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생성형 AI 관련 간담회 개최
글로벌 AI 대사 양성·참여 확대
정보 신뢰도 향상 클라우드소싱 추진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가 13일 경기도청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박기태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VANK) 단장 등이 참여한 가운데 생성형 AI 오류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반크는 새로운 공공협력 방안으로 '글로벌 AI 대사' 양성 사업을 제안했다.
![]() |
경기도 생성형AI관련 간담회 모습. [사진=경기도] |
간담회에서는 AI 기술이 생성한 경기도와 관련된 오류 사례로, 강원도 춘천시의 남이섬을 경기도 가평군 남이섬으로 잘못 안내하거나, 광교청사 이전 연도를 부정확하게 안내하는 사례가 언급됐다.
이외에도 기후행동 기후소득, 버스 환승 제도, 청년 정책 등 경기도의 다양한 정책에 대한 오류 사례가 소개됐다.
반크는 경기도의 공식 SNS, 홈페이지, 앱을 통해 AI 오류 신고 캠페인을 전개하고, AI 오류 신고 보상 시스템과 함께 도내 대학 및 민간기업과 협력한 모델 구축을 제안했다.
![]() |
경기도 생성형AI관련 간담회 모습. [사진=경기도] |
또한, 민간 참여 프로그램 확대를 통해 청소년 및 청년을 중심으로 하는 '글로벌 AI 대사' 양성 사업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김동연 지사는 "반크가 제안한 내용과 함께 협력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AI 오류 찾기를 도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방안도 고려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 |
경기도 생성형AI관련 간담회 모습. [사진=경기도] |
박기태 단장은 "경기도가 첫 번째로 도민을 글로벌 AI 대사로 양성하여, 잘못된 AI 정보를 발견하고 바로잡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경기도는 반크와 협력해 생성형 AI 시대의 정보 신뢰도와 윤리적 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민이 참여하는 클라우드소싱 기반의 오류 탐지 시스템과 경기도형 AI 플랫폼 구축을 통해 행정 혁신도 추진할 예정이다.
![]() |
경기도 생성형AI관련 간담회 모습. [사진=경기도] |
한편, 경기도와 반크는 '독도의 날' 간담회와 '청소년·청년 기후대사' 양성 협약 등 다양한 협력을 이어왔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