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젠맵, 네덜란드 바이오텍 메루스 인수
암 치료제 페토셈타맙 확보가 인수의 핵심
2027년 페토셈타맙 출시로 시장 확대 기대
이 기사는 9월 30일 오전 00시0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네덜란드계 생명공학기업 메루스(종목코드: MRUS)의 주가가 29일(현지 시각) 뉴욕증시에서 94.56달러로 전일 대비 37.26% 치솟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덴마크 생명공학기업 젠맵(ADR: GMAB)이 메루스를 약 80억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하면서 바이오테크 업계에 큰 파장이 일고 있다.
이번 인수는 주당 97달러의 현금 거래로 진행되며, 이는 지난 26일 메루스 종가인 68.89달러 대비 41%의 프리미엄을 제공하는 수준이다. 또한 30일 거래량 가중평균 주가 67.42달러와 비교해서는 44%의 프리미엄에 해당한다.
거래는 젠맵의 완전 자회사가 메루스 보통주 100%에 대한 공개매수를 통해 진행되며, 2026년 1분기 초 완료될 예정이다. 양사 이사회는 이 거래를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 |
메루스 로고 [사진 = 업체 홈페이지 갈무리] |
◆ 페토셈타맙의 게임체인징 잠재력
이번 인수의 핵심은 메루스가 보유한 혁신적 암 치료제 '페토셈타맙(Petosemtamab)'이다. 이 약물은 메루스의 독점 기술인 바이오클로닉스(Biclonics)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인간화 이중 특이성 항체로, 암세포 표면의 EGFR과 LGR5 단백질을 동시에 표적으로 삼아 면역 체계의 항암 활동을 강화하는 혁신적 작용기전을 보유하고 있다.
![]() |
메루스의 '페토셈타맙' 작용 기전 이미지 [사진=업체 홈페이지] |
페토셈타맙은 두경부암 치료제로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1차 및 2차 치료제에 대해 두 건의 혁신치료제 지정을 받았다. 이는 이 약물이 기존 치료법보다 상당한 개선 효과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FDA가 인정했음을 의미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올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된 2상 임상시험 결과다. 페토셈타맙은 전체반응률(ORR)과 무진행생존기간(PFS) 중앙값 모두에서 표준치료를 상당히 상회하는 성과를 보여줬다.
현재 메루스는 1차 및 2차/3차 두경부암 치료를 대상으로 두 건의 3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며, 2026년에는 한 건 또는 두 건의 임상시험에 대한 최종 중간분석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젠맵은 임상시험 결과와 규제 당국의 승인을 거쳐 2027년에 이 약물을 최초로 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메루스, 다중특이성 항체 기술의 선구자
2003년 6월 설립되어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에 본사를 둔 메루스는 독자적인 이중 및 다중항체 플랫폼을 통해 암 치료제를 개발하는 혁신 기업이다. 다중항체는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항원을 인식할 수 있어 단일항체에 비해 향상된 항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메루스의 성장 가능성은 페토셈타맙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회사의 또 다른 이중특이성 항체인 '비젠그리(Bizengri, 성분명: 제노쿠투주맙)'는 지난해 12월 FDA로부터 뉴레귤린1(NRG1) 융합 양성 췌장 선암종 및 비소세포 폐암 치료제로 승인받아 상용화에 성공했다.
◆ 항체 치료제 분야의 글로벌 리더 젠맵
1999년 설립되어 덴마크 코펜하겐에 본사를 둔 젠맵은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항체 치료제를 통해 환자의 삶을 개선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하는 세계적인 생명공학 기업이다.
![]() |
젠맵 로고 [사진 = 업체 홈페이지] |
25년 이상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차세대 항체기술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중특이성 T세포 관여 항체, 항체-약물 접합체, 차세대 면역체크포인트 조절제, 효과기 기능 강화 항체를 포함한 독점적인 파이프라인을 구축해왔다.
젠맵은 북미, 유럽,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다중특이성 항체 분야에서 다수의 승인을 획득하며 풍부한 혁신 역사를 보유하고 있다. 특히 임상개발 및 상용화 모두에서 입증된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페토셈타맙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는 적절한 비전과 경험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거래의 전략적 의미와 시너지 효과
이번 메루스 인수는 젠맵의 완전 자회사 모델로의 전환을 의미 있게 가속화하여 회사 매출을 확대하고 다각화하며, 향후 10년간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메루스의 핵심 자산인 페토셈타맙을 젠맵의 유망한 후기단계 파이프라인에 추가하는 것은 젠맵의 포트폴리오와 전략적으로 매우 적합하며, 종양학 분야에서 항체 치료제 개발 및 상용화에 대한 젠맵의 전문성과도 부합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
메루스의 바이오클로닉스(Biclonics) 플랫폼 이미지: Biclonics® 이중특이항체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표적에 결합할 수 있어 이중 암세포 표적화 또는 암세포와 면역 효과 세포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수행한다. [사진=업체 홈페이지] |
인수 완료 후 젠맵은 2027년까지 다수의 신약 출시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4개의 자체 프로그램을 보유하게 된다. 젠맵의 후기개발 경험과 탁월한 상업적 실행 능력을 바탕으로, 임상결과 및 규제당국의 승인을 거쳐 2027년 페토셈타맙의 최초 출시를 예상하고 있다.
젠맵 최고경영자(CEO)인 얀 반 데 빙켈 박사는 "메루스 인수 제안은 당사의 장기전략과 분명히 부합한다"며 "향후 10년간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뒷받침함으로써 글로벌 생명공학 선도기업으로의 성장을 크게 가속화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메루스의 빌 룬드버그 CEO 역시 "항체 치료제 분야의 선두주자인 젠맵과 함께 페토셈타맙을 더욱 발전시켜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젠맵은 재발성/전이성 두경부암 및 그 외 다른 암 분야에서 페토셈타맙을 발전시킬 수 있는 적절한 비전과 경험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 재무적 전망과 시장 잠재력
젠맵은 현재 3상 임상 시험 중인 페토셈타맙이 승인 후 2029년까지 최소 10억달러의 연간 매출 잠재력을 보이며 EBITDA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후에는 연간 수십억달러의 매출 잠재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윌리엄 블레어의 맷 핍스 애널리스트는 보고서에서 페토셈타맙이 두경부암에서만 최대 30억~40억달러의 매출을 올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메루스는 전이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도 이 약물을 시험하고 있다.
핍스는 "2030년대에 상당한 매출 성장을 이끌 수 있는 여러 후기 단계 또는 승인된 프로그램에 추가될 것이며, 다잘렉스(Darzalex)의 로열티에서 발생하는 매출 정점을 넘어설 것"이라고 분석했다.
젠맵은 또한 페토셈타맙의 개발범위를 확대하고 가속화하여 초기 치료제 라인으로의 확장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현재 메루스는 두경부암뿐만 아니라 전이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도 이 약물을 시험하고 있어 적응증 확대 가능성이 열려있다.
◆ 업계 전망과 투자 시사점
다중특이성 항체 분야는 차세대 항암치료의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기존 단일항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 접근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 거래는 이 분야의 기술적 가치와 상업적 잠재력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번 인수가 젠맵의 장기 성장전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페토셈타맙의 임상시험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2026년 예상되는 3상 임상시험 중간분석 결과가 향후 투자 판단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30년까지 젠맵의 비전은 획기적인 항체 의약품을 통해 암 및 기타 심각한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이번 메루스 인수는 이러한 비전 실현을 위한 핵심적인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받고 있다.
kimhyun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