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스포츠 해외스포츠

속보

더보기

[MLB] 41홈런 롤리, 포수 최초 50홈런 넘어 MVP까지 넘본다

기사입력 : 2025년07월28일 09:29

최종수정 : 2025년07월28일 09:43

최근 9경기 1홈런에 그쳤으나 이틀 연속 대포 가동…61홈런 페이스
포수 최초 단독 홈런왕·스위치 타자 최다 홈런 등 각종 기록 경신 도전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홈런왕과는 어울리지 않는 조합인 포수 스위치 타자. 하지만 이런 고정관념은 그에게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

시애틀 강타자 칼 롤리가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틀 연속 홈런으로 시즌 41호를 신고하며 포수 최초 50홈런, 나아가 MVP 가능성까지 논해볼 수 있는 시점이 됐다.

[애너하임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시애틀 칼 롤리가 28일 LA 에인절스와 원정 경기에서 7회 시즌 41호 홈런을 터뜨리고 있다. 2025.07.28 zangpabo@newspim.com

롤리는 28일(한국시간) 애너하임 에인절 스타디움에서 열린 LA 에인절스와 원정 경기에 3번 타자 포수로 선발 출전,
7회 카일 헨드릭스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터뜨리며 시즌 41호 대포를 가동했다. 전날 40호에 이어 이틀 연속 펜스를 넘겼다.

시애틀은 1-4로 패했지만, 롤리는 MLB 전체 홈런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며 2위 오타니 쇼헤이(LA 다저스·38홈런)와 격차를 3개로 벌렸다.

◆시즌 61홈런 페이스…50홈런은 8월 목표

랄리는 올 시즌 출전한 103경기에서 타율 0.257, 41홈런, 86타점, 71득점, OPS(출루율+장타율) 0.986을 기록 중이다. 이미 지난해 자신의 시즌 최다 홈런(34개)을 넘어섰고, 올해 홈런 페이스는 61개에 이른다. 역대로 60홈런 이상을 친 타자는 6명에 불과하다.

[컴벌랜드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시애틀 포수 칼 롤리가 16일 열린 올스타전에 앞서 시애틀 공식 마스코트인 마리너 무스(순록)와 포즈를 취했다. 2025.07.28 zangpabo@newspim.com

첫 번째 목표는 MLB 역사상 최초의 포수 50홈런 달성이다. 현재 추세라면 8월 내에 도달 가능하다. 다음 목표는 2022년 에런 저지(뉴욕 양키스)가 약물에 의존하지 않은 '청정 타자'로 기록한 MLB 신기록인 62홈런에 도전하는 것이다. 순위가 결정된 시즌 막판 몰아치기를 한다면 결코 비현실적인 목표는 아니다.

롤리의 홈런은 단순한 장타력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지난해 타율 0.220에 머물렀던 그는 올 시즌 타격 정확도와 선구안이 뚜렷하게 개선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출루율이 0.368까지 상승하면서 그냥 슬러거에서 완성형 중심타자로 한 단계 진화했다.

◆한계를 넘다…포수·스위치 타자 역대 최고 기록도 넘본다

롤리는 전날 40호 홈런을 터뜨리며, MLB 역사상 7월에 40홈런을 기록한 최초의 포수이자 스위치 히터로 기록됐다. 역대 40홈런 이상을 기록한 7번째 포수로 이름을 올렸고, 시애틀에서 켄 그리피 주니어(1997년) 이후 28년 만에 40홈런을 돌파한 타자가 된 것은 작은 전리품일 뿐이다.

[컴벌랜드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시애틀 포수 칼 롤리와 LA 다저스 오타니 쇼헤이(오른쪽)가 16일 열린 메이저리그 올스타전에서 1회 타석에서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5.07.28 zangpabo@newspim.com

스위치 히터로서 40홈런 고지를 넘긴 것도 MLB 역사상 극히 드문 사례이다. 롤리는 좌우 양타석에서 모두 장타력을 갖춘 현존하는 유일한 존재다. 그는 올 시즌 좌타석에서 31개, 우타석에서 10개의 아치를 그렸다.

롤리는 2021년 살바도르 페레즈(캔자스시티)가 세운 포수 최다 홈런(48개)과 공동 홈런왕, 스위치 히터 최다 홈런 보유자인 미키 맨틀(54개·1961년)의 기록 경신을 눈앞에 두고 있다.

◆MVP 경쟁도 현실로…저지의 빈 자리를 노린다

롤리는 이제 2025 아메리칸리그 MVP 경쟁 구도에서도 빠질 수 없는 이름이 됐다. 저지(37홈런)가 오른 어깨 염좌로 열흘간 이탈한 틈을 타 강력한 MVP 경쟁자로 부상했다. 포수라는 체력 소모가 심한 포지션을 유지하면서, 홈런 1위를 달리고 있다는 점은 큰 무기가 될 수 있다.

이제 남은 변수는 체력 유지와 투수들의 집중 견제다. 시애틀은 롤리를 지명타자로도 활용하면서 후반기 들어 페이스 조절에 도움을 주고 있다.

zangpabo@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