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상반기 국내 총 4910대 판매...수입차 전체 7위
전기차 판매량 1826대...수입차 3위로 경쟁사 앞서
디젤 게이트 이후 'e-로드맵' 발표하며 'e-트론' 출시 이어가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독(獨)3사'의 일원이었던 아우디가 국내 시장에서 좀처럼 반등의 기회를 찾지 못하고 있다. BMW와 메르세데스-벤츠가 치고 나가는 사이 렉서스, 볼보 등에도 판매 실적 상위권을 내주며 7위 수준의 '박스권'에 갇힌 흐름이다.
다만 지난 2015년 디젤 게이트 이후 전기차 중심으로 전환하는 전략이 서서히 기반을 다져가며 국내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는 최상위권에 자리 잡았다.
![]() |
스티브 클로티 아우디코리아 사장이 '아우디코리아 신년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에서 지난해 성과와 올해 비전에 대해 발표했다. [사진=뉴스핌 DB] |
17일 한국수입차협회(KAIDA)에 따르면 아우디코리아는 올해 상반기(1~6월) 국내 시장에서 총 4910대를 판매했다. 수입차 브랜드 중 전체 7위의 판매량이다.
국내 수입차 시장은 BMW와 메르세데스-벤츠가 양강 구도를 형성했고, 전기차 최강자인 테슬라가 치고 올라오는 구도다. 올해 상반기 BMW는 3만8280대, 메르세데스-벤츠는 3만2575대를 팔았다. 3위인 테슬라는 모델 Y(주니퍼)의 폭발적 인기로 1만9212대를 판매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우디코리아는 이제 '독3사'가 아닌 토요타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렉서스(7594대), 볼보(6767대), 토요타(4500대)와 치열한 경쟁 중이다.
여기에 고가의 스포츠 럭셔리 브랜드로 한국 시장에서 인기가 높은 포르쉐(5763대)가 올해 상반기 아우디보다 더 팔렸다. 포르쉐와 아우디는 같은 폭스바겐그룹 브랜드다. 아우디는 지난해에도 전체 실적 7위였다.
아우디코리아는 이같은 상황에서 한국 시장에서의 부진을 털고 과거 명성을 되찾겠다는 각오로 올해를 시작했다.
![]() |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사진=뉴스핌 DB] |
스티브 클로티 아우디코리아 사장은 지난 1월 개최한 신년 미디어 라운드테이블에서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인 16개의 신차 라인업을 출시하며 2025년을 재도약의 해로 삼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후 아우디코리아는 '더 뉴 아우디 Q6 e-트론', '더 뉴 아우디 A6 e-트론', '더 뉴 아우디 A5', '더 뉴 아우디 Q5' 등을 출시하며 브랜드 역사상 가장 많은 신차를 한국 시장에 선보이고 있는 중이다.
눈여겨 볼 점은 아우디의 미래 전략이다. 아우디를 포함한 폭스바겐그룹은 디젤 게이트로 인한 이미지 손상과 판매량 부진 극복을 위해 그룹 차원에서 지난 2020년 전동화 모빌리티 프로젝트인 'e-로드맵'을 발표하며 전기차 중심의 브랜드로의 전환을 선택했다.
올리버 블루메(Oliver Blume) 폭스바겐그룹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3월 독일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모빌리티의 미래는 전동화다. e-모빌리티는 특성적 측면에서 내연기관 기술보다 우위에 있다. 이것이 그룹의 확고한 신념"이라고 강조했다.
'e-트론(e-tron)' 네이밍으로 전기차 시장 선점에 나선 아우디의 노력은 한국 시장에서 조금씩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상반기 아우디코리아는 총 1826대의 전기차를 팔아 전체 3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상반기 1720대에 비해 6% 성장했다. 브랜드 전체 판매량 대비 비중은 37%에 육박한다. 뛰어난 내연기관 엔진으로 이름났던 아우디의 판매량 3대 중 1대가 전기차다.
올해 전기차 판매 실적은 독보적인 테슬라(1만9212대)를 제외하면 BMW(2844대)에만 뒤쳐졌다. 폭스바겐그룹 경쟁 브랜드인 폭스바겐(1704대), 포르쉐(1528대)와 볼보에서 독립한 전기차 전용 브랜드인 폴스타(1386대), 올해 한국 시장에 진출한 중국 전기차 전용 브랜드인 BYD(1286대)를 앞선 실적이다.
![]() |
아우디 Q4 e-tron. [사진=뉴스핌 DB] |
아우디코리아의 전기차 실적 1등 공신은 'Q4 45 e-tron'으로 상반기 1175대가 판매되며 전체 전기차 판매량의 64.3%를 차지했다.
아우디코리아는 올해 하반기에도 신차와 함께 고객 편의성을 높이며 한국 소비자들에게 어필할 예정이다.
아우디코리아 관계자는 "고객 접근성을 강화하고, 보다 친근한 프리미엄 브랜드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과거 대형 플래그십 스토어 중심의 전시장 컨셉에서, 접근성을 강화한 친근한 시티몰 전시장 형태로 변화하는 한편, 네트워크 확대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에 따라 올해 신차 전시장은 기존 32개에서 35개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또한 고객 접근성과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기존 32개 서비스센터를 올해 안에 37개로 증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