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 통계' …지재권 적자 반기 첫 20억 달러 돌파
중견기업은 9.3억 달러 흑자, 대기업·디지털플랫폼 37.5억·22억 달러 적자
"적자 폭 확대됐지만 산업용 수요 확대가 주요 요인…부정적이지 않아"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올해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수지가 작년 하반기보다 확대된 45.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17일 2025년 상반기 지식서비스 무역통계'(잠정)에서 상반기중 지식서비스 수출이 197.1억 달러에 수입은 242.4억 달러로 45.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적자 규모는 반기 기준으로 작년 하반기 37.6억 달러 적자에 비해 적자규모가 확대된 것이다.
한은은 유형별로 정보·통신 서비스(19.6억 달러) 및 문화·여가서비스(4.4억 달러)에서 흑자를 나타낸 반면 전문·사업서비스(-44.8억 달러) 및 지식재산권사용료(-24.5억 달러)에서 적자를 보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정보·통신 서비스의 흑자규모는 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우리나라 생산 스마트폰에 대한 앱 탑재 서비스 수출이 확대된 것이 주요 요인이다.
반면 지식재산권 적자는 산업재산권 사용료, 저작권 사용료 모두 적자폭이 확대되며 반기 기준으로 처음으로 적자폭이 20억 달러를 넘어섰다.
우리 기업의 해외 기업에 대한 로얄티 지급이 늘었으며 해외 브랜드에 대한 상표권, 프랜차이즈권 로열티 지급이 늘며 적자폭이 크게 늘었다. 여기에 외국 애플리케이션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수요 증가 등에 저작권 적자폭 확대도 영향을 미쳤다.
우리 제조업체의 해외 기업에 대한 전문 연구개발(R&D) 발주가 늘면서 전문·사업 서비스에 대한 적자도 작년 하반기
(-40.3억 달러)면서 45.3억 달러 적자폭이 확대됐다.
지식서비스 무역수지를 산업별로 보면 정보통신업(16.4억 달러)에서 흑자, 제조업(-24.7억 달러) 및 디지털중개플랫폼(-22.0억 달러) 등이 적자를 기록했다.
기업규모별로 버면 중견기업(9.3억 달러)은 흑자를. 대기업(-37.5억 달러 ) 및 디지털중개플랫폼(-22.0억 달러)은 적자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변 아시아지역이 35.7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한 반면 북미와 유럽은 각각 37.7억 달러, 21.8억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지식서비스의 수출입은 경제규모의 증가와 함께 계속 규모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며 "적자규모가 확대됐지만 내용이 기업들의 연구개발(R&D) 등 산업용이기 때문에 부정적으로만 볼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 |
[자료=한국은행] 2025.09.17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