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韩国与马来西亚达成自贸协定 汽车与钢铁出口再迎利好

기사입력 : 2025년10월28일 08:12

최종수정 : 2025년10월28일 08:12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纽斯频通讯社首尔10月28日电 韩国与马来西亚正式达成自由贸易协定(FTA),这将成为扩大汽车、钢铁、石油化工等出口基础,强化资源与供应链合作的重要契机。

图为27日,韩国产业通商资源部通商本部长吕翰九(右)与马来西亚投资贸易产业部长东姑·扎夫鲁·阿齐兹(Tengku Zafrul Aziz)在马来西亚吉隆坡签署韩-马自由贸易协定。【图片=产业部提供】

韩国产业通商资源部27日宣布,在马来西亚吉隆坡正式完成韩-马FTA谈判。签署仪式由韩国产业通商资源部通商本部长吕翰九与马来西亚投资贸易产业部长东姑·扎夫鲁·阿齐兹(Tengku Zafrul Aziz)共同出席。

这是韩国签署的第27份FTA(以谈判达成为准)。韩国此前通过2007年生效的韩-东盟FTA和2022年生效的区域全面经济伙伴关系协定(RCEP)FTA已在机械、家电、化妆品、医药品、加工食品(方便面)等领域打开马来西亚市场。

但由于马方在汽车、钢铁等敏感领域的开放程度有限,韩国为进一步提升出口竞争力,自2019年起推进双边FTA谈判。谈判于2019年底一度中止,在2024年3月重新启动,经过6轮正式会谈及多次磋商后最终达成协议。

马来西亚是棕榈油(世界第2位)、锡(金属,第12位)、天然气(第12位)等资源储备丰富的国家,同时在半导体、化学等制造业领域在全球供应链中占据重要地位。目前,马来西亚是韩国在东盟国家中第3大贸易伙伴和第4大投资目的地。

通过韩-马FTA,双方可望在出口品类多样化、原料供应链稳定化等方面实现互利共赢。

根据协定,韩国将开放94.8%的整体品类,马来西亚将开放92.7%的品类。马来西亚将对682个品类、韩国将对288个品类在现有韩-东盟FTA与RCEP基础上进一步降低或取消关税。

马来西亚是东盟地区第二大汽车市场,但本土品牌占有率超过60%,韩国品牌销售量相对较低。本次FTA通过取消或下调多项汽车关税,将为韩国汽车企业打入马来西亚市场奠定基础。

钢铁方面,尽管马方对此领域敏感度较高,但韩国仍争取到显著让步。其中,9个品类(冷轧钢板、镀锌钢板)关税从5%降至零关税;12个品类(热轧钢板、镀锌钢板等)从15%降至10%。

考虑到敏感产业,韩国对农林水产品并未进一步开放。仅对从马来西亚进口量较低的榴莲、菠萝、香蕉等热带水果以及扇贝、加工鱼类等水产项目开放市场,以最大限度地降低对国内市场的影响。

产业通商资源部表示:"将尽快完成法律审查与协定文本的韩文翻译等正式签署程序。正式签署后,也将积极推动国会批准与协定生效的相关程序,确保进展顺利。"(完)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송미령 "美 쌀 수입 쿼터 조정 불가능"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8일 미국산 쌀 수입 쿼터 조정 가능성에 대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송미령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해 '미국이 요구하면 수입 쌀 쿼터를 우리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는지' 묻는 강명구 국민의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조현 외교부 장관은 외통위 국감에 출석해 쌀 수입과 관련해 국가별 쿼터를 늘릴 수 있다는 취지로 발언한 바 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14 yooksa@newspim.com 이에 강 의원은 "정부에서 지금까지 쌀과 소고기 농축산물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시장 개방이 전혀 없다고 계속 얘기해 오는데 이상하게 외교부 장관은 또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며 "대미 협상팀으로부터 쌀 쿼터가 조정될 수 있다는 논의를 들은 적 있냐"고 물었다. 송 장관은 "국가별 쿼터는 저희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다"며 "쌀과 소고기는 처음부터 레드라인(한계선)이라고 강력하게 이야기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협상 과정에서 농식품부가 패싱된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전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중국으로 수출이 막힌 미국산 대두를 한국이 추가 수입할 가능성이 있냐는 질의에는 "미·중 간 이야기에서 아마 추측을 한 것 아닌가"싶다며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외교부 장관과 관련된 얘기가 꽤 있는데 이번 관세 협상에서 쌀 추가 개방은 없다는 건 명확한 것이냐"고 질의했다. 이에 송 장관은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여러 얘기를 했을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의제로 채택되지 않았고, 공식적인 협의에서는 논의가 안 된 걸로 알고 있다"며 "쌀 추가 개방이 없다는 이재명 정부의 원칙이 유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plum@newspim.com 2025-10-28 12:05
사진
북한, 어제 서해상 순항미사일 도발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28일 해상에서 함대지 순항미사일을 시험 발사하는 도발을 감행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9일 미사일총국의 발표를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함상 발사용으로 개량된 순항미사일들은 수직 발사돼 서해 해상 상공의 설정된 궤도를 따라 7800초(2시간 10분) 간 비행해 표적을 소멸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28일 서해상에서 함대지 순항미사일 도발을 한 사실을 알리면서 29일 공개한 사진. [사진=조선중앙통신] 2025.10.29 yjlee@newspim.com 국무위원장 김정은은 참관하지 않았고 북한군 최고 간부 중 하나인 박전청 노동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겸 비서인 박정천과 김정식 당 제1부부장, 장창하 미사일 총국장 등이 현장을 지켜본 것으로 중앙통신은 전했다. 이번 도발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경주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을 방문하면서 김정은과 만나겠다는 의사를 강력하게 밝히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김정은은 지난 24일 6.25참전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묘'를 방문한 이후 나흘째 공개활동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관영 매체들도 트럼프의 제안에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와 군 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 상황을 평양 선전매체들의 보도가 나올때까지 공개하지 않았다. 미사일 도발을 참관한 박정천은 "전쟁억제 수단들의 적용 공간을 부단히 확대해나갈 데 대한 당 중앙의 전략적 기도대로 우리 핵 무력을 실용화하는 데서 중요한 성과들이 이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국가수반(김정은을 지칭)은 이미 강력한 공격력으로써 담보되는 억제력이 가장 완성된 전쟁 억제력이고 방위력이라고 정의했다"면서 "우리는 자기의 전투력을 끊임없이 갱신해나가야 하며 특히 핵 전투태세를 부단히 벼리는 것은 우리의 책임적인 사명이고 본분"이라고 말했다. 박정천은 5000톤급 신형 구축함인 최현호와 강건호의 운용훈련과 무기체계 강습실태를 살펴본 것으로 중앙통신은 덧붙였다. yjlee@newspim.com 2025-10-29 06:5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