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P ESS 시장 공략 위한 기술 경쟁력 강화
수계 전극 제조 기술 진입 장벽 구축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케이지에이는 이차전지 전문기업 '쉐메카'와 공동으로 개발한 LFP(리튬·인산·철) 양극재 수계공정화 기술의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출원은 양사가 개발한 신기술의 독점적 권리 확보 및 상용화 기반 마련을 목표로 한다.
LFP 양극재 수계공정화 기술은 기존 양극재 제조 공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유기계 용매인 NMP를 사용하지 않는 차세대 기술이다. 배터리 제조 단가와 환경 유해성을 동시에 낮춰줄 수 있어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선 '게임체인저'란 평을 받고 있다.
해당 특허 기술은 LFP에 활물질 코팅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수계 바인더 사용 시에도 초기 용량, 싸이클 수명, 고속 충·방전 성능 등 전반적 성능 저하 없이 안정적으로 제조가 가능한 것이 핵심이다. 실제 실증 평가에서도 기존 유기계 공정과 동등한 수준의 결과를 도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케이지에이 로고. [사진=케이지에이] |
양사는 해당 기술이 급성장 중인 LFP 기반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에서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 중이다. ESS는 최근 글로벌적 재생에너지 확산 및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 증가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ESS 시장 규모는 오는 2035년까지 연간 1200GWh 이상 확대될 전망이다.
케이지에이는 독자적 LFP 양극재 수계공정화 기술 기반, 소재 및 전문 양산 장비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소재 직공급과 전극 파운드리(위탁생산) 사업 진출을 목표하고 있다.
한편, 케이지에이는 양극 활물질 수계공정화 기술을 더욱 고도화해 삼원계(NCM), 전고체전지(ASSB), 소듐이온전지(나트륨 배터리), 건식 전극(Dry Electrode) 등 다양한 차세대 전극 분야에 확장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