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 개최
2030년 '선원 미탑승 자율항해' 달성 목표
2031년 '완전 자율비행' 드론 상용화 계획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정부가 인공지능(AI) 선박·드론 분야를 차세대 '게임 체인저'로 규정하고 기술 개발부터 실증·제도 정비까지 전 주기 지원에 나선다. 오는 2030년까지 선원 미탑승 자율항해 기술을, 2031년까지 완전 자율비행 드론을 개발하겠다는 청사진이다.
기획재정부는 1일 경기도 성남 HD현대 글로벌 R&D 센터에서 'AI 대전환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열고, 업계·전문가·관계부처 등과 함께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달 12일 AI 로봇·자동차 간담회와 같은 달 19일 AI 팩토리 간담회에 이은 세 번째 자리다.
이날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AI 기반 선박·드론 혁신은 기존 산업 생태계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이자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라며 "우리가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IT·반도체·조선산업 역량을 AI 기술과 결합해 세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 동원 가능한 역량을 결집해 조선·드론 산업의 발전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구윤철 부총기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경제형벌 민사책임 합리화TF 당정협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9.30 pangbin@newspim.com |
이 자리에서 정부는 AI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연안에서는 현재 레벨2(선원 탑승)를 레벨3(선원 미탑승)으로, 대양에서는 레벨3을 레벨4(완전 자율)로 끌어올리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자율항해·기관 자동화·화물·항만 연계 시스템을 묶은 패키지형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오는 2029년까지 300억원을 투입해 국내 연안 선박을 활용한 대규모 실증사업을 진행하고, 올해 하반기 중에는 자율운항 선박 운항해역을 지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같은 기간에 'AI 지능형 자율운항'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추가해 연구 개발과 시설 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을 강화한다.
드론 분야에 대한 지원책도 마련했다. 정부는 2031년 완전 자율비행 기술 개발을 목표로, 'AI 기반 5대 완성체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드론 활용도가 높은 ▲항공 ▲소방 ▲농업 ▲물류 ▲건설·시설 관리 등 5대 분야에서 임무 수행 AI 드론의 개발부터 실증, 상용화 지원 등을 전 주기로 연계한다.
![]() |
AI 기반 드론 5대 완성체 프로젝트 주요 내용 [자료=기획재정부] 2025.10.01 rang@newspim.com |
드론 비행 자율화 로드맵도 단계적으로 제시했다. 현재 '임무 위임(3단계)' 수준에서 2028년에는 '원격 감독(4단계)'으로, 2031년에는 '완전 자율(5단계)'로 고도화해 나간다. 자동 자세제어 모터 등의 핵심 부품과 디지털 트윈 맵핑 등 AI 범용핵심기술 상용화를 위한 지원도 병행한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 지원 확대와 과감한 규제 개선 등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정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향후 정책 수립과 제도 개선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
기재부는 "앞으로도 AI 대전환 프로젝트별 현장 간담회를 지속 추진해, 현장 의견을 바탕으로 한 분야별 세부 지원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