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도 여행도 경기도', 감성적 스토리로 몰입감 제공
개인정보보호 캠페인, AI 영상으로 메시지 전달
AI 활용으로 업무 효율성 제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 예정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관광공사는 생성형 AI(Generative AI)를 이용해 제작한 홍보영상을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본격 송출한다고 16일 밝혔다.
![]() |
경기관광공사 AI 영상. [사진=경기관광공사] |
공사에 따르면 이번 시도는 공공기관이 기존의 외주 중심 제작 방식을 탈피하여 내부 인력이 직접 콘텐츠를 기획·제작하고 매체 확산까지 진행한 새로운 사례이다.
제작된 영상은 총 2편으로 ▲경기관광 홍보영상 '사랑도 여행도 경기도(30초)'와 ▲개인정보보호 캠페인 영상(60초)으로 구성된다.
특히 '사랑도 여행도 경기도'는 한 여성의 유년기부터 노년까지 경기도가 함께했던 추억을 담아낸 감성 영상으로, 빠른 전개와 AI 기반 고화질 이미지가 몰입감을 높이고 있다. 해당 영상은 경기관광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경기관광공사 AI 영상. [사진=경기관광공사] |
공사는 이번 AI 활용 영상 제작을 통해 비용, 시간, 저작권, 관리 면에서 혁신적 개선을 이루었다고 전했다. 기존 홍보 영상 제작은 외주 업체와의 계약이 필수적이었으나, AI 영상 제작은 최소한의 비용과 시간으로 효율적으로 진행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AI 상업용 라이선스를 활용한 저작권 확보와 콘텐츠 재사용에 대한 편리함 역시 강조되었다. 공사는 영상 기획, 제작, 편집이 약 7일 소요되었으며 예산은 AI 구독료만 사용했다고 전했다.
공사 홍보마케팅팀 관계자는 "AI는 미래가 아닌 현재"라며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AI 수단을 활용한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
경기관광공사 AI 영상. [사진=경기관광공사] |
공사는 이와 같은 방식을 모든 직원이 익힐 수 있도록 실무 교육도 추진했다. 16일 오전, 홍보제작 담당자는 소속 직원들을 대상으로 'AI 콘텐츠 제작 실무 노하우 교육'을 진행해 AI 활용도와 관심을 높였다.
한편, 공사는 지난해부터 경기관광플랫폼에 챗GPT 기반의 'AI 챗봇 서비스'를 도입하여 고객이 보다 효율적으로 관광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
경기관광공사 AI 실무 노하우 교육. [사진=경기관광공사] |
조원용 사장은 "AI 활용이 업무 효율을 결정하는 시대"라며 "공사는 앞으로 홍보, 상품 기획, 고객 응대 등 다양한 분야에 AI를 도입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141world@newspim.com