하거나 누수나 냉난방 같은 다른 것들이 우선 순위가 되면서 공사가 어렵게 됐고 창문 공사도 해야 돼 예산이 예상보다 더 많이 필요해 교육청별로 계획에 수정이 있었다"고 밝혔다.
드라이비트 제거가 필요한 교육 시설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교육청과 서울시교육청이다. 경기도는 1024곳이고 서울은 584곳이다. 2025년 제거 계획 중인 곳과 2026년 이후 예정지로 꼽히는 곳 등이 포함됐다. 전국에서 학생과 학교가 가장 많이 몰려 있는 곳이다.
류상일 동의대 소방방재행정학과 교수는 "제천 참사 교훈이 행정 계획으로만 남지 않으려면 시급한 교체가 필요하다"라며 "비용이 낮은 불연성 재료도 많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드라이비트 소재 건물에 불이 나면 외벽을 타고 불길이 순식간에 쭉 올라가면서 빠르게 타는 등 배터리 화재처럼 취약성과 파급성이 높다"며 "날씨가 건조해 화재 위험이 높아지고 있고 아이들은 빠르게 대피하기도 어렵기에 굉장히 위험한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백 의원은 "최근 화재로 인한 피해가 많은 만큼 화재에 취약한 드라이비트 소재 교육시설 개선을 위한 적극 행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aa2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