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국가 성장엔진이자 안보자산"…한국형 AI 생태계 모델 제시
"울산 데이터센터·스타게이트 협력으로 글로벌 AI 네트워크 강화"
[경주=뉴스핌] 서영욱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 시대를 이끌 양대 축으로 '기술자립'과 '신뢰기반 협력'을 제시했다. 그는 AI를 국가 성장엔진이자 안보자산으로 규정하며 한국형 AI 생태계 모델을 제안했다.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울산 데이터센터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AI 산업의 새로운 표준을 그려가고 있다.
SK그룹은 28일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최고경영자 회의(APEC CEO 서밋)' 부대행사로 '퓨처테크포럼 AI'를 열고, 인공지능(AI) 시대의 국가 전략과 생태계 해법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미국·싱가포르·페루 등 APEC 주요국 정부·기업·학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AI 시대의 도전과 기회'를 주제로 진행됐다.
![]() |
| 맷 가먼 AWS 최고경영자,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이철우 경북지사(왼쪽부터)가 28일 k-테크 쇼케이스 현장을 직접 둘러보고 대한민국 경제발전상, 첨단 신기술 등을 관람하고 있다. [사진=경북도] |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AI 생태계 구축(Building an AI Ecosystem)'을 주제로 한 환영사에서 "AI를 빼고는 비즈니스 화제가 없다"며 "AI는 국가 성장엔진이자 안보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오픈AI의 '챗GPT'를 "AI 쇼크(충격)"로 표현하며 글로벌 강대국들이 AI 인프라를 전략적 경쟁 수단으로 삼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 회장은 "AI를 하는지, 하지 않는지에 따라 개인·기업·국가 간 격차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의 AI 발전 모델로 '기술자립'과 '신뢰기반 협력'을 꼽으며 "두 축을 조화롭게 가져가는 것이 과제"라고 강조했다. 기술자립 사례로 민관 협력 기반의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신뢰협력 사례로 AWS와의 울산 'SK AI 데이터센터', 오픈AI와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언급했다.
그는 "한국은 새로운 기술에 빠르게 적응하며 병목현상을 해소하는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AI가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진화해 글로벌 업계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은 기조연설에서 이재명 정부의 'AI 3대 강국 전략'을 소개하며 "고품질 특화데이터 확보와 고급 인재 양성으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기업·국민·글로벌 파트너의 협력이 토대가 돼야 한다"며 최 회장이 제시한 '기술자립·신뢰협력' 방향에 공감했다.
이날 포럼에는 매트 가먼 AWS CEO, 니틴 미탈 딜로이트 글로벌 AI 리더, 최수연 네이버 CEO, 김경훈 오픈AI코리아 총괄대표,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유영상 SK텔레콤 CEO 등이 참석했다. 가먼 CEO와 미탈 리더는 'AI와 지역 혁신의 미래'를 주제로 대담을 갖고, AI가 지역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 |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025 APEC 정상회의 CEO 서밋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AI'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SK] |
최수연 대표와 김경훈 대표, 밀너 부사장은 각 기업의 AI 혁신 사례를 공유했고, 유영상 사장은 하정우 수석, 김경훈 대표, 최예진 스탠퍼드대 교수 등과 함께 AI의 윤리와 성장 방향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국가별 특화된 AI 생태계 구축이 AI 일상화를 앞당기는 해법"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SK그룹은 같은 날 경주엑스포대공원 야외특별관에서 열린 'K테크 쇼케이스'에 참가해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선보였다. SK텔레콤, SK하이닉스, SKC, SK엔무브가 참여해 반도체·냉각·보안 등 그룹사의 인프라 역량을 결합했다. SK그룹은 AWS와 함께 오는 2027년 준공을 목표로 100MW급 하이퍼스케일 AI 데이터센터를 울산에 짓고 있으며, 이달 초 오픈AI와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구축에도 뜻을 모았다.
SK그룹 관계자는 "APEC 퓨처테크포럼 AI에서 논의된 자립과 협력의 AI 전략이 한국과 아시아·태평양을 넘어 글로벌 AI 미래전략에 기여하길 바란다"며 "내달 3일 열리는 'SK AI 서밋'에서 자립과 협력의 가치 창출형 AI 생태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syu@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